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영화 '소수의견'의 내용을 말하기 전에 사회에 대해 잠깐 언급하자. 사회적으로 어떤 중요한 사안이 일어나도 나에게 실질적으로 다가오지 않으면 크게 신경을 쓰지 못하는 것이 사람이다. 국가적으로 봐도 세월호 사태는 국가안전시스템의 부재라는 큰 사회적 문제였지만, 내 가족이나 주변사람이 진도 앞바다에 묻히지 않았기에 외면하는 이들이 더 많았다. 그러나 메르스 확산의 경우에는 달랐다. 내 주변에서 얼마든지 일어날 수 있는 일이기에, 국가가 얼마나 부실한지를 뼈저리게 느끼게 됐다.

 

 

삼성 광고 의식, 이정재-임세령 기사에 삼성은 빼라?

이정재와 임세령의 열애설이 새해부터 뜨겁다. 물론 이미 둘의 사이가 공공연하게 알려진 가운데 터진 열애설이라 새롭거나 하지는 않다. 게다가 보도 내용 중 대부분을 이정재 소속사 씨제스

www.neocross.net

 

시작을 거창하게 했지만, 실상 영화 '소수의견'에 대한 이야기를 하려 던진 말이다. 개봉 전부터 '소수의견'에 대한 말은 많았다. 개봉관을 못 잡을 것이라는 소문까지 돌았다. 영화계 공룡인 CJ E&M이 원래 배급을 하려하다가 중도포기하고 시네마서비스로 배급사가 바뀌면서 퍼진 소문이다. 2009년 용산 참사를 모티브로 한 손아람 작가의 동명의 소설을 원작으로 했기에 CJ가 부담을 느꼈다는 의혹에 휩싸였던 영화다.

 

아니나 다를까 시작부터 달랐다. 개봉 첫 주 보수세력이 엄청나게 밀어대는 (그렇다고 영화를 폄훼한다는 것이 아니다. 상황을 설명하는 것이다) '연평해전'1013개의 상영관을 확보했지만, '소수의견'389개의 상영관에 그쳤다. 둘째 주 역시 894개의 상영관을 차지했지만, '소수의견'194개로 대폭 줄었다.

 

 

여기까지는 그동안 기사로 충분히 나왔던 이야기다. 그럼 내 주변으로 돌아가 보자. 77일 입소문으로 극찬받고 있는 소수의견을 보려 했다. 장소는 홍대 롯데시네마. 상영시간을 보니 낮 2시에 첫 상영을 하고, 이후 2615분에 있다. 28시를 넘어서 끝나는 영화다. 혹 계산에 느린 이들을 위해 알려주면, 새벽 215분에 상영해, 4시가 넘어 끝난다는 것이다. 2시와 새벽 2. 직장인들은 물론 일상의 생활을 하는 이들에게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시간대가 아니다.

 

롯데시네마 합정이나 CGV 홍대는 아예 소수의견을 상영하지 않는다. 게다가 목요일이면 롯데시네마 홍대 역시 소수의견간판을 내린다. SNS나 매체를 보면 소수의견은 꼭 봐야 하는 영화로 거론된다. 그러나 영화를 볼 수 있는 접근성은 떨어진다.

 

물론 다른 지역 이야기를 할 수 있다. 그러나 유동인구 높은 홍대가 이 정도면 주요 몇몇 극장을 제외하고는 이미 소수의견을 볼 수 없다는 결론이 쉽게 나온다. 생각없이 때려 부시는 외화도 이런 대접은 안 받을 거다. 한심한 배급사들이다.

 

- 아해소리 -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