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기사를 읽는다. 그리고 그 밑의 댓글을 본다. 이미 인터넷상에 달린 댓글이 여론이 아닌 '쓰레기' 수준으로 변한지는 오래다.


어느 네티즌의 말처럼 댓글도 시험봐서 달아야 하는 수준이 되어 버렸다. 물론 또다른 사람들은 쓰레기 여론도 여론이다라는 소크라테스님의 사고방식과 유사한 논리를 펴신다.


하지만, 역시 쓰레기 여론은 여론이 아니다. 2006년 기사와 댓글을 보다보면 아주 괜찮은 기사인데, 댓글은 모두 쓰레기다. 두 가지를 생각해 볼 수 있다. 그 기사로 인해 피해를 입는 사람이던가, 기사 해독력이 극히 떨어지는 사람이다. 대개는 전자의 경우가 많다. 하지만, 최근에는 후자도 늘어나는 경우다.


일단 '네이버 기자' '다음 기자' 운운하는 것은 아예 상종을 말아야 한다. 언론과 기사, 기자의 기본 개념부터 탑재가 안되었기 때문이다. 글을 제대로 읽지도 않았고, 제목 혹은 몇몇 문구에 혼자 열받아 올린 댓글이다.


두번째는 기사의 성격도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다. 현장수첩이나 기자메모 등은 현장 기자나 한 사건 사고에 관해 꾸준히 지켜본 기자의 개인 의견이다. 때문에 어떻게 보면 현장의 단순 스트레이트 기사보다 더 심도가 있다. 그리고 이 수준에서 좀더 넓히면 데스크들의 글이나 논설위원들의 사설이 나온다.


그런데 이러한 글을 제대로 파악도 못하고 "현장 기사도 아닌데, 기자가 개인의견을 이렇게 써도 되냐" 혹은 "기자 의견일 뿐이잖아"로 치부해 버리는 수준 이하의 네티즌이 있다. 물론 무시해야 한다. 이는 뭐가 정말 중요한 기사인지 파악조차 못한다.


세번째는 기자에 대해 무조건 욕해보고 싶다는 유아적 반발심리의 반응이다. 웃긴 것은 한 기자의 글인데 (네이버는 네티즌이 단 댓글을 모두 볼 수 있음) 다른 글에서는 뛰어난 기자라고 칭찬하다고 또 다른 글에서는 '찌질이 기자'라고 욕한다. 애시당초 글을 안 읽는다는 것이다. 그냥 그날 자신의 기분에 따라 기자 평가를 한다는 것이다.


결론을 내면......어느 언론학자가 과거부터 주장했듯이, 초등학교때부터 미디어교육이 필요하다. 어떻게 뉴스를 대하고 어떻게 평가하고 어떻게 감시하며 어떻게 논하는지 말이다. 이것이 이뤄지지 않았으니 지난 번 임수경사건때처럼 '초딩적 댓글'을 남긴 이들중에 교수급이나 대학원생이 있었던 것이다.


그냥 '너도 기자냐'는 쓰레기 댓글이 아닌 그 기사가 왜 잘못되었는지 비판할 수 있는 눈을 키울 수 있어야 한다. 이는 단순히 댓글의 차원의 문제가 아니다. 제대로 된 평가를 하지 못하면 제대로 된 감시를 하지 못한다. 기자들도 점점 댓글에 무감각해지고 있다. 아예 보지도 않는다. 전혀 자신의 글이나 앞으로의 취재 방향에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감시가 안된 언론은 다시 이에 무지한 사람들을 이용하기 쉬워진다. 감정만 조금 건드려 놓으면 앞뒤 안가리고 폭발하기 때문이다. (황우석 사건이 그랬다) 제대로 볼 눈이 없으니, 제대로 평가도 못하고, 그러다보니 그냥 따라가게 되는 것이다..


대중들은 그리고 네티즌들은 자신들도 알 거 다 안다고 말한다. 하지만, 도리어 과거보다 아는 것이 더 없어졌다. 정확히는 자료 자체는 많이 접하게 되었지만, 그 자료를 이해하고 해석하는 과정, 즉 깊이 생각하는 과정이 생략되어 버렸다.  때문에 진실로 아는 것이 없게 되는 상황이 벌어진 것이다.


앞으로 계속 이런 식으로 쏟아지는 뉴스홍수속에서 제대로 미디어교육을 받지 못한 이들이 허우적댄다면 결국 미디어를 잡은 이들 - 언론사든, 포털이든, 정보를 쥐고있는 자든 -이 점점 더 정보이해력이 떨어지는 대중들을 농락할 것이고, 정보이해상의 새로운 빈부격차가 생겨날 것이다.


-아해소리-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