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다한 정보

6년 만에 뜨는 ‘가장 큰 슈퍼문’인 ‘근지점 보름달’ 정체와 관측 및 촬영 방법. (+비버문 +헌터스문)

아해소리 2025. 11. 5. 09:26
반응형

 

 

‘영포티’(Young Forty)가 조롱받는 이유는 ‘차일드포티’(Child Forty)라서.

진서연‧선예‧최시원이 추모한 찰리 커크(Charlie Kirk)의 여성 혐오‧인종차별 발언 등 논란 발언이승만‧박정희‧전두환 독재에서 아직 못 헤어난 국민의힘, 윤석열‧한덕수 등 외부 수혈로만

www.neocross.net

 

과학이 발달하고 달의 존재가 어떤 것인지 안 지가 오래되었는데도 사람들은 여전히 슈퍼문(SUPER MOON)과 월식, 일식 등을 향한 관심은 여전하다. 그리고 슈퍼문이 뜨면 여기에 소원을 비는 사람들도 있다. 이런 슈퍼문의 정체와 관측 그리고 촬영 방법까지 알아보자.

 

슈퍼문

 

1. 2025년 최대 하이라이트, '슈퍼 비버문'의 등장

 

2025115, 오늘 밤하늘에 올해를 통틀어 가장 크고 밝은 보름달인 슈퍼문’(Supermoon)이 떠오른다. 특히 이번 보름달은 6년 만에 지구와 가장 가까워지는 근지점을 통과하며, 그 크기와 밝기가 평소보다 월등히 커질 것으로 예측돼 전국의 천문 애호가들의 기대감을 고조시키고 있다.

 

일반적으로 슈퍼문은 달의 공전 궤도가 완전한 원이 아닌 타원이어서, 달이 지구와 가장 가까운 지점인 근지점’(perigee) 근처를 지날 때 뜨는 보름달(, )을 일컫는다. 한국천문연구원 및 주요 천문 기관의 분석에 따르면, 이번 슈퍼문은 가장 작은 달인 미니문’(Micro-moon) 대비 최대 약 14% 더 크고, 30% 더 밝게 빛날 전망이다.

 

천문학적 공식 용어는 근지점 망’(Perigee Syzygy)이지만, 1979년 미국의 점성술가 리처드 놀(Richard Nolle)에 의해 슈퍼문이라는 용어가 대중화된 이후 현재까지 가장 대중적인 천문현상으로 자리 잡았다.

 

 

2. '비버문' 또는 '헌터스 문', 그 이름에 담긴 의미

 

11월의 보름달은 북미 원주민의 전통에 따라 비버문’(Beaver Moon)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는 비버가 겨울을 대비해 댐을 짓고 먹이를 저장하는 시기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또한, 추수가 끝난 후 사냥꾼들이 늦가을의 밝은 달빛 아래 사냥에 나섰던 전통 때문에 헌터스 문’(Hunter's Moon)이라는 별칭으로도 알려져 있다.

 

슈퍼문 현상은 단순한 시각적 장관을 넘어, 지구의 조석 현상에도 영향을 미친다. 달과 지구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만큼, 평균 보름달보다 조수 간만의 차가 일시적으로 더 커지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다만, 이는 극심한 재해를 유발할 정도의 변화는 아니며, 일상적인 범위 내의 조수 변화로 해석된다.

 

3. '달 착시' 효과를 극대화하는 관측 최적 시간과 팁

 

오늘 밤 슈퍼문의 최대 절정 시각(, 滿)은 한국 시각 기준으로 115일 오후 늦은 시간대로 예측됩니다. 그러나 가장 크고 웅장한 달을 관측하고 싶다면, 달이 지평선에 낮게 떠오르는 월출(月出) 직후 시간대를 놓치지 않아야 한다.

 

달이 수평선이나 지평선 근처에 위치할 때, 우리 눈은 주변의 건물이나 나무 등과 달의 크기를 비교하게 된다. 이로 인해 달이 실제보다 훨씬 더 커 보이는 달 착시’(Moon Illusion) 현상이 극대화 된다. 특히 주황빛을 띠며 떠오르는 이 시간대의 달은 가을밤의 풍경과 어우러져 가장 인상적인 장면을 연출한다.

 

4. 슈퍼문 관측 및 촬영을 위한 꿀팁

 

관측 시간: 서울 기준 월출 시각 직후부터 관측을 시작하여 달이 완전히 둥글게 되는 밤 시간대까지 이어가는 것이 좋다.

 

관측 장소: 주변의 빛 공해가 적고 동쪽 지평선이 트여 있는 곳을 선정하면 선명한 달을 볼 수 있다. (: 강변, 해변, 높은 지대의 공원)

 

촬영 팁: 스마트폰으로 촬영 시, 야간 모드나 Pro 모드를 활용하여 노출을 낮추고(ISO 100~400), 셔터 속도를 빠르게(1/125s~1/250s) 설정하면 달의 디테일을 살릴 수 있다. 망원 렌즈나 쌍안경을 활용하면 달의 표면에 있는 분화구나 달의 바다까지 섬세하게 관찰할 수 있다.

 

- 아해소리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