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우리가 흔히 접하는 뉴스중에서는 이런 생각이 드는 뉴스들이 있을 것이다.


"어! 이거 작년 이맘때쯤 봤는데"
"또 똑같은 말이네. 쓸게 그렇게도 없나"


대표적인 것들로는 연말에 각 지방자치단체가 예산을 일부러 사용하기위해 보도블럭을 새로 깐다든지, 3월이면 어김없이 대학가에서 술때문에 문제가 발생한다든지 하는 것이다. 뉴스로 나가고 전문가들의 발언이 그 시기에 연이어 터지지만, 역시 1년뒤에 같은 기사와 대안을 볼 수 있다. 기자들 입장에서는 편하기는 하지만, 난처하기도 하다. "또 그 이야기냐" 라는 독자들의 비판도 그렇지만, 변화와 개혁을 바라는 입장에서 보면 자신이 보도한 내용이 허공에 대고 소리치기꼴로밖에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왜 그런가. 가만히 생각해보면 문제해결 순환구조에서 한가지가 빠져있기 때문이다.


문제 발생 -> 문제 인식 -> 인식된 문제가 전파 (기사화 등) -> 해결방법 제시 -> 해결방법 집행 -> 문제 해결 -> 보완


예를 들어 대학가에서 매년 3월 신입생환영회나 MT때 술로 인해 문제가 발생한다. 술먹고 물에 빠져 죽었다느니, 선배가 후배를 때려 폭행죄로 들어갔다느니, 여자후배에게 성추행을 했다느니 하는 보도다. 그러면서 술때문에 생기는 잘못된 대학문화에 대해 일침을 가하는, 그리고 술에 관한 대학내 교육이 절실히 필요하다는 기사와 논설이 쏟아져 나온다.


즉 문제발생부터 해결방법 제시까지는 거침없이 나온다. 문제는 여기서 발생한다. 해결방법을 집행할 사람이나 단체가 없다. 5월이 되어 대학축제기간에 다시 술이 등장해 여러가지 사건사고를 만들고, 다시 종강MT때, 가을 개강MT때 그리고 다시 한해가 지나 3월이 되면 신입생환영회때 문제가 발생한다.


법으로 규제할 수 있는 사회 제반문제는 그래도 괜찮은 편이지만, 법이 아닌 의식적으로 바뀌어야 하는 문제들은 언제나 '해결방법 집행'단계에서 멈춰버린다.


그리고 문제는 다시 그 시기가 되면 다시 발생하고 어김없이 문제발생부터 해결방법 제시까지는 한꺼번에 쏟아져 나온다.


대한민국에 그 수많은 교수와 전문가들은 '방법 집행'에 대해서는 왜 속시원하게 이야기하지 않는지, 가끔은 그런 부분에 대해 고민이나 하는지 궁금하다.




-아해소리-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