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인터넷 포털은 언론인가, 아닌가. 현행 법령상으로는 아니지만 실질적으로는 이미 언론 기능을 하고 있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포털이 하고 있는 기사 선택과 화면 배치 등은 언론 행위에 해당하며, 수용자들은 포털을 언론으로 받아들이고 있다는 것이다. 포털에 책임성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2000년을 전후해 부가 서비스 개념으로 시작됐던 인터넷 포털들의 뉴스 서비스는 2001년 9·11테러, 2002년 한·일월드컵과 대통령선거 등 대형사건에서 위력을 발휘했다. 자연스레 포털의 뉴스 서비스 비중이 늘고 서비스 형태도 다양화됐다.


온라인 미디어랩인 ‘나스미디어’가 최근 6~59세 남녀 네티즌 5,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했더니 응답자의 46.7%가 인터넷에서 뉴스를 본다고 답했다. 특히 인터넷 뉴스 소비자의 90%가 포털에서 뉴스를 보고 있다. ‘인터넷 뉴스’=‘포털 뉴스’인 셈이다. 신문에서 뉴스 정보를 얻는다는 응답자는 6.9%에 불과했다.


포털의 영향력과 파급력은 상상을 초월한다. ‘모든 뉴스는 포털로 통한다’는 얘기가 나올 정도다. 소비자 입장에선 많은 뉴스를 한자리에서 공짜로 즐기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비대해진 영향력만큼 문제점도 드러나기 시작했다. 선정성은 포털 비판의 단골 메뉴다. 포털들이 조회수를 높이기 위해 스포츠·연예계 뉴스를 과도하게 주요 뉴스로 다루거나 정치·사회 관련 뉴스도 흥미 위주로 접근한다는 지적이 그것이다. 포털측에서는 “독자층이 다양하다보니 스포츠·연예 뉴스가 주목을 받는 것이지 정치·사회 뉴스를 의도적으로 외면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반박하고 있지만, 포털들이 클릭수에 너무 민감하다는 비판은 여전하다.


포털은 오보의 유통에 대한 책임에서도 비켜 서있다. 신문법상 포털은 인터넷 신문이 아니기 때문에 언론중재위원회를 통한 정정보도 청구 등의 문제 제기가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 건국대 황용석 교수는 “뉴스 복사나 전송행위에 대해서도 언론피해구제제도 도입을 논의할 때가 됐다”고 말했다.


자유로운 토론의 장이 되어줄 것으로 기대됐던 댓글은 종종 언어폭력의 격투기장으로 돌변한다. 연예인 X파일, 개똥녀, 임수경씨 아들 사망에 대한 명예훼손 사건 등이 대표적이다. 포털들은 최근에야 댓글 기능을 실명제로 전환하고, 한사람이 하루에 달 수 있는 댓글 개수도 제한했다.

정치적 편향성 시비도 심심찮게 일어난다. 보수단체인 자유주의시민연대는 5·31 지방선거 당시 5대 인터넷 포털 사이트들을 모니터링했더니 정치기사의 형평성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주장했다. 예를 들어 서울시장에 출마한 강금실 후보에 관한 기사수가 오세훈 후보보다 많았으며, 오후보의 경우 부정적인 기사가 많았다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노무현 대통령 비판 기사가 포털에서 작게 취급되는 점 등을 들어 “정권에 너무 우호적인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이에 대해 미디어 다음 관계자는 “지난해 부동산대책이 쟁점거리가 될 때 열린우리당 쪽에서 편파적이라고 비판했는데 이제는 한나라당에서 똑같은 비판을 한다”면서 “편향적이라는 비판 자체가 편향적인 것”이라고 반박했다.

/출처 : 경향신문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