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다한 도서와 지식

베트남 전쟁 속 8년간의 지옥에서 살아남은 장교…스톡데일 패러독스

아해소리 2025. 4. 30. 07:55
반응형

 

 

갈라파고스, 갈라파고스 규제, 갈라파고스 증후군…‘보존 공간’이 ‘고립’의 의미로?

“한국의 잠재성장률 하락과 청년실업·저출산 등 경제·사회 문제 해결을 위해선 규제 환경이 우선 개선돼야 한다. 현재의 탄력적·선택적 근로시간제는 단위 기간을 1년으로 확대하고, 중대재

www.neocross.net

 

 

미국 해군 역사상 해군 기념장과 의회 명예 훈장을 동시에 받은 최초의 3성 장군 제임스 스톡데일(james Stockdale). 그는 베트남 전쟁 때 무려 8년 동안이나 베트남 포로수용소에 갇혔다가 종전 후에야 겨우 석방됐다. 그사이 같이 수용소에 갇혔던 많은 동료와 부하들은 끝내 고향 땅을 밟지 못했다. 이런 상황에서 제임스 스톡데일이 살아오자, 사람들은 궁금해 했다. 도대체 그 오랜 기간 어떻게 고문을 견디고 끝내 미국으로 돌아왔을까.

 

제임스 스톡데일

 

1965년 해군 항공대 조종사였던 스톡데일 중령은 북베트남 공습 명령을 수행하다 대공포에 격추됐지만 간신히 살아남았다. 그러나 그가 살아남아 돌아간 곳은 자신의 부대가 아니라, 북베트남 군대였다. 가로 90센티미터, 세로 275센티미터의 독방에도 4년간 감금된 그는 전쟁 포로의 권리를 보장받지 못하고 정해진 석방 일자도 알 수 없는 데다 살아남을 수 있을지조차 불확실한 상태였지만, 끝내 수용소 생활을 견뎌냈다.

 

단순시 견딘 것만이 아니다. 스톡데일은 수용소 측이 전쟁 포로들을 잘 대우한다는 선전 영상을 찍으려고 하자 자해를 하면서 맞서기도 했다. 게다가 살아남기 위한 노력을 자신만을 위해 하지 않았다. 가능한 한 많은 포로가 큰 부상 없이 살아남을 수 있도록 자신이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했다. 그가 포로 수용소에서 보여준 이런 모습이 동료 수용자들을 통해 전해지면서 각종 훈장을 받고, 1976년 미국 독립 200주년에는 명예 훈장까지 수여받는 영예도 안았다.

 

 

 

비가 올 때까지 기우제 지내는 주술사 ‘레인메이커’와 한국 검찰.

한국 검찰의 수사 방식을 보고 사람들은 ‘인디언 기우제’ 방식이라 이야기한다. 인디언 기우제를 놓고 여러 해석이 있지만, 검찰을 보고 ‘긍정’적인 해석을 하는 이들은 드물 것이다. 인디

www.neocross.net

 

 

베트남 전쟁 포로수용소

 

포로 수용소에서 그는 어떤 생각을 하며 버텼을까. 스톡데일 장군의 설명은 이렇다.

 

“절망적인 현실에서도 풀려나리라는 희망을 단 한 번도 의심한 적 이 없다. 하지만 지옥 같은 포로수용소의 현실을 직시했다. 냉정하게 그 현실을 받아들이고 나 자신을 그 현실에 적응시켰다.”

 

미국 경영학자 짐 콜린스는 이를 경영학에 접목해 저서 좋은 기업을 넘어 위대한 기업으로Good ro Grear’에서 '스톡데일 패러독스‘(Stocktale paradox) 즉 스톡데일의 역설이라고 명명했다. ’냉혹한 현실을 받아들이면서 희망도 잃지 않는 합리적 낙관주의가 그 긴 8년을 버티게 했다는 것이다. 기업도 스톡데일처럼 역경에 처했을 때 희망을 잃지 않고 현실과 정면 대응해 극복해야만 위대한 기업으로 발전할 수 있다는 게 요지다.

 

수용소에서 가장 먼저 죽음을 맞은 동료는 그냥 낙관주의자였다. 크리스마스 때까지는 나갈 것이라고 말하다가 크리스마스가 지나면 부활절에는 나갈 수 있을 거라고 믿었던 낙관주의자들은 그때도 나가지 못하면 결국 상심하다 죽었다는 것이다. 아예 희망의 끈을 놓은 채 "결국 죽고 말거야"라고 포기한 동료들도 끝내 수용소를 벗어나지 못했다.

 

실상 이는 기업이든 사람이든 마찬가지다. 그리고 이것을 잘 볼 수 있는 곳이 도박장과 속칭 밑바닥 인생이라 불리는 이들이다. 언제가는 꼭 따고 언제가는 원금을 회복할 수 있고 언제가는 부자가 될 것이란 생각만 하지, 구체적으로 계획은 없다. 현실에서 돈 빠져나가는 모습을 보지 못한다. 밑바닥 인생은 반대다. 그냥 그렇게 살다가 죽을 것이라 생각하고 역시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지 않는다. 스톡데일의 수용소 삶은 어쩌면 당연하지만 쉽게 할 수 없는 일이기도 하다.

 

- 아해소리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