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20대 넘어 <삼국지>와 관련된 이야기를 들을 때 가장 인상 깊었던 말이 “<삼국지>를 한 번도 읽지 않은 사람과 상대하지 마라. 그러나 <삼국지>를 세 번 이상 읽은 사람과는 상대하지 마라라는 내용이었다. 전자든 후자든 다소 억지스럽지만, 아예 틀린 말은 아니다.

 

2006년에도 어설프게 이 블로그에 썼지만, ‘삼국지를 첫 대면한 것은 중학교 2학년 때, 코에이에서 나온 게임 삼국지2’를 하기 위함이었다. 게임에 나오는 수많은 인물들의 특징을 알고 싶었고, 그래야 게임이 잘 진행될 것 같았다. 결국 전부는 아니지만, ‘다수를 외울 수 있었고, 그에 맞춰 게임을 진행하다보니 한 달은 지나야 통일하던 게임을 일주일, 이틀로 줄일 수 있었다.

 

 

"절대 세번이상 읽지 마라?" - 삼국지.

서점에 가보면 늘 몇개 단을 버젓이 차지하고 있는 소설들이 있다. 아마도 그 중에 으뜸은 분명 나관중의 삼국지일 것이다. 해설본을 비롯한 反삼국지 등등을 고려하면, 굉장한 숫자다. 삼국지

www.neocross.net

 

삼국지를 읽으면서 사람마다 매력적인 대목이 다르겠지만, 내가 가장 끌렸던 대목은 조조에 맞서 제갈공명이 오나라에 들어가 전쟁 동맹을 맺기 위해 오의 문관들과 논쟁을 벌였던 부분이다. (물론 역사적 사실 여부는 별개로 나관중의 삼국지에만 기인하다) 제갈공명은 장소를 비롯해 오의 뛰어난 문관들과 설전을 벌였고, 결국 주유까지 굴복시켜 전쟁에 참여토록 한다. 누군가 한 사람이 의지를 가지고 다른 사람들을 설득해 나가는 장면은 누구나 끌릴 수밖에 없을 것이다. 고등학교 당시 토론 동아리에서 활동할 때, 이 대목은 나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무엇인가를 의심하고 반박하고 내 논리를 펴가는 모습이 그대로 투영되었다.

 

 

그런데 나이를 더 먹어갈수록 삼국지의 매력적인 대목이 변하기 시작했다. 정확하게는 어느 한 대목이 아닌, 전체가 보였다. 주군과 신하의 관계, 그리고 그 관계가 어떻게 이뤄지고 어떻게 찢어지는지. 주군이 어떤 모습을 보일 때 신화와 백성은 떠나고, 신하의 충성과 배신에 어떻게 주군은 대해야 하는지, 스토리가 전체적으로 펼쳐지기 시작했다.

 

유비든 조조든 손권이든 그들만의 이유가 있어서 누군가를 버리고, 죽이고, 취하고 했으며, 제갈공명, 관우, 장비, 조운, 주유, 허저, 육손, 장소, 태사자, 감녕 등등의 수많은 신하들은 왜 주군을 따르고 배신했는지가 조금씩 보이기 시작했다. 그리고 삼국지가 갖고 있는 힘이 보였다.

 

물론 이 같은 주군과 신하의 모습은 초한지’ ‘손자병법등에서도 나온다. 그러나 등장인물들의 캐릭터가 뚜렷하게 드러나며, 인물과 상황이 유연하게 결합, 해체되는 과정은 삼국지가 가장 으뜸이라고 본다.

 

회사 생활을 하면 이 같은 삼국지의 스토리는 더욱 강하게 다가온다. 주군의 개념은 아니지만, 회사 오너의 모습, 그리고 중간 관리자의 모습, 그리고 사원의 모습이 어떻게 투영되는지가 보인다. 실적과는 무관하다. 사람의 마음을 어떻게 읽는지가 보인다. 자기만 아는 주군이 어떤 결말을 맞이했는지 삼국지는 보여준다. 그러나 인간의 마음이라는 것은 변하기 힘들다는 전제로 보면, 지금도 이 결말은 유효하다.

 

사람을 중심에 두고, 어떤 결과물을 위해 사람이 희생되는 것이 아닌 사람이 그 결과물을 만드는 주체로 만드는 것이 결국은 목표를 이루게 한다는 교훈. 그러나 사람들은 삼국지를 그냥 소설로만 인식하고 있다.

 

또 하나의 인생 터닝포인트를 결정하는 시기에, 다시 삼국지를 읽고, 다시 삼국지를 말하다.

 

- 아해소리 -

728x90
728x90
반응형
 

서점에 가보면 늘 몇개 단을 버젓이 차지하고 있는 소설들이 있다. 아마도 그 중에 으뜸은 분명 나관중의 삼국지일 것이다. 해설본을 비롯한 反삼국지 등등을 고려하면, 굉장한 숫자다.


삼국지를 세번이상 읽은 사람과는 대면도 하지말라는 의미있는(?) 말도 있지 않은가.(이 말과 또다른 말도 있다. 젊어서는 삼국지를 여러 번 탐독하는 것이 이득이지만, 나이가 든 사람이 읽으면 능구렁이가 된다는 주장도 있고. 아무튼 그같은 주장을 낳는 다는 자체가 대단하다)


내가 삼국지를 처음 본 것은 중학교 2년때일 것이다. 처음 AT컴퓨터를 구입한 뒤 했던 게임이 페르시아 왕자와 삼국지 2편이다. 삼국지 2편은 너무 매력적이라서 공부건 뭐건 만사 때려치고 게임에 열중했다. 지금보면 조잡한 그래픽에 사운드지만 흑백모니터에서 펼쳐지던 그 내용은 너무나도 멋졌다.


그래서 산 것이 범우사에서 나온 삼국지였다. 한권 가격이 5천원으로 5권 전질을 한번에 샀으니 당시 중학생으로서는 굉장한 결단이었다. 그리고 게임에 빠진 몇개월동안 그 책도 손에서 놓지를 않았다. - 당연히 학교성적 등의 하락은 같이 이뤄지고. --;; -


그 5권중에서도 특히 1,2,3권..도원결의와 삼고초려, 적벽대전내용은 너무 매력있고 화려했다. 나중에 삼국지 1세대가 죽고 2세대들이 나오면서 조금은 시들해졌지만, 아무튼 삼국지는 나오는 인물들의 한마디한마디가 매력적이고 '큰' 느낌이었다.


지금도 난 삼국지를 읽는다. 물론 다른 삼국지이다. 황석영선생이 쓴 내용으로 많은 부분이 내가 처음 읽었던 삼국지와는 느낌이 다르다. 허나 기본이 어디 가겠는가? 만일 누가 아이에게 처음 책을 사준다고 해서 추천해달라면 단연 삼국지가 그 순위에 올라가 있을 것이다.


아래 사진은 내가 약 13년전 산 삼국지와 같은 내용인데 책값이 두배 (5천원 -> 1만원) 오르면서 표지가 조금 달라졌다. 삼국지의 내용과 평이야 여기서 내가 몇자 끄적인다고 될 내용이 아니다. 그냥 읽어보면 안다. ^^




-아해소리-

728x90
728x90
반응형

책을 읽는 동기가 순수해야하다는 말이 있다. 그냥 그 안에서 지적 자양분을 맛봐야 한다는 말이란다. 솔직히 책을  읽는데 '순수'와 '불순'의 정의를 내리는 것은 웃기는 일이지만, 난 <태백산맥>을 시대와 다르게 정말 '불순'한 의도로 처음 읽기 시작했다.

 

과거 모신문사에서 전국 독후감대회를 개최했는데, 당시 제시된 책중에서 왠지 <태백산맥>을 읽고 써내면 어느정도의 가산이 있을 줄 알았다. 10권에 이르는 대하소설을 읽고 독후감을 제출하는데 설마 그냥 넘기겠어라는 생각이 들었던 것이다. - 결과적으로 떨어졌다. 그 후 대학 4년때 다시 심심풀이로 가볍게 읽은 <맞아죽을 각오로 하고 쓴 한국, 한국인 비판>으로 상을 받게 된 어처구니없는 일이 생겼다.

 

 

<누구나 홀로 선 나무>(조정래)┃글의 무게를 배우다.

난 개인적으로 글에 대한 욕심이 많은 편이다. 다른 사람의 잘 쓴 글을 보면 부럽기도 하고 질투심도 갖는다. 내 스스로 아직 한참 모자름을 알면서도 주제넘게 이곳저곳 글을 쓰며 다닌다. 대학

www.neocross.net

 

사진은 조정래 등단 50주년 기념판으로 2020년에 나온 책이다.

 

아무튼 그렇게 읽기 시작한 <태백산맥>은 대하소설의 재미와 우리 말의 아기자기함의 깊은 맛을 알게 해주었다. 더구나가 슬픈 역사를 머리가 아닌 가슴으로 새기는 계기까지 마련하게 되었다. 막연히 알고있던 조정래라는 작가에 대해서도 새삼 다시 알게되었다. 물론 여기에는 시대적인 배경도 있다.

 

내가 <태백산맥>을 읽을 즈음인 당시에는 연세대 한총련사태가 있었고, 갑자기 대학가의 운동권에 대한 통제가 극심해질때였다. 또한 1994년에 조정래 선생이 고소당해 한창 수사중에 있어서 <태백산맥>이 일종의 '잠재적 불온서적'이었다. 불순한 동기와 지적피폐함 그리고 사회적인 주목성을 지닌 책에 대한 호기심이 동시발동해서 책을 끝까지 읽을 수 있게 되었다. - 물론 시작은 앞서 말한대로 불순했다.

 

 

<삼국지>가 세상을 살아가는 지혜와 처세를 알려주는 책이라면 태백산맥은 한국인으로 살아감에 있어 뿌리찾는 방법과 역사에 대한 반성하는 태도를 어떻게 갖는지를 알려주는 듯 하다. 내가 빌려 읽어서 현재 소장하고 있지 않아 아마도 이 '책 말하기'에는 언제 올릴지 모르지만, 만일 <태백산맥>을 읽는 사람이 있다면, 아리랑과 한강도 같이 읽었으면 한다.

 

<지금은 양장형으로 다시 나온 것으로 안다>

 

-아해소리-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