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지난해 12월 호스피스 병원과 관련해 눈에 띄는 재판 결과가 나왔다. 의사만 발급할 수 있는 사망진단서를 간호사에게 발급하도록 한 혐의로 기소된 호스피스(완화의료) 병원 의사에게 유죄가 확정된 것이다. 대법은 의사와 의료기관에 각각 100만원을 선고했고, 간호사 5명에게는 각각 벌금 30만원의 선고유예을 확정했다.

 

경기도 한 호스피스 병원에서 일한 이 의사는 20141~20155월 입원환자가 본인 부재 중 사망한 경우 간호사들에게 사망진단서를 대신 발급하도록 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간호사들도 무면허 의료행위를 한 혐의로 함께 기소됐다.

 

 

<북두신권>에 등장하는 카산드라 감옥. ‘카산드라’가 여기에 왜 등장을?

만화 을 보면 라오우가 자신에게 반항한 이들을 가둔 거대한 감옥 카산드라가 나온다. 라오우는 이곳에서 권법가들의 비전서를 빼앗은 후 자신의 것으로 만들고, 권법가와 그의 가족들은 서로

www.neocross.net

십자가 전쟁
이탈리아 화가 도메니코 틴토레토의 4차 십자군 콘스탄티노플 침공을 그린 작품

 

사망 선고를 하고, 진단서를 의사만 가능하게 한 것인데, ‘호스피스 병원이라는 점에서 간호사들의 역량을 너무 무시한 거 아닌가라는 생각도 든다. 이 호스피스가 어디서 유래했는지 알면 말이다. 신부와 수녀들로 시작됐기 때문이다. 

 

현대 사회에서 중병을 앓는 환자들이 삶의 끝자락에서 치료 대신 호스피스’(hospice)를 택하는 경우도 늘었다. 완화 의료라고도 하는 호스피스는 무리하게 생명을 연장하는 치료보다는 고통 완화와 돌봄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 호스피스란 임종을 앞둔 환자가 편안하게 죽음을 맞이할 수 있는 안식처인 셈이다.

 

 

호스피스라는 단어는 손님이라는 뜻의 라틴어로 호스페스에서 유래했다. 중세 유럽에서는 마을 곳곳의 작은 교회들이 성지순례자들에게 하룻밤 숙박을 제공했다고 한다. 만약 순례자가 병이 나거나 건강이 나빠져 다시 길을 떠날 수 없게 되는 경우에는 교회에 그대로 머무르며 치료와 돌봄을 받았다.

 

이런 장소들은 라틴어로 호스피티움’(hospitium)이라고 불렸는데, '손님을 따뜻하게 맞이하 는 곳'이라는 의미다. 또 교회에서 성직자들이 보여 주는 돌봄과 헌신 등을 호스피탈리티’(hospitalit)라고 했는데, 여기서 오늘날 병원을 일컫는 영어 단어 호스피틀’(hospita)이 나왔다고 한다.

 

'호스피티움이 임종을 앞둔 자들의 안식처인 '호스피스'로 탈바꿈한 시기를 11세기 십자군 원정  당시라는 것이 정설이다. 

 

십자군 원정은 서유럽 그리스도교인들이 이슬람교에게 빼앗긴 예루살렘을 되찾기 위해 1096년부터 1291년 사이 여덟 차례에 걸쳐 감행한 전쟁이다. 당시 이 전쟁에 참가한 기사들이 가슴과 어깨 에 천으로 만든 빨간 십자가를 붙이고 있었다. 그래서 원정대는 십자군(cusades)이라고 불렸다.

 

 

<가이 포크스>는 어떻게 저항의 상징이 되었나

시위 혹은 누군가에게 저항할 때마다 등장하는 가이 포크스 가면. 웃고 있는 눈과 입, 입꼬리와 같은 콧수염이 특징이다. 영국 왕을 암살하려 했던 실존 인물 가이 포크스(Guy Fawkes)의 모습을 형

www.neocross.net

 

십자군 원정은 시작부터 성지순려자들과 관계가 깊다. 지금이야 그렇지 않지만, 중세 유럽인들은 영혼의 구원을 얻기 위해 성지를 참배하던 순례 의식을 매우 중요시했다. 수많은 순례지 가운데서도 가장 중요한 곳은 역시 그리스도의 무덤이 있는 예루살렘이었다. 하지만 예루살렘이 있는 팔레스티나는 11세기부터 셀주크튀르크가 점령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슬람교를 믿는 셀주크튀르크가 기독교 신자들을 핍박했다.

 

소식을 들은 유럽의 교인들은 분노했다. 기사들이 모였고, 1096년 제1차 십자군 원정이 시작됐다. 1차 십자군은 3년에 걸친 고된 행군과 전투 끝에 1099년 예루살렘을 함락한다.  하지만 88년 후인 1187년 이집트와 시리아를 통치하던 술탄 살라딘의 군대가 총공세를 펼쳐 예루살렘을 되찾아간다. 이후 3, 4차 새로운 십자군이 계속 원정을 떠나지만 1291년 아크레가 함락되며 십자군의 역사가 끝날 때까지 기독교인이 다시 예루살렘을 차지하는 일은 없었다. 거의 200년 가까이 십자군 원정이 진행된 것이다. 

 

이 기간 700만 명의 사람들이 동원됐다고 한다. 원정길은 앞서 언급했듯이 3년이나 걸릴 정도로 너무나 멀었고다. 약해진 체력에 전투까지 치러야 했던 수많은 기사가 때때로 치명적인 부상을 입었다. 이들은 고향으로 다시 돌아가지 못한 채 호스피스에서 죽음을 맞았다. 신부와 수녀들이 이들의 임종을 지켰다. 그렇게 호스피스는 임종을 앞둔 안식처라는 의미를 갖게 됐다

 

특히 최근 잘 죽는 것즉 웰다잉 (Well dying)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호스피스 병원에 대한 관심도 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의 호스피스 병원들이 영세한 곳이 많다고 한다. 웰다잉도 참 어렵다.

 

- 아해소리 -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