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며칠 전 한 가요 평론가가 한 말이다. 너무 진지하게 이야기하고, 그동안 문제라고 인식되었던 점에 대해 정리해주어서 기입했던 내용이기도 하다. 이 평론가의 말처럼 근래 몇 년간 새로운 가요계의 정상이 부재한 상태다. 과거에 우리는 이런 말을 많이 들었다.
"한국 가요계는 조용필 이전과 조용필 이후로 한번 나뉘었고, 다시 서태지 이전과 서태지 이후로 또한번 나뉘었다"
이 말에 부정하는 이들은 한 명도 없을 것이다. 조용필은 그 자체로서 무게를 지닌다. 가수와 콘서트를 평가하는 자리에서 조용필은 논외의 인물이다. 이미 현 수준에서 그를 논하기에는 그 존재감이 엄청나기 때문이다. 1등, 2등, 3등의 순서를 매긴다면 조용필은 늘 0등의 자리에 있었다. 그에게 '가수'이외에 명칭이 붙혀진 것은 없다. 그리고 서태지. 그 역시도 '문화대통령'으로 불리우며 한 시대의 왕 자리를 차지했다.
이들이 대중에게 그리고 다른 가수들에게 그만한 자리를 인정받는 이유는 단순히 그들만을 놓고 뛰어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 아니다. 그들과 같은 시대에 존재했던 '뛰어난' 가수들 사이에서 그들이 뛰어난 재능을 보였기 때문이다. 지금의 시대에 데려다놓으면 한명 한명이 모두 '왕의 귀환'을 논할 수 있을 정도의 가수들 사이에서 시대를 변화시켰다.
지금 가수라고 나오는 이들이 더욱 안타까운 것은 이들의 인터뷰를 볼 경우 대부분 롤모델을 90년대 활발한 활동을 한 가수들을 삼는 경우가 많다. 서태지, 신승훈, 김건모, 듀스, 이적, 김동률 등등..그런데 이들의 롤모델 시점은 이들이 성공해 정점에 섰을 때의 모습 만이다. 그들이 걸어온 길이나 추구했던 이상에 대해서는 관심이 없고 오로지 '인기있는 모습'만을 롤모델로 삼는다. 결국 여기서 한계가 생기고 만다. 그리고 과정를 무시하게 되고 결국 앞서 평론가의 말대로 뿌리는 약하고 입사귀만 풍성한 꼴이 되어버리고 만 것이다.
가요계는 더이상 '왕들의 귀환'만 쳐보다면 이들을 통해 '가요계 부흥' '가요계 부활'을 외쳐서는 안된다. '가수'라는 이름에 걸맞는 새로운 왕을 지속적으로 만들어내야 한다. 전 세대가 공감하고 추후 수년이 흘러도 '노래'라 인정받을 만 한 곡을 가지고 있는 '가수' 말이다.
- 아해소리 -
'잡다한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느 대통령이라도 지금 상황은 힘들다"? (12) | 2008.07.02 |
---|---|
최시중 "방송장악 없다"…지금까지의 상황은? (0) | 2008.07.02 |
경찰이 사용하려는 '최루탄'을 말하다 (3) | 2008.06.29 |
"촛불집회는 폭력집회" 대국민담화? 대국민 선전포고? (2) | 2008.06.29 |
"700원을 착각"정몽준, 버스요금이 문제가 아니다 (10) | 2008.06.28 |
정부·한나라당 "촛불 꺼졌다" 판단했나? (1) | 2008.06.25 |
홍준표 "쇠고기문제 많이 묵었다 아이가 그만하자"…더 먹어야겠다 (0) | 2008.06.22 |
네이버 '촛불' 꺼지기 바라는 마음? (5) | 2008.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