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로 피맛골의 해장국 명가 청진옥이 신관을 새롭게 열었다. 반가운 일이다.
1937년 문을 연 이후 피맛골에서 자리를 지켜온 청진옥은 피맛골 재개발 사업으로 9년전 현 르메이에르(아직도 발음이 어렵다) 1층으로 강제(?) 이주했다.
맛은 변함 없었지만, 분위기를 확실히 달랐다. 르메이에르라는 거대한 빌딩의 부속품이 된 듯하기도 하고, 프랜차이즈 해장국집으로 변한 것 같기도 했다.
오래된 맛집은 맛 뿐 아니라 공간이 차지하는 비중도 크다. 단골들은 맛 뿐 아니라 그 공간에 묻어있는 추억을 느끼러 온다. 친구들과, 아들을 데리고, 손자를 데리고 와 자신이 그 공간에서 누구와 밥을 먹고 술을 마셨으며, 어떤 성장 과정의 흔적을 남겼는지 이야기한다. 맛만 느끼는 것은 절반의 기억이다.
청진옥에 대한 나의 기억도 그렇다. 20대 중반부터 찾기 시작한 청진옥은 재야의 종소리를 들은 후 찾아가 새벽 첫 지하철까지 버티던 곳이다. 2002년 월드컵 때 선배들과 축구 이야기를 하던 곳이다. 이후 직장이 용산, 상암동, 강남 등으로 옮기면서 뜸하긴 했지만, 종종 찾아가 깊은 맛을 느꼈다.
피맛골이 재개발 되고 추억이 몽땅 사라질 때, 그 한켠에 청진옥도 있었다. 르메이에르 1층으로 저리잡은 후 찾아갈 때 이질감이 생겼다. 선배들과 후배들과 마셨던 자리가 없어졌기도 했지만, 앞서 말했듯이 청진옥이 무슨 프랜차이즈 같은 느낌이 들었다.
신관도 사실 새로운 공간이다. 그럼에도 앞에 반갑다고 한 것은 적어도 그부속품 같은 느낌은 사라졌다. 아마 단골들에게는 과거 추억을 새길 장소는 없어졌어도 새 추억을 만들 공간이 9년만에 만들어졌다는 기대감도 있을거다. 청진옥이 앞으로 100년을 이어 나갈 자리를 찾았다니 믿어보자.
- 아해소리 -
'일상에서의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봄여름가을겨울 전태관 별세,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0) | 2018.12.28 |
---|---|
대우전자서비스센터 VS 사설... ‘공식’이 ‘실력’을 담보하지 않는다. (0) | 2018.04.26 |
글도 쓰지 않으면 줄어든다. (0) | 2018.04.23 |
주병진 평양냉면 '더 평양' (1) | 2017.11.16 |
해장국집 청진옥, 다시 추억 쌓을 공간을 마련하다. (0) | 2017.10.02 |
연남이발관을 가다. (0) | 2017.06.27 |
유시민 항소이유서 전문 (0) | 2017.06.10 |
한 결혼 정보 회사의 최고위층 기준. (0) | 2017.04.13 |
아이폰6 터치 불량 해결의 의문. (5) | 2017.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