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과거 이재한 감독이 영화 <포화속으로>를 만들 당시 에피소드가 있다. 마지막 장면에 권상우와 최승현이 학교 옥상으로 올라오는 북한군을 향해 다연발 화기를 난사했고, 북한군은 올라오는 족족 쓰러진다. 이때 이 감독은 북한군의 시체를 더 높이 쌓고 싶어 했고, 스태프들은 이를 말렸다고 한다.

 

이 에피소드는 한국전쟁을 배경으로 한 영화에 대한 이 감독의 인식으로 고스란히 드러냈다. 당시 <포화 속으로>를 본 이들은 영화를 전쟁 영화장르로만 봤을 때는 괜찮았지만, 한국전쟁과 학도병에 대한 현실적 이야기는 빠졌다는 평가가 많았다. 즉 이 감독은 권상우와 최승현을한국전쟁 당시 온 몸으로 북한군과 싸운 학도병이 아닌 할리우드식 영웅에 가깝게 만들어 놨다.

 

 

불안요소 내재 '포화속으로' 흥행 여부는 어떨까.

영화 '포화속으로'는 개봉 전에 참으로 여러가지로 불안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차승원, 김승우, 권상우, 최승현(탑)이라는 꽤 괜찮은 남자 주연배우 4명을 전면에 내세우고도 이런 불안한

www.neocross.net

영화 포화 속으로

 

이는 고스란히 영화 <인천상륙작전>으로 이어진다. 짧은 시간 안에 어떤 훈련을 받았는지 모르지만, <인천상륙작전> 등장인물들도 <포화속으로>와 마찬가지로 영화가 진행될수록 할리우드식 영웅으로 바뀌어갔다. 그 과정에서 또다시 한국전쟁과 인천상륙작전이 갖는 의미는 희미해져 갔다.

 

영웅이 탄생하려면 선과 악이 분명해야 하고, 그 영웅이 지켜야 할 대상도 분명해야 한다. <포화속으로>에서는 차승원이, <인천상륙작전>에서는 이범수가 악의 역할을 담당했다. 지켜야 할 대상은 국가다.

 

평론가들이 <인천상륙작전>을 허술한 안보 영화, ‘국뽕영화라 칭하는 이유가 여기에서 시작한다. 이 감독은 영웅 만들기에 집착했고, 그 영웅이 살려면 비현실적 상황을 만들어야 한다.

인천상륙작전

 

<포화속으로>에서 총 한번 제대로 쏴보지 못한 최승현과 권상우가 어느새 람보가 되어 있었고, <인천상륙작전> 역시 이정재를 중심으로 한 8명은 북한군 전체를 상대해도 모자람이 없을 정도였다. 특히 박철민이 북한군 한 가운데로 들어가 싸우는 모습은 통쾌하기 보다는 황당했다.

 

그리고 비현실적 상황은 다시 배경을 일그러지게 만들어야 했다. 그러다보니 앞서 언급한 것처럼 <포화속으로>에서 한국전쟁과 학도병이 사라진 것처럼, <인천상륙작전>에서도 인천과 한국전쟁을 희미하게 만들어야 했다.

 

관객들은 영웅 만들기를 보며 볼만한 영화다라고 말할 수 있다. 그냥 전쟁영화이기 때문이다. 이는 몰랐던 영웅들을 알았다라고 말한 것과 일맥상통한다. 그들에게는 할리우드식 영웅의 모습이 스크린에 펼쳐졌기 때문에 킬링타임용으로 편안하게 볼 수 있다.

 

아마 이재한 감독이 한국전쟁을 배경으로 또다시 영화를 만든다면 또 비슷할 것이다. 그때마다 한국전쟁은 배경으로만 사용될 뿐, 그 의미를 갖지 못할 것이다. <인천상륙작전>이 더 아쉬운 이유다.

 

- 아해소리 -  

 

ps. 그리고 리암 니슨은 왜 부른걸까. 물론 연기는 좋았다. 하지만, 기껏 저 정도 활용하려고 그렇게 홍보를 해댔던 것인가. 진세연은 왜 나온지 아직도 궁금...그냥 여자가 필요해서? 이는 <포화속으로>에서 박진희가 출연한 것과 크게 차이가 없는 듯.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