728x90
반응형
        

세계일보 김은진 기자의 평을 보자.


"뮤지컬 네버엔딩스토리는 흥행 문법에 충실한 신작이다"



신작은 신작이지만, 네버엔딩스토리에 있는 흥행 문법은 모르겠다. 뮤지컬 '만'의 문법이 있어서 내가 못찾은 것인지도 모르겠지만, 7월 14일 스타트한 네버엔딩스토리를 본 이후 그 문법이 궁금했다.


네버엔딩스토리는 스스로 7가지의 키포인트를 내세웠다.


대한민국 뮤지컬 부흥기를 알리는 신호탄 / 로맨틱 코미디 뮤지컬 / 완벽한 사운드 재현한 LIVE / 강력한 락과 감미로운 팝뮤직의 절묘한 조화 / 화려한 조명과 안무로 최고의 비쥬얼 실현 / 국내 최고의 뮤지컬 배우들이 모였다 / 1인 다역의 또 다른 볼거리


하나 하나 짚어볼 필요 없이 뭉뚱그려 말하자면 위에서 말한 키포인트중 단 하나도 공연 내내 볼 수 없었다. 억지로 끼워맞추고 찾는다면 모를까, 뮤지컬을 펼쳐지는 내내 은근히 풍겨나왔어야 할 키포인트는 분명 찾을 수 없었던 것이다.


준비가 부족했던 것일까. 아니면 장소가 잘못 선택된 것일까 그것도 아니면 어디서 이유를 찾아야 할까.


10여년 동안 그럭저럭 뮤지컬, 퍼포먼스 공연, 연극, 콘서트 등을 봐오면서 그 자체를 충실히 즐겼다고 생각하는 나로써는 이해하지 못했고, 어이가 없었다. 결국 열심히 준비한 배우들과 스탭들에게는 미안하지만, 끝까지 보지 못하고 1막 끝나고 쉬는 시간에 공연장을 나와버렸다. 몇 년전 세종문화회관에서 아주 불가피한 상황으로 인해 오페라 '사랑의 묘약'을 끝까지 보지못하고 나왔던 이래로 처음이였다.


약간만 따져보면...


스토리와 의도를 모르겠다. 공연이 시작된 후, 미리 팜플렛을 읽어보지 않았거나 내용에 대해 전혀 듣지 못했던 사람들에게도 초반 5분안에 공연에 몰입시켜야 좋은 공연이라 생각한다. 그런데, 1막이 끝나도록 산파적이고 인위적인 웃음을 주려는 것까지는 알겠는데, 이것을 이어가려는 스토리와 여기서 말하려는 의도를 전혀 파악하지 못했다. 관객이 스토리를 머리속에서 계산해서 찾아야 하는 공연이라면, 가혹하지 않은가.


지금까지 뮤지컬 본 것중 사운드가 가장 약했다. 왜 라이브를 고집했을까 싶었다. 올 1월에 방한해 공연을 펼쳤던 렌트 오리지널팀의 경우에도 라이브로 공연을 이끌었다. 아쉽게도 콘서트나 할 법한 올림픽공원 경기장에서 하는 바람에 (소극장 공연을 콘서트 공연장에서 한 셈) 약하다는 느낌이 들었지만, 이는 공연장의 문제였지 사운드 자체로 따지면 충실하게 들려줬다. 그러나 이보다 더 작은 공연장에서 보여준 네버엔딩 스토리의 사운드는 울림이나 느낌을 강하게 주지도 못했고, 음량으로 따져도 지금 공연하고 있는 루나틱정도의 공연장에서나 펼쳐져야 어울릴 법한 수준이였다.


한국적 뮤지컬의 맛은 무엇보다도 상황을 배우들의 움직임이 아니라 대사로 알아들을 수 있다는 것이다. 브로드웨이 오리지널팀들이 들어와 공연하는 것을 보면, 스크린을 통해 한글 자막이 나온다. 무대의 움직임보랴 스크린 보랴 정신없는 사이에 스토리를 흘러간다. 그러나 한국인들이 꾸미는 뮤지컬은 이 둘을 합쳐서 느낌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관객들에게는 메리트가 있다. 아쉽게도 네버엔딩 스토리는 대사 전달도 불분명했고, 배우들의 움직임과도 연계가 되지 않았다. 음악이 울리고 조연급 배우들이 배경 뮤직을 깔아주는 상황에서 분명 주연급 배우의 대사가 강조되어야 함은 기본인데, 네버엔딩스토리는 모두에게 평등한 음량을 제공했다. 덕분에 불분명한 대사전달이 그나마 어디에 귀를 가져대 댈지 어려운 상황이 되어버렸다.


내 자리가 2층 뒷자리라 그랬을는지 모른다. 하지만, 어떤 공연이든지 가장 뒷자리, 혹은 가장 낮은 급수 (대게 A석이나 B석)에 앉은 이로부터 박수를 받아야 성공한 공연이라고 생각하는 나로써는 이해하지 못했다. 같이 보러 간 사람들조자 "나만 그런 줄 알았다"며 고개를 갸우뚱했다. 배우는 말하고 춤추며 움직이는데, 관객들은 그 말을 못듣고 그 움직임이 왜 나오는지 모른다면, 그 어떤 수식어를 붙힌 공연이라도 '최악'이라는 평가를 내릴 수 밖에 없다.


배우들의 노래 역시 좋은 평가를 주지 못하겠다. 그들이 말한 것처럼 국내 최고의 뮤지컬 배우들이라면 그들이 노래 부르는 동안 관객들은 공감하며 소름이 돋아야 한다. 그들의 목소리에 감정이 수시로 이동해야 한다. 그들의 노래가 끝나면 자연스럽게 박수와 함성이 나와야 한다. 14일 공연때 제대로 박수와 함성이 나온 것은 2층 가운데 구역밖에 없었다 (왜일까). 배우들의 목소리는 무대안에 갂혀버렸고, 관객들의 자리에까지 뻗치질 못했다. (일전에 한번 공연평을 한 해피투게더의 경우에는 공연 중간중간, 그리고 끝나자 그 소극장이 울릴 정도로 박수를 관객들이 쳐댔다. 공연은 그래야한다)


네버엔딩 스토리를 좋게 평가하는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사람마다 주관적이니까 말이다. 하지만, 1막 공연이 끝난 후 적잖은 사람들이 공연장을 빠져나간다면, 객관적으로 평가해도 문제가 있는 것이다.


이제 시작한 공연이다. 그러나 시작부터 스스로가 키포인트라 말한 부분을 책임지지 못할 정도라면 변신하지 않는 한 끝은 안봐도 뻔하다. 예를 들어 음악이 끝까지 뻗지 못한다면, 과감히 2층은 관객들을 들여보내지 말고, 1층만 사용해 조금이라도 음악이 관객과 호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초반 관객들의 입소문이 곧 중후반 공연, 그리고 장기공연으로 갈 수 있는가를 판단하기 때문이다.


네버엔딩스토리, 대한민국 뮤지컬 부흥기를 알리는 신호탄으로서는 아직 98% 부족하다.


-아해소리-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