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과거 이재한 감독이 영화 <포화속으로>를 만들 당시 에피소드가 있다. 마지막 장면에 권상우와 최승현이 학교 옥상으로 올라오는 북한군을 향해 다연발 화기를 난사했고, 북한군은 올라오는 족족 쓰러진다. 이때 이 감독은 북한군의 시체를 더 높이 쌓고 싶어 했고, 스태프들은 이를 말렸다고 한다.

 

이 에피소드는 한국전쟁을 배경으로 한 영화에 대한 이 감독의 인식으로 고스란히 드러냈다. 당시 <포화 속으로>를 본 이들은 영화를 전쟁 영화장르로만 봤을 때는 괜찮았지만, 한국전쟁과 학도병에 대한 현실적 이야기는 빠졌다는 평가가 많았다. 즉 이 감독은 권상우와 최승현을한국전쟁 당시 온 몸으로 북한군과 싸운 학도병이 아닌 할리우드식 영웅에 가깝게 만들어 놨다.

 

 

불안요소 내재 '포화속으로' 흥행 여부는 어떨까.

영화 '포화속으로'는 개봉 전에 참으로 여러가지로 불안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차승원, 김승우, 권상우, 최승현(탑)이라는 꽤 괜찮은 남자 주연배우 4명을 전면에 내세우고도 이런 불안한

www.neocross.net

영화 포화 속으로

 

이는 고스란히 영화 <인천상륙작전>으로 이어진다. 짧은 시간 안에 어떤 훈련을 받았는지 모르지만, <인천상륙작전> 등장인물들도 <포화속으로>와 마찬가지로 영화가 진행될수록 할리우드식 영웅으로 바뀌어갔다. 그 과정에서 또다시 한국전쟁과 인천상륙작전이 갖는 의미는 희미해져 갔다.

 

영웅이 탄생하려면 선과 악이 분명해야 하고, 그 영웅이 지켜야 할 대상도 분명해야 한다. <포화속으로>에서는 차승원이, <인천상륙작전>에서는 이범수가 악의 역할을 담당했다. 지켜야 할 대상은 국가다.

 

평론가들이 <인천상륙작전>을 허술한 안보 영화, ‘국뽕영화라 칭하는 이유가 여기에서 시작한다. 이 감독은 영웅 만들기에 집착했고, 그 영웅이 살려면 비현실적 상황을 만들어야 한다.

인천상륙작전

 

<포화속으로>에서 총 한번 제대로 쏴보지 못한 최승현과 권상우가 어느새 람보가 되어 있었고, <인천상륙작전> 역시 이정재를 중심으로 한 8명은 북한군 전체를 상대해도 모자람이 없을 정도였다. 특히 박철민이 북한군 한 가운데로 들어가 싸우는 모습은 통쾌하기 보다는 황당했다.

 

그리고 비현실적 상황은 다시 배경을 일그러지게 만들어야 했다. 그러다보니 앞서 언급한 것처럼 <포화속으로>에서 한국전쟁과 학도병이 사라진 것처럼, <인천상륙작전>에서도 인천과 한국전쟁을 희미하게 만들어야 했다.

 

관객들은 영웅 만들기를 보며 볼만한 영화다라고 말할 수 있다. 그냥 전쟁영화이기 때문이다. 이는 몰랐던 영웅들을 알았다라고 말한 것과 일맥상통한다. 그들에게는 할리우드식 영웅의 모습이 스크린에 펼쳐졌기 때문에 킬링타임용으로 편안하게 볼 수 있다.

 

아마 이재한 감독이 한국전쟁을 배경으로 또다시 영화를 만든다면 또 비슷할 것이다. 그때마다 한국전쟁은 배경으로만 사용될 뿐, 그 의미를 갖지 못할 것이다. <인천상륙작전>이 더 아쉬운 이유다.

 

- 아해소리 -  

 

ps. 그리고 리암 니슨은 왜 부른걸까. 물론 연기는 좋았다. 하지만, 기껏 저 정도 활용하려고 그렇게 홍보를 해댔던 것인가. 진세연은 왜 나온지 아직도 궁금...그냥 여자가 필요해서? 이는 <포화속으로>에서 박진희가 출연한 것과 크게 차이가 없는 듯.

728x90
728x90
반응형



영화 '포화속으로'는 개봉 전에 참으로 여러가지로 불안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차승원, 김승우, 권상우, 최승현(탑)이라는 꽤 괜찮은 남자 주연배우 4명을 전면에 내세우고도 이런 불안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 시작은 사실 이재한 감독에서부터였다. 영화 '내 머리 속의 지우개'로 성공한 이 감독이 전쟁 영화 메가폰을 잡는다는 자체가 이해가 되지 않았다. 물론 감독들이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할 수 있지만, 각각 가지고 있는 고유의 영역이 분명 존재한다. 여기에서부터 영화계의 불안함이 시작했다. 또한 한국전쟁 발발 60주년과 천안함 사태는 그 불안함을 극대화시켜줬다. 어느새 정서적으로 '북풍' 등에 민감해하는 40대 이하 젊은 층들에게 '국민학교 반공용 영화'로 인식되지 않을까라는 불안함이다. 물론 12세 관람가로 인해 어린 층을 빅뱅 멤버 탑이 어느 정도 극장으로 끌고올 수 있지만 한계가 존재한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이런 불안감은 중간에 두 가지 사항이 추가되면서 더욱 커졌다. 첫째는 미완성본에 'Sea of Japan'이 기재되어있는 고지도가 버젓이 오프닝을 장식했다는 것이다. 게다가 이것이 그냥 넘어가면 좋은데, 이 미완성본을 미국 스탠포드대에서 상영을 했고, 스탠포드대 한국 재학생이 이를 지적, 결국 기사화까지 이르렀다는 점이다. 물론 제작사인 태원 측에서는 감독의 '고민하지 않았다'는 감독의 멘트가 잘못되었다는 점에 무게를 두어 무마에 나섰지만, 1차적으로 이런 표기가 있었다는 자체가 예비 관객들의 심기를 건드렸다. 대한민국에서 민감한 사항 중에서도 선두에 위치한 내용을 놓쳐버린 것이다.

이에 연결해 또하나는 불안 사항은 위에서 잠깐 언급했지만, 미국 스탠포드대 특별 상영회 때 국내 기자들을 데리고 간 것이다. 혹자는 '그럼 모두 잘 써줄텐데, 무슨 걱정이냐'라고 하지만, 역으로 말하면 수많은 국내 매체들을 다 데리고 가지 못했을 것이고 미국 일정에 참여하지 못한 매체들 입장에서는 '포화속으로'가 곱게 보이지 않을 것이다. 벌써 이는 몇몇 기사에서 나타나고 있다.

이런 불안 요소를 가진 채 영화는 첫 시사회를 가졌다. 반응은? 역시 극과극이었다. 실화를 바탕으로 하였기에 공감대를 어느 정도 이끌어낸 것은 사실이고, 차승원의 멋진 연기에, 주연으로서는 조금 부족하지만 발전된 모습을 보인 최승현의 연기까지 볼 만했다.

그러나 이재한 감독의 과도한 할리우드식 영웅주의는 아쉽게도 '실소'를 금치 못하게했다. 정규 군사 훈련을 받지 못한 권상우와 최승현이 태생이 람보는 아닐텐데, 어느새 총 몇 자루 들고 수십명의 북한군을 싹쓸이한다. 단 두명이. 영화를 보고 있자면 이런 학도병 100명만 있으면 당시 거꾸로 북으로 밀고 올라갈 수 있지 않았나싶을 정도다. 아마도 영화를 보고 난 후 여자 관객들과 남자 관객들의 반응이 다소 엇갈리게, 즉 전자의 '재미있었다'와 후자의 '별로였다'가 나오는 이유도 여기에 기인할 것이다.

이런 모든 면이 영화 흥행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미지수다. 그러나 '포화속으로'는 단순히 손익분기점만 따지고 관객수 세는 영화 이상이 되어야 한다는 전제가 스텝이나 배우들에게 깔린 상황에서 400~500만 이상을 모으지 못한다면 이는 실패나 다름없을 것이다.

물론 실화를 바탕으로 해도 어차피 영화다라고 보는 이들에게는 따로 할 말은 없다. 그러나 한국전쟁 발발 60주년과 기억해야될 역사적 사실을 그린 영화라면 최소한 영화가 끝난 후 관객들의 가슴에 뭔가 남아야 하지 않을까 싶다.


- 아해소리 -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