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매형이 한 영어교재 업체로부터 전화를 받았다. 결혼 전에 YBM시사 영어를 했던 매형에게 전화한 업체에서는 이제 중고급과정을 마쳐야 하기에 아직 결재하지 않은 돈을 내라는 것이였다.

매형도 어이없고, 그 이야기를 들은 나도 어이없었다. 매형은 그럼 당시 계약서를 팩스로 보내라고 했는데, 그 이후 연락이 없다고 한다.


관련 사이트와 소비자연맹 등을 모두 뒤졌다. 의외라고 해야 하나, 아니면 당연한 일이라고 해야 하나. 그 피해자는 어마어마했다. 동일 업체가 한 사람에게 요구하는 금액이 대략 100만원에서 160만원 사이가 대부분이고, 심할때는 200만원의 돈을 요구하기도 한다는 피해사례가 올라오고 있었다.


1800여명의 피해자 모임 사이트에서 실제 피해를 입은 사람이 1천명정도라고 치더라도 10억이 넘는 돈이 사기업체에게 넘어간 것이다. 일부는 이런저런 방법으로 받았다고 하지만, 그래도 아직까지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모르겠다는 글이 많았다.


소비자단체에서는 오로지 시정명령만 외칠 뿐이고, 실질적인 사법권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만을 강조한다.


결국은 소비자의 문제다. 그런데 그 소비자들이 아무것도 모른다는 것이다. 조금만 인터넷에서 찾아보고, 과거 뉴스 등을 찾아보면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충분히 알 수 있는 문제인데, 그것이 전혀 행해지고 있지 않은 것이다.


피해자 모임 사이트에서 보면 초창기 당한 사람들이 이제 최근 당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상담을 해주고 있는 모습을 본다. 그것이 반복되어 이뤄진다. 이야기를 들어보면 어리지도 않다. 이제 막 고등학교를 졸업한 것도 아니고, 20대 중반부터 30대까지 다양하다. 그런데 사기업체에 쉽게 넘어간다.


소비자단체 관계자는 이렇게 말한다.


"대부분 소비자들은 이런 문제에 대해 관심이 없다가 당하고 나서야 부랴부랴 문의를 해온다. 언론에서 크게 뉴스로 나와도 안본다."


대부분 신문 1~2면은 정치 경제 사회를 막론하고 중요한 사안을 다룬다. 그리고 각 페이지 톱기사들은 중요한 기사다. 그런데 그것이 아무리 중요해도, 재미가 없으면 읽히지 않는다. 근본적으로 인터넷으로만 기사를 접하기 때문에 뭐가 중요하고 중요하지 않은지를 판단하지 못한다는 지적도 있다. 언론가치관이 정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포털사이트서 앞에 뜨는 몇몇 뉴스만 보고, 이슈되는 몇가지만 챙기면 모든 뉴스를 다 본듯한 느낌을 가진다는 것이다.


사기 업체들도 이런 흐름을 아는지 자신들의 이야기가 뉴스에 나가도 상관치 않는다. 문제가 된 업체의 경우 4월 초에 공정위에서 시정명령을 받았다고, 다양한 매체에서 보도를 했었다. 그리고 매형이 그 업체로부터 전화를 받은 것은 4월 중순이다. 그대로라는 말이다.


정부의 단속도 강화되어야 겠지만, 결국 소비자가 똑똑해져야 한다는 말이다. 피해를 입고나서 정부에 호소하는 것보다 피해를 입기전에 미연에 스스로가 알아서 방지하는 것이 물질적으로나 심적으로나 편안할 것이다.


-아해소리-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