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셰익스피어의 희곡 ‘햄릿’은 드라마, 영화, 뮤지컬, 연극 등 수많은 형태로 대중들과 만나왔다. 너무 많이 알려졌기에 사람들은 기본적인 스토리만을 보고 ‘햄릿’을 찾지 않는다. 누가 연출하고 누가 각색하고 누가 연기했느냐에 따라 어떤 맛이 나올 지에 관심을 가진다. 연출자가 어느 포인트에 힘을 주느냐에 따라 ‘햄릿’은 다양한 색깔을 낸다.

서울시극단 창립 15주년 기념 정기공연으로 무대에 오른 연극 ‘햄릿’은 대학로 간판 연출가 박근형씨가 2011년 현재 시점에서 재해석했다는 면에서 이전 햄릿과 다른 느낌을 선사한다.

불이 켜진 무대는 ‘코션’(CAUTION)이라고 쓰인 2층짜리 컨테이너를 보여준다. 검은 정장 차림의 햄릿, 회색 정장에 자줏빛 베스트를 입고 등장한 삼촌 클로어디스 등 무대 위 배우들의 옷차림은 햄릿의 배경이 현대로 넘어왔음으로 알려준다.

대사도 현대적이다. 아니 현실적이다. ‘조간신문도 짜증난다’ ‘너희들의 엿 같은 하느님’ ‘방사능 낙진’ 등의 말은 웃음과 함께 의미를 더했다. 휠체어를 타고 놀 듯 등장해 ‘사느냐 죽느냐 그것이 문제로다’를 읊는 햄릿의 모습은 한층 가벼워졌다. 그렇다고 무게감까지 내려놓은 것은 아니어서 이전 햄릿들과 비교해 떨어지지 않는 균형감각을 유지한다.

또 첫 장면에서 “성벽 위에서 매일 밤 불꽃놀이 축제가 벌어진다. 누구냐, 너는 누구냐, 나는 누구냐”라는 대사는 많은 것을 시사한다. 소통되지 않는 현재의 대한민국을 풍자했다는 해석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쉽게 말하면 이명박과 현 정권에 대한 비꼼이다. 명박산성은 그래서 우뚝 서있다.

연극의 또다른 강점은 스피드다. 배우들의 빠른 대사 처리와 쉴새없이 바뀌는 장면들은 관객들의 시선을 다른 곳으로 돌리지 못하게 한다. 이는 오필리어가 아버지의 죽음으로 미쳐서 죽음에 이르는 장면을 더욱 애절하게 만든다. 관객들이 숨을 쉬는 타이밍에 가장 감정 몰입도가 높은 장면을 배치했기 때문이다.

연출가 박근형 씨는 김철리 서울시극단장과의 대담에서 “2011년 지금을 살아가는 우리들이 갖고 있는 동시대적 질문을 햄릿이라는 텍스트를 통해서 던져보고자 했다”며 “물론 그 질문이 제대로 전달될지 관객들이 거기에 대해서 어떤 반응을 보일지는 미지수지만 남의 나라 얘기가 아닌 우리 얘기로 전달해보고 싶다”고 밝혔다.

- 아해소리 -

728x90
728x90
반응형

대학때 쓰던 다이어리를 뒤적였다. 그러던 중 한 문구가 눈에 들어왔다.

 

1996년 3월에 쓴 글이다. 아마 이때 조세희 작가의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을 한차례 더 읽고 있었던 것 같다.

고등학교 시절 읽었는데 대학 시절인 1996년에 표기된 것으로 봐서는 말이다.

 

쓴 글 대부분이 당시 시대와 내 고민에 대한 내용인데, '난쏘공' 이야기는 아마도 시대상에 대한 이야기인 듯 싶다. 1996년이면 김영삼 정권 말기로 온갖 안좋은 일은 모두 일어날 때였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 글귀는 이렇다.

 

이문열. 악만 남은 불쌍한 사람.

 

이문열. 악만 남은 불쌍한 사람.

이문열의 새 소설을 읽어보지 않았다. 아니 읽을 필요가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미 소설가의 모습을 떠나 정치인의 모습으로 변신한 그의 소설은 소설이 아니라, 적을 죽이려는 정치칼럼일 뿐

www.neocross.net



 

"햄릿을 읽고 모차르트의 음악을 들으면서 눈물을 흘리는 사람들이 이웃집에서 받고있는 인간적 절망에 대해 눈물짓는 능력을 마비당하고 또 상실당한 것은 아닐까"

 

당시 왜 이 문구를 떠올리며 다이어리에 적었는지 모르겠다. 그런데 2010년 1월 새삼 다시 보게된 이 문구가 왜 지금 21세기를 사는 현재 대한민국에도 통용된다는 생각이 들까. '난쏘공'이 1976년 '문학과 지성' 겨울호에 발표되었다는 점을 상기하면 무려 30년이 넘게 유효한 것이다. 조세희 작가가 용산참사 현장을 방문한 지난 해에 현장에서 '난쏘공을 쓴 30년 전과 다를 것이 없다'라고 말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반응형

 

'난쏘공'은 1970년대 도시화로 벼랑으로 몰리는 최하층민의 처참한 생활상과 노동환경, 주거문제, 노동운동의 한 에피소드 등이 여러 가지 상징적인 언어로 담겨져 있다. 난장이로 표현된 아버지의 존재는 이 소설의 주제를 가장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아무리 열심히 일해도 착한 사람이 살아갈 수 없는 세상이라면 달나라로 떠나야 한다는 지섭의 말에 동조하는 아버지는 현실에서 달나라로 비상하기 위해 굴뚝에 올라갔다가 결국 죽고 만다.

 

이것이 2010년에도 유효하고, 그 안에 나오는 글귀가 또다시 머리에 떠오른 것이다. 그리고 사실 현장에서도 이런 모습을 종종 본다.

 

김건희 ‘조명’ 논란을 보니 ‘정글의 법칙’이 떠오르네.

 

김건희 ‘조명’ 논란을 보니 ‘정글의 법칙’이 떠오르네.

윤석열이나 김건희를 보면 이번 정부는 참 재미있다. 문재인 대통령 때는 국민의힘이나 언론이 ‘논란’을 일으켰다. 즉 문제될 것이 없는 문재인 대통령의 행동에 대해 하나하나 꼬투리를 잡

www.neocross.net

 

영화를 보며, 연극을 보며, 음악을 들으며 눈물을 흘리며 감동을 받는 이들이, 또 드라마 안에서의 가상 내용을 보고 분노를 느끼는 이들이 정작 사회에서 벼랑 끝으로 몰리는 현실의 사람들에게는 따뜻한 눈빛조차 주지 못하는 현실을 느끼게 된다.

폭설 속 수많은 인파가 지나가는 지하철 안 노숙자들의 모습을 보니, 다이어리 문구가 다시 떠오른다.

 

- 아해소리 -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