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호동왕자와 낙랑공주의 이야기는 우리에게는 너무나도 친숙하다. 혹자는 한국판 ‘로미오와 줄리엣’이라고 말하기도 하지만, 한 국가를 망하게 할 정도로 짙은 사랑이야기는 기껏 가문끼리 치고 받는‘로미오와 줄리엣’에 비할 바가 아니다.

4년간의 준비기간 끝에 2006년 유럽 초연에서 관객들의 기립박수를 받은 뮤지컬 ‘프린세스 낙랑’이 국립중앙박물관 극장 '용'에서 공연되고 있다.

‘프린세스 낙랑’의 줄거리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설화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호동왕자와 낙랑공주가 서로 사랑에 빠지고 낙랑공주는 그 사랑을 위해 낙랑국을 지키는 신기한 자명고를 찢는다. 그리고 고구려의 군사들이 쳐들어오자 자살을 하게 되고 호동왕자 역시 그러한 낙랑공주를 보고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

물론 설화에는 여러 가지 설이 존재하듯이 달리 뮤지컬에서는 호동왕자의 어머니가 거짓편지로 부탁을 하고, 낙랑공주가 최리왕이 아닌 자살하는 등 약간의 각색이 더해져 있다.

뮤지컬 ‘프린세스 낙랑’은 오케스트라 지휘자 출신인 김수범 예술총감독이나 음악대학을 출강하는 이범로 연출로 인해 음악적인 부분은 과하다는 평가를 받을 정도로 훌륭하다. 때문에 어느 부분에서는 뮤지컬이라기보다는 오페라에 가까운 느낌마저 받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부분은 '프린센스 낙랑'의 관계자들도 부정하지 않는다.

(물론 이 부분은 밑에서도 이야기하겠지만 아쉬움으로 남는다. 극에 대한 지적후 총연출자가 수정해야 할 부분에 대한 피드백이 음악적인 부분만 제시된다는 점에서 그렇다)

또한 2000년 시드니올림픽 개·폐막식 작곡가인 부도시와 이반나가 작곡을 맡고, 유럽의 디아파송상과 Soza상 등을 수상한 야로슬라브 등이 제작에 참여했으며 드라마 ''주몽''에서 의상을 재현했던 그레타 리가 한복의상과 무대를 맡아 화려함을 선보이고 있다.

그러나 국내 초연되는 ‘프린세스 낙랑’은 많은 아쉬움을 남긴다.

음악적인 부분을 부각시키다 보니 뮤지컬의 중요 요소인 동적인 부분이 눈에 띄지 않는다. 최리왕과 호동왕자가 초반에 만나는 장면에서 고구려 병사들이 춤을 추는 부분이나 전투 장면을 제외하고는 전체적으로 정적인 움직임만 존재해 지루해지는 느낌을 갖게 한다.

초반 천사장의 설명 역시 집중력을 떨어뜨린다. 다수의 뮤지컬들이 첫 장면에서 전체 흐름을 설명함과 동시에 관객들의 시선을 잡는 동적인 장면이나 내용을 넣는 반면에 ‘프린세스 낙랑’은 스토리를 설명하는데 치중하는데 너무 많은 시간을 할애한다. 이 시간에 나머지 배우들은 그냥 정적인 움직임만 보여 더더욱 천사장의 설명이 지루하게 느껴지게끔 만든다.

가장 큰 문제는 다수의 장면이 배우 2~3명이 나와 연기를 펼치는데, 이들이 무대를 장악하지 못해 커다란 극장이 비워 보이는 느낌마저 들게 한다는 점이다. 연출의 미흡함인지 아니면 배우들의 역량이 부족해서인지 배우의 음악은 관객을 흡수하지 못하고 무대 장악력은 크게 떨어진다. 그렇다보니 감동을 받을 수 있는 넘버가 한번 더 반복되는 순간 이같은 공허한 무대의 느낌과 겹쳐 또다시 지루함이 이어진다.

어쩌면 유럽에서 프린세스 낙랑이 기립박수를 받을 수 있었던 이유는 그들의 정서에 신기한 느낌으로 다가갔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한국판 로미오와 줄리엣이란 타이틀 역시 그들에게 궁금증을 유발시켰는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미 익숙한 내용을 다채로운 분위기와 신선한 음악으로 전환시키고 배우들의 숨소리까지 느낄 수 있는 뮤지컬로 제작하는데 있어서는 다소 불완전한 느낌을 지울 수 없게 만들었다.

김수범 단장은 “국내 초연으로 진행의 미숙한 점이 있지만 횟수가 거듭될 수록 완성되어 가고 있다”고 설명했지만, 익숙한 이들에 대한 좋은 평가가 곧 익숙치 못한 이들에게는 환호로 바뀔 수 있음을 전제한다면 완성도는 이미 어느 선에서 끝났어야 한다고 본다.

- 아해소리 -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