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뮤지컬 '두 도시 이야기'는 처음으로 보는 작품이다. 아예 사전 지식을 배제하고 갔다. 그럴 수 밖에 없는 상황이기도 했지만, 오랫만에 '밖'의 입장에서 보고 싶었다. 


16일 오후 2시 충무아트홀 무대에 오른 배우는 윤형렬, 카이, 임혜영이었다. 어떤 내용이면 검색해보면 나올 것이니 넘어가자. 어두웠던 시절 프랑스 파리와 영국 런던을 보여주듯이 전체적인 색감은 어두웠다. 사실 난 이 시대를 그리면서 뮤지컬에서 이렇게까지 무대를 어둡게 가야하는지 잘 모르겠다. 여하튼 브로드웨이 취향이 그러하다니 넘어가자.


윤형렬과 카이의 연기력이 약간 진짜 아주 약간 미흡한 면이 보이긴 했지만, 전체적으로는 후한 점수를 주고 싶다. 일단 둘 다 가창력과 대사 전달력이 뛰어나니, 나머지 감정전달에서 일어날 수 있는 소소한 미흡함은 무시가 가능했다. 임혜영은 정말 사랑스럽게 나왔다. 현실 속에서, 저런 류의 모습을 보인다면 몇몇 남자들 사이에서도 충분히 어장 관리 가능하겠다.


아무튼 작품은 괜찮다. 메시지도 괜찮고 배우들도 괜찮다. 구성도 제법 탄탄하다. 그런데 이상하게 한 방이 없었다. 개인적으로 너무 그동안 뮤지컬을 많이 봐와서 그런지 몰라도,  머리 속에서는 '참 괜찮은 작품이다'라고 생각하지만, 가슴이 울리지 않는다.


이미 여러 번 본 뮤지컬이나 연극, 그러나 배우만 바뀐 작품은 사실 흥미가 많이 떨어진다. 어느 타임에 어떤 장면이 나올 것이며, 배우들이 어떤 감정을 폭발할 것인지 알기 때문에 몰입도가 극히 떨어진다. 오로지 그 배우가 어떻게 감정표현을 하는지만 보기 때문이다. 하지만 처음 본 작품에서 이런 감정을 느끼기에는 쉽지 않다.


혹자는 창작뮤지컬 '광화문 연가'에서 리사가 보여주는 폭발적인 면에 너무 몰입해 있기 때문이라고도 하고, '지킬앤하이드'나 '오페라의 유령'처럼 유명 넘버를 이 뮤지컬에서 못 느껴서 그런다고 하지만, 이것과는 별개의 문제다. 그래서 더 고민스러웠다. 왜 이 뮤지컬에는 가슴이 울리지 않을까.


그래서 몇몇 기사도 읽어봤다. 굉장히 많은 의미를 분석했다. 시대상을 줄줄이 나열하며 사랑과 용서 등을 이야기했다. 여기서 웬지 해답이 나온 것 같았다. 바로 메시지는 있지만, 감정에 대해 관객들과 공유하며 흡입하는 수준이 떨어지는 것이다. 머리가 알아도 가슴이 울리지 않은 이유다.


'두 도시 이야기'는 세 남녀의 사랑 이야기임과 동시에 민중의 봉기, 그리고 억압한 자와 억압된 자의 대치 상태까지, 정치적인 뮤지컬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생각이 사랑의 감정보다는 정치적인 이해가 빠른 사람이라면, 이 뮤지컬을 통해 정치를 논할 것이며, 70~80년대 이 뮤지컬을 무대에 올렸다가는 당장 어느 지하 고문실로 끌려갈 것이다.


다시 말해 이 뮤지컬이 던지는 메시지는 묵직하고도 많았지만, 거꾸로 관객들의 감정을 무대 위로 끌어올리지는 못했다. 배우들은 관객들에게 무엇인가 많이 주기는 했지만, 공유는 아니었다. 민중들이 봉기하며 관객들의 감정을 흔들어야 하는 장면조차도 '지킬앤하이드'에서 살인자에 의해 불안에 떠는 시민들의 우왕좌왕하는 모습보다도 덜 극적이었다. 억압에 대한 분노가 살인에 대한 공포보다 더 감정적으로 차분한 것일까.


물론 주연 배우가 누구냐에 따라 뮤지컬이 달라진다. 과거 '몬테스리스토'의 경우 다른 배우의 무대에서 실망한 상황에서, 류정한의 무대에서는 기립박수를 쳤으니 말이다. '두 도시 이야기'의 배우들이 메시지보다는 감정의 공유와 폭발이 이뤄졌으면, 더 괜찮은 뮤지컬이 되지 않을까.


- 아해소리 -


728x90
728x90
반응형



'사랑의 찬가' '장미빛 인생' 등으로 우리에게도 친숙한 '프랑스의 목소리' 에디트 피아프. 그녀를 배우 최정원이 충무아트홀 중극장 블랙에서 또한번 연기한다. 2009년 예술의 전당 토월극장에 이어 두번째다.

에디드 피아프는 사창가에서 어린 시절을 보내며 길거리에서 노래를 하다가 루이스 르플레라는 클럽 주인에게 캐스팅되어 클럽 무대에서 데뷔한다. 본명이 지오바나 가숑이었지만, '작은 참새'라는 뜻의 피아프라는 이름을 이때 얻게 된다. 성공적인 데뷔를 하지만 이내 피아프의 삶은 순탄치 못한 길을 걷게 된다. 클럽 주인은 자신이 길거리에서 알고 있던 불량배에게 피살 당했고, 피아프는 그등과 공모한 것이 아니냐는 조사까지 받는다.

비록 재기했지만, 피아프의 삶은 남자들과의 관계를 통해 얼룩지게 된다. (물론 피아프는 늘 남자를 원했고, 이들을 사랑하면서 그 감정으로 노래했다고 한다) 1944년 물랑루즈에서 만난 배우 겸 가수였던 이브 몽탕과의 사랑에선 노래 ‘장밋빛 인생’이 만들어지고, 피아프가 가장 사랑했다는 권투선수 막셀 세르당과의 만남과 헤어짐에선 ‘사랑의 찬가’가 탄생된다. 그리고 ‘아무것도 후회하지 않아요’를 부르던 그는 파리 올림피아에서 마지막 콘서트를 열고 팬으로 만난 27살의 어린 남편 테오파니 람부카가 지켜보는 가운데 생을 마감한다.

연극은 굉장히 불친절하다. 최정원을 제외한 여타 인물들은 모두 한두개씩 다른 역할을 또 맡아서 자세히 보지 않으면 '이 사람은 죽었는데 왜 또 나오지'라는 생각까지 갖게 된다. 또 시간적 공간적 배경이 너무나 빨리 지나가기 때문에 자칫 놓치게 되면, 피아프의 현 위치를 알지 못하게 된다. 특히 피아프의 진실한 사랑이었던 권투선수 막셀 세르당의 비행기 사고는 '사고났다'는 알지만, 그것이 충분히 다가오지는 않는다.

그러나 이를 커버한 것이 바로 최정원이다.

연극은 "여러분이 사랑하는 피아프입니다"라는 매니저의 말로 시작한다. 구부정한 모습의 최정원은 등장해 노래를 하다가 쓰러진다. 매니저는 최정원을 들쳐메고 나가고, 이내 화면은 바뀐다. 피아프의 어린 시절로 돌아간 것이다. 여기서 최정원은 천진난만한 어린 피아프를 연기한다. 전율이 흐를 정도였다. 그리고 최정원은 때로는 거침없는 태도로, 때로는 번뜩이는 눈빛으로 관객들을 압도한다. 또 때로는 관객들을 폭소케 한다. 원래 키가 170cm인 최정원은 작은 키의 피아프를 연기하려 23cm나 줄여 보이게 노력했다. 

연극을 처음 볼 때 "아 이 연극은 사전 지식 없으면 깊게 보기 어렵겠구나"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연극 초반이 지날 무렵이면 "최정원을 통해 충분히 피아프의 인생을 볼 수 있겠구나"라는 생각이 들 것이다. 수많은 남자들과 사랑을 나눈 피아프는, 한국에서 최정원을 통해 한국 관객들과 사랑을 다시한번 나누고 있는 듯 싶다.

- 아해소리 -

728x90
728x90
반응형

뮤지컬 '몬테크리스토'를 봤다. 지난해 서울 유니버셜아트센터에서 너무나 실망한 작품이라, 사실 머뭇거렸다. 그리고 막강한 라인업이라 자랑을 하지만, 사실 신성록과 엄기준, 옥주현이 막강한지는 아직도 잘 모르겠다. 지난해 봤던 공연도 엄기준과 옥주현. 너무 어이없었다. 그 이유는 간단했다.

 

엄기준은 대사 처리가 매끄러웠지만, 노래를 부를때 위태위태했다. 흡인력도 떨어졌다. 옥주현은 거꾸로다. 노래를 부를때는 고음처리까지 부드러웠지만, 대사 처리는 미흡했다. 잘 들리지도 않았다. 이런 둘이 듀엣곡을 부르니, 옥주현이 당연히 엄기준을 눌렀다. 옥주현이 마치 기싸움을 벌이는 듯한 듀엣곡은 듣기 거북했다.

 

 

뮤지컬 <영웅> vs 영화 <영웅>, 어떤 차이가 있고, 어떻게 봐야할까.

안중근이 이토 히로부미를 죽이기 몇 해 전부터 죽인 후 사형을 당하기까지의 삶을 그린 뮤지컬 , 그리고 이 뮤지컬을 그대로 스크린에 옮긴 영화 . 그러나 두 작품은 같은 듯 다른 형태로 관객

www.neocross.net

뮤지컬 몬테크리스토

 

무대도 좁았다. 화려한 장치가 도리어 정신없어 보일 정도로 배치가 엉성했다. 사이드 좌석에서는 아예 무대 보기를 포기해야했다. 이런 몬테크리스토가 충무아트홀로 오면서 달라졌다.

 

무대도 3개 넘게 커지면서 영상과 세트, 조명을 한꺼번에 소화해냈다. 있어야 할 자리에, 세트들이 존재하고 보여져야 할 영상이 제대로 펼쳐지니 웅장함과 화려함이 더할 수밖에 없다.

 

 

달라진 무대는 바로 배우들의 역량과 활동 범위도 넓히게 했다. 해적들이 춤을 추는 모습도 역동적이었으며, 몬테크리스토 백작이 개최한 파티도 한껏 화려함을 자랑했다. 파티 중 프랑스 귀족 사이에서 등장하는 몬테크리스토 백작의 모습도 무게감이 더했다.

 

이를 바탕으로 ‘몬테크리스토’ 역을 맡은 배우 류정한은 자신의 존재감을 한껏 발휘하며 극장 전체를 장악했다. 넓어지고 화려해진 무대를 류정한은 맘껏 즐겼으며, 활용했다. 뮤지컬 ‘지킬앤하이드’에서의 열정을 그대로 가져왔음은 물론, ‘류지킬’과는 또다른 색깔의 파워를 자랑했다. ‘메르세데스’ 역의 차지연과도 안정된 호흡을 이뤘다. 여기에 ‘몬데고’ 역의 강태을까지 과하지도 부족하지도 않은 호흡을 더했으니, 관객 입장에서는 이들에게 기립박수를 보낼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되어버렸다.

 

비록 결말에서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재빨리 봉합된 느낌을 지울 수 없지만, 무대 위 배우들은 이를 충분히 커버했다.

관객이라면 배우를 선호하는 면이 있을 것이다. 신성록이든, 엄기준이든 각각이 지닌 역량이 있고 매력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개인적으로 뮤지컬 몬테크리스토의 제대로 된 맛을 느끼고 싶다면 류정한-차지연 커플을 추천하고 싶다. 적어도 마지막 장면에 자기도 모르게 기립이 나올 것이다.

 

- 아해소리 -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