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유쾌함과 불편함이 공존한다는 것은 극히 모순적이다. 관객들은 몸은 음악에 맞춰 움직이고 있는데, 머리 속에서는 앞에서 펼쳐지는 상황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지 고민하게 된다. 뮤지컬 '자나,돈트'는 동성애가 아직도 접근하기 힘든 상황에서 한국 관객들에게 이 모순된 두 상황을 제시한다.

남-남 커플과 여-여 커플이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지고 남-여 커플은 자연의 법칙을 거스르는 사황이라고 말하는 뮤지컬 '자나,돈트'에 대해 연출과 출연진이 말하는 것은 동성애가 아닌 사람들간의 아름다운 사랑에 대해 전달하고자 한다는 것이다. 동성애든, 이성애든 사람들 사이에 이뤄지는 모든 사랑은 그 자체로 인정받아야 된다는 것이다. 현실 속에서 동성애와 이성애가 각각 균형을 이루고 있다면 이같은 '자나,돈트'의 메시지는 온전하게 전달될 수 있지만, 현실 속에서는 이성애자들이 주류로 있고, 동성애자들이 비주류로 있기에 '자나,돈트'가 전달하는 메시지는 어쩔 수 없이 소수자를 위한 찬송가가 되어버린다. 여기서 관객들은 불편함을 느낀다. 특히 배우 제이 로드리게즈가 자나 역을 맡아 오프브로드웨이를 흔들었던 미국 뉴욕에서의 공연과는 달리 대한민국 광화문의 관객들은 남자 혹은 여자끼리 키스하며, 손 잡고 사랑을 속삭이는 장면이 무대 위에서 보여지는 것에 대해 쉽게 받아들이지 못하기 때문이다.

혹자는 뮤지컬은 뮤지컬로만 봐야된다고 하지만, 문화는 사회를 반영하거나 혹은 거꾸로 사회를 이끌고 가는 역할을 하기에 단순하게 이를 가상의 공간을 그린 뮤지컬로만 인식하는 수준에서 그치기는 어렵다. 특히 최근 영화나 케이블 드라마에서 불고 있는 동성애 코드와 주 내용은 아니지만, 초연 당시 파격이었던 뮤지컬 '렌트'의 동성애 상황이 이성애자가 정상인 사회에서의 동성애자가 사는 방법을 이야기했다면, 이번 뮤지컬 '자나,돈트'는 아예 세상을 바꿔버려 현실을 비웃고 있다. 순식간에 공연 내내 소수자가 되어버린 관객들은 무대 위의 성정체성 코드와 오가는 말에 대해 초반에 적응해야 하는 어려움을 겪게 된다.

그러나 이런 불편함은 이내 곧 '유쾌함'으로 인해 희석되고 만다. 12명의 무대 위 배우들의 빠른 움직임과 코믹스러운 상황 설정 그리고 쉴새 없이 쏟아내는 대사들과 노래들로 인해 관객들은 머리 속에서 느껴지는 불편함을 몸으로 느껴지는 유쾌함과 맞바꾸게 된다. 또 무대를 아기자기하게 이끌고 가는 자나 역의 김호영 (더블캐스팅 이진규)과 관객들을 흡입하는 성량과 분위기를 만들어내는 로버타 역의 김경선, 로버타와 더불어 애정 문제를 코믹스럽게 풀어놓는 마이크 역의 박주형 등의 열연은 관객들을 하트빌 고등학교의 상황으로 빠르게 안내한다. 또 비록 연출가 드버낸드 잰키로 인해 미국의 상황을 그대로 옮겨놓으려는 듯해 느껴지는 조금은 거북한 분위기를, '청계천''MB 운하''김연아 선수' 등을 거론하며 관객들의 호응을 이끌어내는 것도 나름대로 한국의 관객들을 배려한 인상을 준다.

- 아해소리 -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