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예로부터 우리 민족은 한지 (장판지) 위에서 태어나, 평생을 한지 (서책) 속에서 살다가, 결국 한지 (염습)에 싸여 흙으로 돌아갔다”

생각해보면 정말 그렇다. 특히 태어남에 대해서는 요즘은 바뀌었지만, 삶과 죽음은 여전히 우리는 종이에서 산다.

물론 컴퓨터, 스마트폰 등 다양한 기기들의 발달은 어느새 우리 손에서 종이를 빼앗아가기 시작했다. 책을 읽던 손은 스크린에 터치를 하기 시작했고, 펜으로 종이 위에 글을 쓰던 손은 자판이나 스크린을 두드렸다. 그러나 종이는 과거 역사를 기록했고, 아직도 기록하고 있으며, 활용 영역을 좁아질망정 그 중요성은 결코 떨어지지 않고 있다.

2007년 100번째 영화 <천년학>을 마친 세계적 거장 임권택 감독이 101번째이자 첫 번째 영화 <달빛 길어올리기>를 통해 종이, 그것도 한민족의 끈기를 드러내주는 문화유산인 ‘한지’ (韓紙)를 세상에 소개하고 나섰다. 그리고 그가 소개 장소로 선택한 곳은 전주를 중심으로 한 전라도. 광활한 평야와 맑은 물, 그리고 달빛이 어우러진 풍경을 뛰어난 영상미로 담아내며, 전작과 마찬가지로 또한번 아름다운 대한민국 강산을 그려냈다.

여기서는 그 공간에 대한 이야기를 영화와 연결시켜 해보려 한다.

◇ 전주, 뛰어난 한지가 탄생하는 천혜의 공간

영화는 대부분 전라북도 도청소재지인 전주시를 배경으로 한다. 흔히 양반 도시, 음식맛이 뛰어난 도시로 불리우는 이곳의 또 하나의 자랑은 ‘한지’다. 고려 중기 이래 조선후기까지 왕실에 진상품으로 들어가, 조선시대 외교문서로 사용되었는데, 품질이 우수한 닥나무가 철분 함유량이 적은 깨끗한 물이 전주 지역에 있었기 때문이다. 이런 조건은 숙력된 기술의 오랜 역사를 지니게 했다.

때문에 영화에서 ‘한지’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놓는 시작도 전주다. 물론 경상남도 의령과 전라북도 완주 등 뛰어난 한지가 생산되는 곳은 많기에 사실 우열을 가리는 것은 무의미한 일이다.영화가 전주국제영화제의 지원을 받았기에 전주가 중심이 되지만, 영화는 실상 전라도를 배경으로 한다고 하는 것이 맞다.

◇ ‘한지’가 태어난 곳, 개발 문화에 사라지다

극중 만년 7급 공무원 ‘필용’ (박중훈) 때문에 3년 전에 뇌경색으로 쓰러진 아내 ‘효경’ (예지원)은 대대로 종이를 만들던 집안에서 자라 지공예에 능하다. 어릴 적 ‘한지’를 만들던 아버지가 일본에서 바람이 나, 집안을 버리고 어머니와 자란 불우한 성장환경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자신이 자란 ‘종이를 가장 잘 만드는 마을’이었던 고향을 찾으려 애쓰고, 결국 찾아내지만 이미 강 개발사업으로 인해 수몰 마을이 되어 사라졌다.

수몰된 ‘효경’의 고향으로 등장하는 곳은 완주 8경의 하나인 완주군 고산 대야저수지다.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저수지답지 않게 자연스럽고 빼어난 경관을 자랑하는 이곳은 기암절벽이 병풍처럼 둘러있는 운암산과 맞닿아있다.

실제로 수몰지는 아니지만, 이곳은 극중 ‘한지’의 인생과 맥을 같이 한다. 최고의 종이로 평가받으며 전성기를 구가하던 과거를 뒤로하고, 값 싼 수입지에 밀려 서서히 잊혀져가는 ‘한지’의 최고 장인들이 모여살던 동네가, 댐 건설로 인해 사라졌듯이 ‘한지’ 역시 지금과 같은 추세라면 훗날 맥이 끊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아름다운 경관과는 어울리지 않는, 암울한 미래를 보여주고 있는 셈이다.

◇ 하늘에 뜬 달빛, 물로 길어오르다

어느날 술에 취한 ‘필용’이 아내 ‘효경’에게 달을 물에 떠다 바친다. 물 속에 비친 달, 그러나 달은 하늘에서 광대한 빛으로 땅을 비춰야 제대로 된 기운을 받는다. ‘필용’이 전문 다큐멘터리 감독으로 ‘한지’ 촬영에 나선 ‘지원’ (강수연)과 함께 한 드라이브 길을 훤히 비친 달은 ‘한지’를 만드는 과정에서 ‘달빛’이 신성한 역할을 함을 보여준다.

이들이 차를 몰고, 달빛이 밝혀준 길은 김제평야 갈대밭이다. 전북 김제시를 중심으로 부안군 ·완주군 ·정읍시의 일부지역에 펼쳐진 평야로 한국 최대의 곡창지대로, 풍요로움을 상징한다.

혹자는 전북 지역의 ‘한지’발달이 풍요로움에서 시작된다고 말한다. 종이의 발달이 학문의 발달로 이어지고, 이를 가능케 한 것이 의식주의 풍요로움에서 시작된다는 말이다.

흥미로운 것은 앞서 말한 대야저수지나 김제평야가 전주와 함께 전북지역에서 ‘한지’를 대표하는 완주를 끼고 있다는 사실이다. 의도적인 배려인지는 몰라도, ‘한지’의 역사가 비단 한 지역에 국한되지 않음을 보여주는 셈이다.

◇ 달빛과 물, ‘천년 한지’가 새로 태어나다

영화의 하이라이트는 무엇보다 천년 세월을 숨쉬는, 달빛을 닮은 우리의 종이 ‘한지’를 재현하는 장면이다. 일반인들은 통제되고, 차조차 들어갈 수 없는 깊은 산속에 위치한 맑은 물이 있는 장소에서 ‘필용’과 ‘지원’ ‘효경’이 모두 모이고, 한지 장인의 손에 의해 ‘천년 한지’가 만들어진다. 그윽한 달에 ‘천년 한지’ 탄생의 소원을 빌고, 물에 비친 달빛에 취해 발로 종이물을 걸러서 뜬다.

진정 천년을 가는 ‘한지’가 만들어지는지는 알 수 없다. 그러나 달빛과 물 그리고 그 안의 ‘지원’의 말처럼 ‘한지에 미친 사람들’의 진정성은, 곧 믿음으로 변하게 된다.

이 세상이 아닌 듯 펼쳐지는 이 아름다운 풍경은 전북 무주군 덕유산에 있는 무주구천동 계곡 33경 중 제15경인 월하탄이다. 극 중 대사로도 나오지만, 이곳은 선녀들이 달빛 아래 춤을 추며 내려오듯 폭포수가 기암을 타고 쏟아져 내려 푸른 담소를 이룬다고 해 월하탄 (月下灘)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화려하게 각광받다가 서서히 사라져가는 ‘한지’. 그러나 가장 성스러운 기운과 맑은 기운을 통해 다시 ‘천년 한지’로의 부활의 꿈을 꾸는 모습은 비단 영화 속 한 장면이 아닌, 현재 많은 사람들의 바람일 것이다. 그러기에 스크린에서 쏟아지는 아름다운 풍광의 영상미는 눈이 아닌 가슴으로 들어온다.

- 아해소리 -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