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그룹 에 열광 중이다. 오래 전에 사망한 프레디 머큐리의 이름이 전 세대 입에 오르내리고 있고, 언론들 역시 퀸과 프레디 머큐리에 관한 기사를 쏟아내고 있다. 40대 이상이라면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지만, 10~30대가 퀸과 프레디 머큐리에 흥미를 느끼는 것은, 정말 흥미롭다.

 

물론 시작은 영화 <보헤미안 랩소디>. 여러 매체를 통해 혹은 입소문을 타고 흥행은 물론, 여러 이벤트 (극장에서 떼창 등)가 성공적으로 진행돼, 영화를 안 본 이들까지도 호기심을 자극하고 있다. 여기에 재관람까지 더해져 퀸과 프레디 머큐리는 마치 현 시대에 존재하는 인물로까지 착각하게 만든다. (MBC1985라이브에이드콘서트를 재편집해 122일 방송한다)

 

 

뮤지컬 <영웅> vs 영화 <영웅>, 어떤 차이가 있고, 어떻게 봐야할까.

안중근이 이토 히로부미를 죽이기 몇 해 전부터 죽인 후 사형을 당하기까지의 삶을 그린 뮤지컬 , 그리고 이 뮤지컬을 그대로 스크린에 옮긴 영화 . 그러나 두 작품은 같은 듯 다른 형태로 관객

www.neocross.net

프레디 머큐리

 

영화에 대한 평가가 너무 다양하다. 전체적으로 좋은 평가를 내리는 사람도 있지만, 어떤 이는 퀸과 프레디 머큐리의 삶을 제대로 그려내지 못했다고 말한다. 또 어느 이는 마지막 라이브에이드콘서트 장면이 영화의 모든 것이라고 평가하기도 하고, 어느 이는 퀸과 퀸의 노래는 사라지고 프레디 머큐리의 삶만 조명한 인물다큐멘터리 수준이라고 말한다.

 

영화는 관객의 해석의 의해 평가된다. 때문에 어느 말을 맞다, 틀리다 할 수는 없다. 분명한 것은 어느 평가이든 ’ ‘퀸의 노래’ ‘프레디 머큐리라는 대상들이 새삼 이 시대에 주목받고 있다는 점을 확인시키고 있다. 단지, 어느 것을 더 부각해 보느냐의 차이일 뿐이다. 어찌되었든 이들은 한국에서 부활했다.

 

 

개인적으로 그 이유는 두 가지로 꼽는다. 첫째는 음악이다. 어쩔 수 없다. 퀸의 노래는 너무 많이 알려져 있다. 그 유명곡들이 영화 내내 깔린다. 그 노래를 퀸이 불렀다는 것을 모르던 관객들도 어 이 노래가?”라는 반응을 보인다. 영화, 방송, 광고 등에서 퀸의 노래는 자주 등장했고, 우리에게 익숙하다. 익숙한 곡을 매개로 퀸과 관객이 만나니, 더욱 친숙해질 수밖에 없다. 거기에 프레디 머큐리라는 매력적인 천재의 삶을 그려내는 영화라니..... ‘비평가적 평가이전에 감성적인 평가로 인해 영화와 퀸은 살아난 것이다

 

두 번째는 프레디 머큐리의 극적인 삶이다. 이민자의 사람에서 스타의 삶까지, 사랑하는 여자와 행복한 삶에서 동성애자의 인정, 그리고 에이즈와 죽음. 그 사이에 자신을 바라보는 사람들 앞에서의 사실상 마지막 콘서트. 행복한 삶이었다기보다는 불안하고 불행한 삶이었다. 어쩌면 중장년층이 아닌, 젊은 층이 퀸과 프레디 머큐리에 열광하는 이유는 이 지점일 것이다.

 

 

영화 <아바타: 물의 길>┃영화의 강점과 한계를 솔직하게 말하면.

(Avatar: The Way of Water 이하 ) 개봉 전 두 번 맛보기 영상을 봤다. 15분짜리 풋티지 영상과 이후 마지막에 나오는 짧은 영상. “오 대박이다”라고 생각했다. 전에 보기 힘든 CG의 수준이었다. 또 하나

www.neocross.net

 

자신의 삶이 불안정하고, 미래가 보이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이가 선택하는 방향은 크게 두 가지다. 극복 혹은 어떤 대상에 대한 동질화다. 전자는 어려운 길이다. 지금보다 몇 배 더 노력해야 한다. 후자는 쉬운 길이다. 나와 비슷한 상황, 혹은 더 심한 상황에 처한 대상을 찾아 위로를 받는다. 현실 도피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잠시 안식을 시간을 갖는다고 할 수도 있다. 전 세계 팬의 사랑을 받던 프레디 머큐리가 사실 자신의 삶은 불안정하다 못해 인간그 자체로는 바닥이다.

 

<보헤미안 랩소디>는 관객수 자체의 의미보다는 사회적으로 이 같은 정서를 끌어냈다는데 의미가 있다. (물론 관객 숫자도 만만치 않다) 그러나 역으로 생각하면, 행복한 사회였다면 아마 <보헤미안 랩소디>는 퀸의 음악이 BGM으로 잘 깔리고, 마지막 콘서트 장면만 화려한 다소 약한 음악영화로 치부될 수도 있었을 것이다.

 

- 아해소리 -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