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제16회 부산국제영화제가 열리는 해운대에서 며칠 전 조그마한 사건이 하나 있었다. 몇몇 기자들과 기획사 매니저들이 술 자리를 하는 포장마차에 대형 영화 투자/배급사 투자 담당이 뒤늦게 취한 상태로 합석해 다소 무례한 행동을 한 것이다. 분위기가 흐려지자, 원래 착석해 있던 이들은, 다른 자리로 옮겨줄 것을 요청했지만 이 담당자는 지속적으로 거부했다. 그런데 이 투자 담당자이 기분이 상했던지 갑자기 자신이 받은 기자 명함을 찢어서 던져버렸고, 착석해 있던 이들이 어이없어 하자 자신의 명함도 찢어서 던지고 가버렸다.

술 취한 이들이 많은 영화제 해운대에서 일어난 일이기에 소소한 해프닝으로 볼 수 있다. 그런데 이 상황이 '무명' 혹은 '독립영화' 제작을 하는 감독들의 푸념과 오버랩됐다.

과거 한 독립영화 감독은 저예산으로 무명의 배우들을 출연시켜 어렵게 영화를 제작한 이유에 대해 "투자 배급사들이 시나리오를 아예 거들떠보지 않아서, 언제 내 영화가 만들어질지 불안했다. 그래서 사재 털어서 영화를 만들었다"고 밝혔다.

또다른 영화 감독 역시 "기업을 운영해 본 경험으로 나름대로 사람을 대하는 비즈니스 마인드가 있다고 생각했다. 거래처 사람들에게 어떻게 호감을 사는지도 알고 있었다. 그런데 영화 쪽은 아예 다르다. 단순한 갑을 관계가 아니다. CJ, 롯데, 쇼박스 등은 슈퍼 갑이다. 시나리오를 거들떠 보지 않음은 물론, 연락조차 안온다. 결국은 사재 털어서 영화를 만들었다"고 말한다.

물론 이들 제작 배급사들도 많은 이들을 상대해야하기에, 그들의 애로사항을 모르는 바 아닐 것이다. 끊임없이 검토하고 사람을 만나고 다시 흥행 여부를 따지는 과정이 쉽지만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태도고 예의다. 위에서 말한 투자 담당은 얼마 안 있어 해당 기자에게 사과를 하러 왔다. 그런데 그 장면을 보며, 만일 담당자가 기자가 아니라 힘없는 감독이었다면 어떨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사과를 하기보다는 고압적인 자세로 일관하지 않았을까라는 생각까지 들었다.

조그마한 술자리에서 너무 크게 생각한 것은 아니지만, 무명의 감독들이 거대 투자사에 대한 한숨 소리가 계속 들려 끄적여봤다.

- 아해소리 -

728x90
728x90
반응형

'디 워'를 말하려면 솔직해져야 한다. 우리 영화라는 것과 냉정한 평가를 내려야 한다는 사실 가운데에서 벗어나려면 솔직해져야 하는 것밖에 없다.

 

심형래라는 인물과 미국내에서 호평을 받고 있다는 점은 조금 접어두고 영화 자체로만 이야기하려면  더더욱 그렇다. 감독과 배우 그리고 주변 환경에 대해서도 충분히 관계성을 따져야 하지만, 심형래 감독의 ‘디 워’는 이 부분에 대해서는 잠시 고개를 돌려서 봐야한다.

 

 

진중권 "(디워) 이무기의 실패한 휴거"…오버성 움직임

뭐 원래 진중권의 발언은 강하긴 했지만 이번에는 조금 애처롭기까지 하다. 마치 확인사살을 꼭 해야 하고, 그것 함으로써 자신이 우월하다는 것을 조금이라도 더 느끼려는 말투가 너무 느껴진

www.neocross.net

영화 디워

 

23일 코엑스 메가박스에서 첫 한국 시사회를 가진 영화 ‘디 워(D-WAR)''는 분명 한국 SF 영화의 한 획을 긋기에 충분했다. 화려한 CG는 관객들에게 충분한 볼꺼리를 제공했고, 비록 어정쩡하기는 하지만 한국의 전설을 미국적 화면에 담는 것에도 어느 정도 성공했다.

 

CG뿐만 아니라 실제 탱크와 장갑차, 120대 폭파 차량, 2만4,800명의 엑스트라는 엄청난 액션으로 화면을 가득 채웠고, 관객들을 빠져들게 만들었다. 이무기 부라퀴의 움직임 하나하나에 관객들 역시 움찔하는 순간을 느끼게 되었고, 거대한 부라퀴 군단은 마치 ‘반지의 제왕’의 한 장면을 방불케 했다.

마지막 장면에 장엄하게 울리는 ‘아리랑’은 숨가쁘게 미국적 요소로 관객들을 끌어들이던 영화 ‘디 워’가 한국인의 숨소리로 만들어진 영화임을 느끼게 한다.

 

 

그러나 이 부분에서 고개를 잠시 돌려 보면 아쉽다고 하기에는 너무나 안타까운 부분들이 존재한다. ‘왜 저렇게 연결되지?’라는 의문을 배제하고 본다면 모를까, 영화의 스토리를 조금이라도 따지는 관객이라면 느낌이 단절되는 순간을 자주 만나게 될 것이다.

 

심형래 감독은 기자간담회에서 이 부분에 대해 쥬라기 공원이나 트랜스포머 등을 예로 들면서 이들 영화 또한 단순하고 왜 그런 연결 장면이 나오는지도 모르는 사이에 영화가 진행된다며 반박했다. 그러면서 만일 ‘디 워’를 제임스 카메룬이 만들었다면 호평을 받았겠지만, 자신이 만들었기에 평가가 반감되어 나타난다고 말했다.

 

우리가 솔직해져야 할 부분이 여기다. ‘디 워’의 스토리상 문제는 심형래 감독이 단순히 다른 외국 영화와 비교해서 반박할 정도가 아니다. 놀라울 정도의 CG나 스케일을 스토리가 막는 모습을 보여주기 때문에 안타까운 것이다. 물론 이런 안타까움에 대한 지적에 심형래 감독은 씁쓸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 씁쓸함은 심형래 감독이 차후 SF를 끊임없이 갈망한다면 넘고 가야 하는 부분이다.

 

'디 워'가 끝이 아닌 시작이며 새로운 창조물이 아닌 10년 영구아트의 산물이라면 더더욱 그렇다.

 

일단 내용중에 새라를 찾아내는 흐름이나 엄청난 괴물들의 등장에 대처하는 시민 혹은 정부의 모습 등등, 어떻게 보면 소소할 수 있는 단절의 느낌이 전체를 가로막고 있다. 또한 특수효과가 중심이 되다보니 스토리는 어느 새 특수효과에 묻혀 사라져 버리고 만다.

 

좀더 들어가보면 스토리상으로는 완전히 "의미를 찾지 말아라"식의 흐름이다. 조선시대를 이야기할 때는 "그냥 그런 시대에 그런 것이 있었다고 가정하고 보자"는 형식이고 미국의 군대와 부라퀴 군단이 첫 대결을 펼칠 때는 좀더 잔인하게 말해 '파워레인저'를 보는 듯한 느낌마저 준다.

 

이러한 부분은 개봉되어 나오는 영화에 대한 안타까움과 동시에, 이후 만나게 되는 ‘디 워’ 의 완결판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게 하는 희한한 작용을 하기도 한다. ‘디 워’는 그만큼 놀랍고 동시에 아쉬운 작품이다.

 

한편 이날 시사회에는 투자자, 배급자, 언론 등 관계자들이 참여한 가운데 메가박스내 5개관에서 동시에 행사가 진행됐다. 심형래 감독도 이날 5개관을 돌며 무대인사를 해 관계자들의 많은 박수를 받았다.

 

영화 ‘디 워’는 미국에서 현재 1700여개의 상영관을 확보했고, 이후 2000개까지 확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며 올 겨울 일본에서도 500여개 상영관을 확보할 것이라고 심형래 감독은 전했다.

- 아해소리 -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