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난 내가 서른이 되기 전에 인생의 숙제 둘 중 하난 해결할 줄 알았어. 결혼하거나 일에 성공하거나. 그런데 이게 뭐냐고.”

동숭아트센터 동숭홀에서 올려지고 있는 뮤지컬 ‘싱글즈’의 나난이 외치는 이 말은 지극히 평범한 대한민국 29살 싱글들의 마음을 대변한다. 동시에 벗어나고픈 현실을 집어주는 말이기도 하다.

뮤지컬 ‘싱글즈’의 큰 흐름은 영화 ‘싱글즈’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때문에 관객들은 다음 장면이 무엇인지 배우들이 어떤 표현을 할 것인지 대략의 스토리를 이미 파악하고 있다. 하지만, 관객들은 이런 ‘뻔히’ 아는 스토리임에도 엉뚱한 곳에서 웃음을 터트리고 의외의 장면에서 박수를 친다. 뮤지컬 ‘싱글즈’가 영화 ‘싱글즈’가 같으면서 다른 점이 바로 이것이다.

29살이란 인생의 전환점 아닌 전환점에 대해 뮤지컬 ‘싱글즈’는 매우 유쾌하게 이야기한다. 평범한 사람이라면 누구라도 거부하고픈 일들이 주인공 나난에게 연이어 일어나면서 이야기는 슬프지만 유쾌하게, 거부하고 싶지만 이미 한번쯤은 겪었을 법한 느낌으로 다가오기 시작한다.

그리고 이러한 느낌은 뮤지컬이 가지고 있는 힘인 생생한 움직임과 노래로 관객들을 휘어잡기 시작한다. 영화는 많은 공간에서 다양한 상황들을 연출하면서 극장 안 관객들을 끌어들이지만 공간이 제약이 따르는 뮤지컬은 ‘내 이야기’를 한 곳에서 동적으로 표현하면서 관객들을 끌어들이는 것이 아닌 동화시켜 버린다.

뮤지컬은 29살이란 나이를 숫자에 불과하다고 말한다. 싱글이란 존재도 ‘혼자’라는 것에 무게를 두기보다는 ‘자유’와 ‘책임’에 무게 중심을 이동시킨다. 나난도 초반에 “스물아홉, 전혀 특별하지 않아”로 시작된 노래가 끝에 가서는 ‘서른살’에 대한 칭송으로 바뀌어 버린다. 한마디로 대한민국에서 29살과 싱글에 대한 처참한 선입관과 불안감을 일순 날려버리고 있는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뮤지컬 ‘싱글즈’에서 또하나 주목할 것은 배우 김도현의 변신이다. ‘인당수 사랑가’나 ‘천사의 발톱’에서 보여준 강인한 느낌에서 이번에는 친숙한 옆집 총각의 모습으로 관객들을 웃기기도 하고 안타깝게도 만든다. 영화에서 이범수가 했던 역할을 맡은 김도현은 뮤지컬이 영화와 달리 나난이 중심이 되는 것이 아닌 남녀 주연배우 네 명의 싱글라이프가 골고루 표출되고 있다는 것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나난과 동미의 사이에서, 그리고 동미와의 관계에서 자신뿐만 아니라 다른 인물들까지도 지속적으로 부각시켜 주고 있는 것이다.

이런 김도현의 모습과 반대로 아쉬운 것은 이현우의 모습이다. 여성관객들의 열렬한 환호를 받으며 등장했지만, 노래를 제외한 이현우의 연기는 브라운관 드라마의 ‘실장님’ 이미지에서 여전히 벗어나지 못했다.

이현우는 자신의 스타일을 억지로 바꾸려 하는 것은 몸에 맞지 않는 옷을 입으려 한다며 이번에도 자신의 스타일대로 자연스럽게 연기할 뜻을 이미 밝혔다. 그러나 이것이 뮤지컬 속 ‘수헌’이 아닌 드라마 속 ‘실장님’의 이미지만 부각시키고 있는 이현우의 연기를 설명하기에는 부족하다. 그는 그냥 자신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뮤지컬 속에 스스로는 녹아내리는 것이 아닌 자신이 가진 모습만을 보여주는 그 이상의 노력도 없었다.

그러나 극 전체를 보면 분명 뮤지컬 ‘싱글즈’는 29살이라는 ‘의미없어’하고 싶은 숫자를 이미 겪었거나 겪고 있거나 겪을 예정인 모든 사람들에게 ‘의미있게’ 만들어 줄 것이다. 그것도 아주 유쾌하고 기분좋게 말이다.

스토리를 따지지 말아야 한다. 영화가 아닌 뮤지컬이라는 것을 의식하고 본다면 제법 괜찮은 경험을 얻을 수 있다.

- 아해소리 -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