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현재 백암아트홀에서 공연되고 있는 연극 스페셜 라이어이룹 배우들의 비교 및 추천을 해보려 한다. 뭐 개인적 의견이니까. 트리플 캐스팅이라 각 배역당 한명씩은 못 봤음을 감안. 본 배우들 바탕으로만 끄적여 본다.

 

일단 존 스미스 역(정태우 제외). 테이는 추천하지만 정겨운은 비추다. 테이의 경우 의외로 존 스미스에 잘 어울린다. 우유부단하고 얄밉고 한 대 때려주고 싶은 연기를 제법 펼친다. 그러나 정겨운은 초반부터 감정을 잡지 못한다. 정태우가 아주 잘한다는 전제로, 정태우나 테이를 보고 난 후에 정겨운을 보고나면 언제부터 연기할 거지?”라는 생각까지 든다. 중간중간 웃음을 주긴 하지만, 연극 끝까지 뭔가 자리를 잡지 못한다.

 

 

연극 <광부화가들>┃‘예술’ ‘예술가’란 무엇인가. 답은 없는데 인류사 계속되는 질문.

광부들이 말하는 미술과 예술. 왜 빠져들까. 이 묻는다. “예술이란 무엇인가”. 인류사 이 문제에 대해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논쟁했을까. 그럼 이 논쟁은 누가 할 것인가. 이 문제도 논쟁의 대

www.neocross.net

 

라이어

 

스탠리 가드너 역(김민교 제외). 김인권을 추천하지만, 서현철 역시 나쁘지 않다. 둘이 색이 너무 다르다. 김인권은 특유의 과장된 연기를 극에 자연스럽게 녹이고, 서현철은 과장스럽진 않지만 소소하게 개입하면서 웃음을 준다. 그러다보니 김인권의 연기를 보면 정신없고 숨막히게 웃기고, 서현철은 툭 튀어나오는 웃음을 받게 된다.

 

라이어

 

메리 스미스 역(오세미 제외). 연기자는 연기자다 신소율은 확실히 정신없는 상황을 표현하면서도 정리를 해나간다. 그에 비해 달샤벳 출신 배우희는 기본은 아지만, 정신없는 장면을 보여줄 때 정말 정신이 없다. 때론 대사 설득력도 떨어진다는 느낌이 든다. 그러나 연기 경험 부족이 떨어진다는 점을 고려하면 기본은 한다.

 

라이어

 

바바라 스미스 역(이주연 제외). 그냥 나르샤를 추천한다. 이 역은 섹시한 모습과 더불어 연륜 넘치는 포스를 보여야 한다. 나르샤는 확실히 나이를 바탕으로 한 여유로움이 느껴진다. 과거 SNL코리아에서 보여준 모습도 종종 보인다. 이에 비해 이엑스아이디 출신 박정화는 아직 어린 느낌 때문에 도도하게 굴려는 모습이 어색하다.

라이어

 

포터 하우스 역. 그냥 김원식 강추다. 이한위와 색이 다르다는 점을 인정하지만, 아무래도 라이어터주대감 김원식이 극의 포인트를 잘 잡고, 관객들을 어떻게 끌여 들여야 하는지를 잘 안다. 어느 시점에서는 김원식이 등장하면 그냥 터진다. 그렇다보니 아직 무대 경험이 적은 배우들과 붙을 때는 그 캐릭터들이 묻힌다. 물론 간혹 재미없는 장면들은 커버해 끌고가기도 한다. 이한위는 너무 점잖게 나온다. 웃음을 준다기보다는 정극의 느낌을 준다.

 

라이어

 

트로우튼 역 (박성현 제외). 이동수를 추천한다. 외모 때문에 초반에는 그저 그랬지만, 극이 진행될수록 존재감을 발휘한다. 웃음 포인트를 잘 잡아내고, 사람들과 조화를 이룬다. 이도국도 연기를 잘하지만, 너무 무거운 느낌을 풍긴다. 무대 흐름이 달라진다. 이동수가 목소리를 높이면 웃음이 나오지만, 이도국이 목소리를 높이면 조용해진다.

 

라이어

 

바비 프랭클린 역 (조찬형 제외). 오대환이 무조건 강추다. 그동안 방송에서 보여준 모습과 달라지기 때문에 의외성을 부여한다. 게다가 연기력이 되다보니 관객에게 웃음을 잘 전달한다. 그에 비해 홍석천은 다소 밋밋하다. 맡은 역할이 홍석천 그 자체이기 때문에, 진부하다는 느낌마저 준다.

 

라이어

 

이를 바탕으로 본다면

 

테이 - 김인권 - 신소율 - 나르샤 - 김원식 - 이동수 - 오대환 캐스팅 라인이 가장 추천이다.

 

물론 어찌되었든 어느 배우들이 다른 배우를 보완하는 성격이 강해서 기본 웃음은 보장한다. 하지만 그래도 7~8만원 사이인데, 가급적 좋은 캐스팅으로 보는 것이 낫지 않을까.

 

- 아해소리 -

728x90
728x90
반응형

<마이웨이>의 몰락은 이미 시사회 때부터 예견됐다. 영화계가 엄청나게 안타까워 한다는 기사가 줄줄이 쏟아졌다. 마치 영화 한편에 한국영화계 전체가 목숨을 건 듯한 반응이다. <마이웨이>는 제작비 280억원, 마케팅 비용까지 포함하면 총 300억 원이다. 80%를 투자한 CJ E&M의 힘을 업고, 개봉관 역시 여타 영화를 압도했다. 국내 관객 1000만이 넘어야 손익분기점이 넘는다. CJ나 제작사 측은 해외 판권을 통해 충분히 손익분기점을 달성할 것이라 말하지만, 지금 <마이웨이>는 손익분기점 차원에서 논할 영화가 아니게 됐다.

 

<압꾸정> 마동석의 실패, 배우 티켓 파워 실종의 시대를 증명하다.

네이버 관람객 평점 6.3점. 12월 15일 기준 누적관객수 59만명. 그런데 손익분기점 추정은 190만. 영화 의 성적이다. 마동석이 기획부터 제작, 각색에 참여하고 영화제목까지 직접 지었으면 본인이

www.neocross.net

 

국내에서 스토리텔링 없는 블록버스터가 얼마나 허무하게 무너지는지를 여실히 보여줬다. 아무리 쟁쟁한 감독과 배우들 데리고 갔다 써도, 한국 특유의 공감대가 형성되지 않으면 1000만은 고사하고 체면치레 조차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그만큼 관객들은 냉정해졌고, 정보 습득에 빨라졌다.

 

이런 가운데 재미있는 기사와 반응들이 쏟아져 나왔다. 바로 장동권과 김인권에 대한 내용이다. 오다기리 조야 자기 나라 일본에서 잘 살테고, 판빙빙이야 거의 존재감이 없었으니 논할 가치도 없다.

 

 

그러나 장동건과 김인권은 다른 문제다 앞으로도 국내에서 꾸준히 활동해야 할 배우들이다. 평가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장동건은 추락했다는 표현이 맞다. <태극기 휘날리며>에서의 장동건과 묘하게 닮으면서도 피하려는 노력이 거꾸로 그에게 화살이 된 셈이다. 장동건이 왜 뛰는지에 대한 공감도 형성이 안되었는데, 그는 계속 뛴다. 아니 이에 대해 관객들은 감동이 아닌 웃음으로 답했다.

 

애시당초 장동건이 청년 역을 맡는다고 할 때부터 "과연 될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 나이에 결혼까지 하고, 이제는 스크린에서 나이 먹은 티가 나는데 도대체 어쩌려고 하는지 모르겠다. 차라리 대통령으로 나왔을 때가 훨씬 나았다. 아무튼 장동건은 이번 영화로 데미지를 확실히 입었다고 볼 수 있다. 국내에서 그가 갖는 티켓 파워가 이제 바닥이 보일정도라는 평는 지나치지 않을 정도다.

이에 비해 김인권은 영화와 달리 호평 일색이다. 그도 그럴 것이 그가 연기한 종대(안똔)는 순박한 조선 청년에서 악랄한 시나리오 포로수용소 반장으로 변신하는 감정 기복이 큰 인물이다. 게다가 자칫 잘못 연기했다가는 극단의 인물을 그냥 선/악으로만 나눌 뿐 공감대 형성에 실패하고 만다. 그런데 김인권은 뛰어난 수위 조절 능력을 보여줬다. 안똔으로 변신한 그에게 관객들은 야유대신 안타까운 눈빛을 보냈다. 그럴 수 밖에 없다. 그가 변한 것은 그 자체가 아닌 상황이기 때문이다. 그것을 김인권을 연기를 통해 녹아냈다. (사실 이것은 <태극기 휘날리며>에서 장동건도 잘 연기했었다)

 

실상 김인권이 연기한 종대는 시나리오에 없던 인물이다. 강제규 감독이 무게감을 덜어내려고 급조한 것이다. 그런데 결국 이 급조한 인물이 '마이웨이' 전체를 대표하고, 그나마 낮은 평가의 영화의 한 축이나마 살려주는 역을 하고 있다.

 

장동건, 오다기리 조, 판빙빙을 제치고 관객들에게 박수를 받은 김인권. 김인권의 다음 연기가 기대되는 이유다.

 

- 아해소리 -

728x90
728x90
반응형

한국 영화 중에서 280억 쏟아부은 영화 보기 쉽지 않다. 아니 최초일 것이다. 강제규 감독의 <마이웨이> 이야기다. 10억 이하 독립영화 제작해도 28편이나 만들 수 있다. 아무튼 280억 투자한 돈값 하는지, 특별 시사회에 가봤다.

 

일단 스케일은 그냥 엄지손가락 치켜들게 만든다.

 

영화의 시대는 1930년대와 40년로 제2차 세계대전 당시다. 공간은 조선 경성에서 구 소련을 지나, 독일과 프랑스까지 이어진다. 초반에는 드라마를 중심으로 하다보니, 어찌보면 그냥 일제 치하 때 이야기라는 생각으로 넘어간다. 김준식(장동건)이 마라톤에 거의 목숨을 걸고 있고, 일본 청년 하세가와 다츠오(오다기리 조) 역시 마라톤 선수지만, 전혀 다른 길을 걷게 된다. 어쨌든 일제 치하 때이니만큼 두 청년은 전쟁터로 나간다, 한명은 끌려나가고, 한명은 천황을 위해 자진해서 말이다.

 

 

'마이웨이' 장동건 '추락', 김인권 '날다'

'마이웨이'의 몰락은 이미 시사회 때부터 예견됐다. 영화계가 엄청나게 안타까워 한다는 기사가 줄줄이 쏟아졌다. 마치 영화 한편에 한국영화계 전체가 목숨을 건 듯한 반응이다. 제작비 280억원

www.neocross.net

영화 마이웨이

 

첫번째 전쟁 장면은 러시아군과 싸우는 모습이다.

 

이때부터 스케일의 향현이 펼쳐진다. 국내 전쟁 영화에서 볼 수 없는 수많은 탱크들이 나오고, 서로를 죽고죽이는 전쟁의 참혹함은 고스란히 관객들에게 전달된다. 팔다리 잘리는 것은 예사고, 탱크에 깔려서 몸이 찢기는 장면도 쉴새없이 나온다.

 

스케일은 바로 러시아 포로수용소로를 보여주면서 또한번 거대해진다. 기차로 포로들이 이송되는 모습이나, 이들이 벌목장에 투입된 모습은 비단 전투장면이 아니더라도 "돈 좀 들였구나"를 떠올리게 한다. 그리고 하이라이트. 노르망디 상륙 전투 장면은 이게 한국 영화가 맞나 싶을 정도다. 하늘을 뒤덮은 폭격기, 바다를 메꾼 구축함, 해변가와 진지를 뛰어다니는 병사들, 그리고 낙하산을 타고 내려오는 병사들까지 보자면, 강제규 감독이 돈을 왜 280억이나 들였는지 알만하다. 이 영화 보고 <라이언 일병 구하기> 도입부를 보면 도리어, '라이언 일병 구하기'가 초라해보일 정도다. 문제는 드라마다. 솔직히 영화를 다시 보기 한다면, 이 부분만 재차 보고 싶다는 생각밖에 안든다.

 

 

아 드라마에 대한 이야기를 하기 전에 우선 배우들의 연기에 대해서는 칭찬을 해주고 싶다. 장동건, 오다기리 조, 판빙빙을 비롯해 명품 조연 김인권까지. 모두 "고생 정말 많이 했고, 연기 정말 잘했다"는 생각이 들게 만들었다. 특히 김인권의 연기는 이 배우에게 조연이라는 단어를 과연 사용해야 하나라는 생각까지 들게 만든다. 주연급으로 탄탄한 모습을 보였기 때문이다.

 

그러면 다시 드라마로 돌아가면.

 

혹 <태극기 휘날리며>처럼 눈물을 흘리고자 하는 이들이라면, 실망이 클 것이다. (물론 정말 감수성이 예민해서, 개그콘서트 감수성만 봐도 눈물을 흘린다면, 영화를 보면서 자주 울 것이다). 두 청년이 어릴 적 감정에서 죽이고 싶은 적의 감정으로 변모하고, 다시 피보다 진한 우정을 보이게 되는 과정에 공감대가 전혀 형성이 안된다. 일단 영화의 가장 큰 줄거리인 여기서부터 공감대가 형성이 안되니, 나머지는 더 이상 거론하기 조차 어렵다. 공간적 배경이 경성보다는 외국에서 이뤄지다보니, 외국인들이 많이 나오는데, 이들 연기에 대한 흡인력 또한 떨어진다.

 

<마이웨이>는 손익분기점을 넘을 수 있을까.  280억의 손익분기점이 1000만을 넘어야 한다고 한다. 물론 해외 판권 등등의 부가적인 수익이 있겠지만, 국내 기대 관객수를 과연 채울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아니 솔직히 채울 수 없을 것 같다는 우려가 더 크다. 보여주기로만 하는 승부는 할리우드 식이지, 결코 한국 식이 아니기 때문이다.

 

- 아해소리 -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