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요일과 토요일 저녁에 시청자들의 공감을 얻으며 이슈를 불러일으켰던 tvN 드라마 ‘미생’이 12월 20일 방송 분을 마지막으로 끝났다. 그러나 시청자들과 방송 담당 언론들의 평가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아니 ‘미생’의 주연 배우들이 연이어 언론 인터뷰 등을 진행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당분간 그 열기는 지속될 것이다.
드라마 ‘미생’ 본 후 월요일 출근 어떠셨나요?
tvN 금토 드라마 ‘미생’이 주말 내내 화제에 오르더니, 월요일까지 기세가 꺾일 줄 모른다. 포털사이트 검색어 상위권에 차지한 것은 물론, 웹툰과 드라마 속 대사가 SNS에서 끊임없이 회자되고
www.neocross.net
가장 이야기꺼리를 만들어 내고 있는 부분은 역시 결말이다. 드라마가 시작하면서 보여준 요르단에서의 장그래 활약의 완성편을 보여줬다. 장그래는 원 인터내셔널에서 정규직 사원이 되지 못하고 나온다. 오상식 차장은 선배와 함께 회사를 차리고, 김 부장을 사장으로 앉힌 후, 장그래를 데리고 온다. 그리고 김 대리까지 합류하면서 사실상 인생의 제2막을 열게 된다.
뭐 그럴 수 있다고 보자. 원 인터내셔널에서 사실상 용병 수준의 대접을 받았기에, 새로 나와서 회사를 차린다한들 어색하지가 않다. 어색함은 장그래에게서 나왔다. 장그래가 정규지깅 되지 못하고, 회사를 나온 후 3주 만에 오 차장의 회사에 들어간다. 그리고 시간상 흐름으로 봤을 때 얼마 되지 않는 시점에 요르단 사고가 터진다. 그 사이 장그래는 유창한 영어를 구사하며, 상사맨으로서의 역량을 혼자서 발휘한다. 이질감이 느껴지는 것이 당연하다.
이를 두고 장그래가 미생을 벗어나 완생이 되었다고 평가하는 이들도 있다. ‘미생’은 직장인들에게 커다랗고도 현실적인 직장 생활에 오 차장이나 선 차장 같은 조그마한 판타지를 집어넣은 드라마다. 그런데 그게 갑자기 장그래를 통해 커다란 판타지로 변한 것이다. 과정에서 시청자들을 울고 울리던 드라마가, 결론에서는 당황스럽게 만든 것이다.
그래서 지금 슬슬 거론되고 있는 ‘미생2’에 대해서는 개인적으로 반대 입장이다. 아니 혹 만들더라도 지금의 인물들이 아닌, 새로운 인물들로 새로운 이야기로 그려져야 한다. 이미 ‘갑자기’ 슈퍼맨이 되어버린 장그래를 다시 보기에는 몰입도가 떨어질 것 같기 때문이다.
- 아해소리 -
'대중문화 끄적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민아 베이커리, 말 한마디가 만든 부정적 프레임의 안 좋은 결과 (0) | 2015.01.14 |
---|---|
이미경 부회장, CJ 경영 손 뗀다…영화-가요계 판 흔들리나 (0) | 2015.01.08 |
‘응답하라’ ‘토토가’…너무 빨리 소환된 90년대 감성. (1) | 2015.01.04 |
넥스트 공연의 가장 큰 기여는 신해철 빈자리의 확인이다 (0) | 2014.12.29 |
2014년의 가수들, 신해철의 노래를 보고 뭘 느낄까. (0) | 2014.10.30 |
영화 '타짜-신의손' ㅣ “재미있으면 된다”는 말이 어울리는 작품. (0) | 2014.09.16 |
이병헌이 비난 받아야 하나, 두 여자가 비난받아야 하나 (0) | 2014.09.02 |
뒤늦게 본 ‘해적’, 600만 관객 동원은 ‘운’ 아닌 ‘실력’이다 (0) | 2014.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