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소수의견'의 내용을 말하기 전에 사회에 대해 잠깐 언급하자. 사회적으로 어떤 중요한 사안이 일어나도 나에게 실질적으로 다가오지 않으면 크게 신경을 쓰지 못하는 것이 사람이다. 국가적으로 봐도 세월호 사태는 국가안전시스템의 부재라는 큰 사회적 문제였지만, 내 가족이나 주변사람이 진도 앞바다에 묻히지 않았기에 외면하는 이들이 더 많았다. 그러나 메르스 확산의 경우에는 달랐다. 내 주변에서 얼마든지 일어날 수 있는 일이기에, 국가가 얼마나 부실한지를 뼈저리게 느끼게 됐다.
삼성 광고 의식, 이정재-임세령 기사에 삼성은 빼라?
이정재와 임세령의 열애설이 새해부터 뜨겁다. 물론 이미 둘의 사이가 공공연하게 알려진 가운데 터진 열애설이라 새롭거나 하지는 않다. 게다가 보도 내용 중 대부분을 이정재 소속사 씨제스
www.neocross.net
시작을 거창하게 했지만, 실상 영화 '소수의견'에 대한 이야기를 하려 던진 말이다. 개봉 전부터 '소수의견'에 대한 말은 많았다. 개봉관을 못 잡을 것이라는 소문까지 돌았다. 영화계 공룡인 CJ E&M이 원래 배급을 하려하다가 중도포기하고 시네마서비스로 배급사가 바뀌면서 퍼진 소문이다. 2009년 용산 참사를 모티브로 한 손아람 작가의 동명의 소설을 원작으로 했기에 CJ가 부담을 느꼈다는 의혹에 휩싸였던 영화다.
아니나 다를까 시작부터 달랐다. 개봉 첫 주 보수세력이 엄청나게 밀어대는 (그렇다고 영화를 폄훼한다는 것이 아니다. 상황을 설명하는 것이다) '연평해전'은 1013개의 상영관을 확보했지만, '소수의견'은 389개의 상영관에 그쳤다. 둘째 주 역시 894개의 상영관을 차지했지만, '소수의견'은 194개로 대폭 줄었다.
여기까지는 그동안 기사로 충분히 나왔던 이야기다. 그럼 내 주변으로 돌아가 보자. 7월 7일 입소문으로 극찬받고 있는 ‘소수의견’을 보려 했다. 장소는 홍대 롯데시네마. 상영시간을 보니 낮 2시에 첫 상영을 하고, 이후 26시 15분에 있다. 28시를 넘어서 끝나는 영화다. 혹 계산에 느린 이들을 위해 알려주면, 새벽 2시 15분에 상영해, 4시가 넘어 끝난다는 것이다. 낮 2시와 새벽 2시. 직장인들은 물론 일상의 생활을 하는 이들에게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시간대가 아니다.
롯데시네마 합정이나 CGV 홍대는 아예 ‘소수의견’을 상영하지 않는다. 게다가 목요일이면 롯데시네마 홍대 역시 ‘소수의견’ 간판을 내린다. SNS나 매체를 보면 ‘소수의견’은 꼭 봐야 하는 영화로 거론된다. 그러나 영화를 볼 수 있는 접근성은 떨어진다.
물론 다른 지역 이야기를 할 수 있다. 그러나 유동인구 높은 홍대가 이 정도면 주요 몇몇 극장을 제외하고는 이미 ‘소수의견’을 볼 수 없다는 결론이 쉽게 나온다. 생각없이 때려 부시는 외화도 이런 대접은 안 받을 거다. 한심한 배급사들이다.
- 아해소리 -
'대중문화 끄적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내부자들: 디 오리지널'| 프레임이 바뀌었다…‘설계자’ 이강희 (1) | 2016.01.05 |
---|---|
영화 '대니 콜린스' | 익숙하지만 희한하게 끌린다 (0) | 2015.10.07 |
영화 '베테랑' | 영화보다 더 지랄 같은 현실에 살다 (0) | 2015.08.19 |
혁오가 홍대 밴드라고?…YG와 ‘무한도전’ 연계도 의문 (0) | 2015.07.29 |
‘뜨는’ 지름길은 ‘몸매’?…이연, ‘50초’ 출연 후 이슈 (0) | 2015.03.30 |
‘이태임 욕설 논란’ 이태임 VS 예원…안타깝게도 이태임의 패배다 (0) | 2015.03.04 |
'썰전' 강용석, 논리 사라지고 ‘떼쓰기’만…애가 변호사야? (4) | 2015.02.22 |
김창완 “영화 <닥터> 출연 실수였다”…100% 공감. 당신의 실수. (0) | 2015.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