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이재한 감독이 영화 '포화속으로'를 만들 당시 에피소드가 있다. 마지막 장면에 권상우와 최승현이 학교 옥상으로 올라오는 북한군을 향해 다연발 화기를 난사했고, 북한군은 올라오는 족족 쓰러진다. 이때 이 감독은 북한군의 시체를 더 높이 쌓고 싶어 했고, 스태프들은 이를 말렸다고 한다. 이 에피소드는 한국전쟁을 배경으로 한 영화에 대한 이 감독의 인식으로 고스란히 드러냈다. 당시 '포화 속으로'를 본 이들은 영화를 ‘전쟁 영화’장르로만 봤을 때는 괜찮았지만, 한국전쟁과 학도병에 대한 현실적 이야기는 빠졌다는 평가가 많았다. 즉 이 감독은 권상우와 최승현을한국전쟁 당시 온 몸으로 북한군과 싸운 학도병이 아닌 할리우드식 영웅에 가깝게 만들어 놨다.
불안요소 내재 '포화속으로' 흥행 여부는 어떨까.
영화 '포화속으로'는 개봉 전에 참으로 여러가지로 불안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차승원, 김승우, 권상우, 최승현(탑)이라는 꽤 괜찮은 남자 주연배우 4명을 전면에 내세우고도 이런 불안한
www.neocross.net
이는 고스란히 영화 '인천상륙작전'으로 이어진다. 짧은 시간 안에 어떤 훈련을 받았는지 모르지만, '인천상륙작전' 등장인물들도 '포화속으로'와 마찬가지로 영화가 진행될수록 할리우드식 영웅으로 바뀌어갔다. 그 과정에서 또다시 한국전쟁과 인천상륙작전이 갖는 의미는 희미해져 갔다.
영웅이 탄생하려면 선과 악이 분명해야 하고, 그 영웅이 지켜야 할 대상도 분명해야 한다. '포화속으로'에서는 차승원이, '인천상륙작전'에서는 이범수가 악의 역할을 담당했다. 지켜야 할 대상은 국가다.
평론가들이 '인천상륙작전'을 허술한 안보 영화, ‘국뽕’ 영화라 칭하는 이유가 여기에서 시작한다. 이 감독은 영웅 만들기에 집착했고, 그 영웅이 살려면 비현실적 상황을 만들어야 한다.
'포화속으로'에서 총 한번 제대로 쏴보지 못한 최승현과 권상우가 어느새 람보가 되어 있었고, '인천상륙작전' 역시 이정재를 중심으로 한 8명은 북한군 전체를 상대해도 모자람이 없을 정도였다. 특히 박철민이 북한군 한 가운데로 들어가 싸우는 모습은 통쾌하기 보다는 황당했다.
그리고 비현실적 상황은 다시 배경을 일그러지게 만들어야 했다. 그러다보니 앞서 언급한 것처럼 '포화속으로'에서 한국전쟁과 학도병이 사라진 것처럼, '인천상륙작전'에서도 인천과 한국전쟁을 희미하게 만들어야 했다.
관객들은 영웅 만들기를 보며 ‘볼만한 영화다’라고 말할 수 있다. 그냥 전쟁영화이기 때문이다. 이는 ‘몰랐던 영웅들을 알았다’라고 말한 것과 일맥상통한다. 그들에게는 할리우드식 영웅의 모습이 스크린에 펼쳐졌기 때문에 킬링타임용으로 편안하게 볼 수 있다.
아마 이재한 감독이 한국전쟁을 배경으로 또다시 영화를 만든다면 또 비슷할 것이다. 그때마다 한국전쟁은 배경으로만 사용될 뿐, 그 의미를 갖지 못할 것이다. '인천상륙작전'이 더 아쉬운 이유다.
- 아해소리 -
ps. 그리고 리암 니슨은 왜 부른걸까. 물론 연기는 좋았다. 하지만, 기껏 저 정도 활용하려고 그렇게 홍보를 해댔던 것인가. 진세연은 왜 나온지 아직도 궁금...그냥 여자가 필요해서? 이는 <포화속으로>에서 박진희가 출연한 것과 크게 차이가 없는 듯.
'대중문화 끄적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프리즌'┃소재는 신선했지만, 내용-연출은 진부했다. (0) | 2017.03.29 |
---|---|
박유천, 이병헌이 될까, 박시후가 될까 (2) | 2017.02.22 |
영화 '공조' | 재미있지만…현빈에게 아쉬움이 읽힌다. (0) | 2017.01.13 |
블랙핑크의 시작은 양현석의 설레발이 망쳤다 (4) | 2016.08.09 |
영화 '곡성'| 아직도 해석하나. 나홍진도 통제못한 이야기를. (0) | 2016.06.03 |
트와이스 쯔위 뒤에 숨은 마리텔 제작진과 박진영. (0) | 2016.01.18 |
유시민 합류로 ‘썰전’ 기대치가 높아지다. (0) | 2016.01.11 |
영화 '내부자들: 디 오리지널'| 프레임이 바뀌었다…‘설계자’ 이강희 (1) | 2016.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