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사랑의 찬가' '장미빛 인생' 등으로 우리에게도 친숙한 '프랑스의 목소리' 에디트 피아프. 그녀를 배우 최정원이 충무아트홀 중극장 블랙에서 또한번 연기한다. 2009년 예술의 전당 토월극장에 이어 두번째다.

에디드 피아프는 사창가에서 어린 시절을 보내며 길거리에서 노래를 하다가 루이스 르플레라는 클럽 주인에게 캐스팅되어 클럽 무대에서 데뷔한다. 본명이 지오바나 가숑이었지만, '작은 참새'라는 뜻의 피아프라는 이름을 이때 얻게 된다. 성공적인 데뷔를 하지만 이내 피아프의 삶은 순탄치 못한 길을 걷게 된다. 클럽 주인은 자신이 길거리에서 알고 있던 불량배에게 피살 당했고, 피아프는 그등과 공모한 것이 아니냐는 조사까지 받는다.

비록 재기했지만, 피아프의 삶은 남자들과의 관계를 통해 얼룩지게 된다. (물론 피아프는 늘 남자를 원했고, 이들을 사랑하면서 그 감정으로 노래했다고 한다) 1944년 물랑루즈에서 만난 배우 겸 가수였던 이브 몽탕과의 사랑에선 노래 ‘장밋빛 인생’이 만들어지고, 피아프가 가장 사랑했다는 권투선수 막셀 세르당과의 만남과 헤어짐에선 ‘사랑의 찬가’가 탄생된다. 그리고 ‘아무것도 후회하지 않아요’를 부르던 그는 파리 올림피아에서 마지막 콘서트를 열고 팬으로 만난 27살의 어린 남편 테오파니 람부카가 지켜보는 가운데 생을 마감한다.

연극은 굉장히 불친절하다. 최정원을 제외한 여타 인물들은 모두 한두개씩 다른 역할을 또 맡아서 자세히 보지 않으면 '이 사람은 죽었는데 왜 또 나오지'라는 생각까지 갖게 된다. 또 시간적 공간적 배경이 너무나 빨리 지나가기 때문에 자칫 놓치게 되면, 피아프의 현 위치를 알지 못하게 된다. 특히 피아프의 진실한 사랑이었던 권투선수 막셀 세르당의 비행기 사고는 '사고났다'는 알지만, 그것이 충분히 다가오지는 않는다.

그러나 이를 커버한 것이 바로 최정원이다.

연극은 "여러분이 사랑하는 피아프입니다"라는 매니저의 말로 시작한다. 구부정한 모습의 최정원은 등장해 노래를 하다가 쓰러진다. 매니저는 최정원을 들쳐메고 나가고, 이내 화면은 바뀐다. 피아프의 어린 시절로 돌아간 것이다. 여기서 최정원은 천진난만한 어린 피아프를 연기한다. 전율이 흐를 정도였다. 그리고 최정원은 때로는 거침없는 태도로, 때로는 번뜩이는 눈빛으로 관객들을 압도한다. 또 때로는 관객들을 폭소케 한다. 원래 키가 170cm인 최정원은 작은 키의 피아프를 연기하려 23cm나 줄여 보이게 노력했다. 

연극을 처음 볼 때 "아 이 연극은 사전 지식 없으면 깊게 보기 어렵겠구나"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연극 초반이 지날 무렵이면 "최정원을 통해 충분히 피아프의 인생을 볼 수 있겠구나"라는 생각이 들 것이다. 수많은 남자들과 사랑을 나눈 피아프는, 한국에서 최정원을 통해 한국 관객들과 사랑을 다시한번 나누고 있는 듯 싶다.

- 아해소리 -

728x90
728x90
반응형


'인간으로 산다는 것은 무엇일까' 사람들은 누구나 바쁜 와중에 한번쯤 이것을 생각한다. 특히 스스로의 삶이 힘들다고 느껴질 때 왜 자신이 사는지, 사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고민하게 된다. 그러나 그것조차 고민할 여유조차 박탈당했다면 어떨까. 고통 그 자체를 인식조차 못하는 상황이 일상화되었다면 말이다.

현재 예술의 전당 토월극장에서 공연되고 있는 연극 '밑바닥에서'는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창시자로 불리우는 러시아의 막심 고리키가 1902년 발표한 희곡으로 더럽고 어두운 싸구려 여인숙을 배경으로 그곳에서 살아가는 여러 인간들의 삶을 그린 작품이다. 젊은 도둑, 한때 지식인이었지만 이제는 사기꾼이 된 인간, 성공하고 싶어하는 수리공, 망한 귀족이 남작, 순수한 아가씨 나타샤 등 현대 사회의 거대한 모순과 혼란의 소용돌이 속에서 '존엄'을 잃고 살아가는 인간 군상을 보여준다. 이번 공연은 1900년대 우울했던 러시아를 2009년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창조적이고 높은 수준의 작품을 보여주고자 했다.

작품이 주는 울림은 크다. 단순히 밑바닥 삶을 그려서 그런 것이 아니다. 희망과 현실 사이에 존재한 묘한 연결고리와 괴리감이 공존해 관객들에게 다가가기 때문이다. 삶이 변화되는 것도 아니지만, 변화에 대한 희망을 가졌을 때 가지는 기쁨은 잠시 뿐이고 그 희망이 박탈당했을 때 느끼는 삶의 수렁은 이전보다 더 깊이 들어간다. 사람들은 연극에서 희망을 발견하지 못한다. 아니 정확히는 희망이 헛되다는 것을 느낀다. 그러나 그 헛된 희망이 현실이라는 것을 알게되었을 때 관객 개개인이 공연 직후 가져가야 할 보따리의 크기는 달라진다.

연극 '밑바닥에서'가 대중들의 관심을 받게된 이유는 사실 젊은 도둑 '페펠'을 최근 예능프로그램에서 주목받는 김수로와 뮤지컬 배우이자 연기자인 엄기준이 나온다는 것 때문이었다. 그러나 실제로 이 연극에서 주연과 조연이 따로 존재하지 않는다. 등장인물 모두가 삶의 무게를 각각 다른 형태로 짊어지고 나오기 때문이다. 김수로와 엄기준도 딱 자기에게 주어진 몫만 소화할 뿐이다.

사실 연극은 사전에 어느 정도는 스토리를 알아놓고 가야한다. 그렇지 않으면 다소 지루한 감을 느낄 수 있다. 전체적으로 어두운 느낌으로 일관하는 공연은 웃기기만 한 연극과 뮤지컬을 봐왔던 사람들 입장에서는 불편할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을 감내하고 보면서 '내 삶''우리 삶''대한민국 2009년 사회'와 연결시킨다면 본 이후의 느낌은 분명 다를 것이다.

관람을 위한 팁을 하나 덧붙히자면, 예능프로그램이나 코미디 영화에서의 김수로를 생각하고 공연을 보러간다면 실망할 것이다. 그러나 연극배우 김수로를 보기위해 간다면 좀더 색다른 맛과 깊이를 느낄 것이다. 9년만에 무대에 서는 배우 김수로는 원래 비극과 고전을 전문으로 하는 탄탄한 연기자였기 때문이다.

- 아해소리 -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