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그리스 로마의 인문학 산책>을 읽고 엉망인 번역에 대해 언급한 적이 있다. 이전에도 그랬지만, 그 이후에는 번역된 책에 대해 선뜻 손이 가지 않았고, 지금도 유효하다.
그러다 조앤 디디온의 <내 말의 의미는>이란 책을 우연히 알게 됐다. 조앤 디디온에 대해 어느 정도 알고 있었기에 그가 쓴 글을 오랜만에 접하려고 책장을 넘겼다. 번역은 김희정 번역가가 했다. 나름 꽤 많은 번역을 했다기에 약간(?)의 믿음을 가지고 책을 펼쳤다.
번역 엉망, 도대체 왜?... <그리스 로마 인문학 산책>
과거 몇 번 이야기를 한 적이 있다. 한국의 번역 영역은 정말 제대로 존중받아야 하고, 키워야 한다고. 이는 글을 읽는 사람들은 누구나 공감할 거다. 앞의 몇 장 읽었을 때, 번역이 제대로 안되
www.neocross.net
머리말은 비평가인 힐튼 앨스가 썼다. 그 머리말을 읽으면서부터 뭔가 이상했다. “아 또 책을 잘못 집었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특히 이 문장을 읽으면서, 갸우뚱해진 고개는 아예 꺾였다. 불과 여섯 번째 페이지에 있는 글이다. 조앤 디디온이 1968년에 발표한 ‘앨리시아와 대안 언론’이라는 글의 일부 내용을, 힐튼 앨스가 소개한 후 쓴 글을 이렇게 번역했다.
“이 글이 뛰어난 이유는 여러 가지다. 단호하고 짜증 난다는 듯한 특유의 어투와 <이스트 빌리지 아더>와 같은 제목이 불러일으키는 향수 말고도 이 글의 큰 장점은 그녀가 작가 정신을 펼쳐 보이는 뒷부분에서 드러난다.”
이후 책을 접었다. 누군가는 “원문을 충실하게 옮긴 것일 수도 있으니, 원문을 찾아봐야 하는 거 아니냐”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원문의 문제가 아니다. 어쩌면 저 내용이 원문을 충실하게 옮긴 것일 수도 있다. 문제는 이를 읽는 이들은 ‘한국 독자’라는 점이다. 예를 들면 이런 식이다.
“그게 그게 아니다. 그런데 걔는 그게 맞대. 그게 뭐냐고? 그 있잖아, 그래. 그거”
이것을 영어로 번역하면 어찌 될까. 한국인들은 읽는데 무리가 없다. ‘그’의 대상에는 그 어떤 것이 들어가도 상관없다. 어떤 이들은 그냥 “어제 새로 만난 친구 이야기인가”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런데 영어로 직역하면 과연 외국인들은 이해를 할까? 그런데 번역하는 이들이 지금 그렇게 하고 있다.
위의 조앤 디디온의 <내 말의 의미는>의 머리말을 옮긴 글을 보면, 답답함이 느껴진다. 차라리.
“이 글이 뛰어난 이유는 여러 가지다. 단호하고 짜증 난다는 듯한 특유의 어투가 우선 그렇다. 그리고 <이스트 빌리지 아더>와 같은 제목으로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것도 글의 뛰어남을 보여준다. 그러나 무엇보다 이 글의 큰 장점은 다른 곳에서 찾을 수 있다. 글의 뒷부분에서 드러나는 그녀의 작가 정신이 그것이다.”
원문과 동일한 번역이 아니더라도, 한국 독자를 위한다면 차라리 이렇게 쓰는 것이 낫지 않을까.
이전에도 언급했지만, 한국의 번역문학, 번역문화는 좀 더 냉정하게 평가받을 필요가 있고, 더 치열하게 발전시켜야 한다. 영화 자막 하나에 광분하는 이들이 정작 책의 이상한 번역은 넘어간다. (아니면 제대로 읽지 못해 찾지 못하는 것일수도). 그렇게 해 놓고 책 광고에는 굉장히 ’위대한 책‘ ’반드시 읽어야 하는 책‘ 등의 미사여구를 동원한다. 책임감이 결여된 행동이다.
아무튼 <내 말의 의미는>은 6페이지까지의 글을 읽고 이후를 포기했다. 물론 그 이후에 자연스러운 문체가 나올 수 있다. 그러나 책을 전체적으로 조명하는 머리말이 저 정도라면, 그 이후는 보나마다다.
- 아해소리 -
'잡다한 도서와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가 올 때까지 기우제 지내는 주술사 ‘레인메이커’와 한국 검찰. (0) | 2024.08.06 |
---|---|
이재명의 라이벌은 한동훈일까, 윤석열일까, 김건희일까…라이벌은 ‘강물’ 두고 경쟁한 사이. (0) | 2024.08.03 |
스타벅스와 스타벅, 세이렌과 세이렌 오더 (그리고 홍대와 강남 매장수) (0) | 2024.04.18 |
갈라파고스, 갈라파고스 규제, 갈라파고스 증후군…‘보존 공간’이 ‘고립’의 의미로? (0) | 2024.04.15 |
<오펜하이머 각본집>┃각본집은 각본집일 뿐…<헤어질 결심>과는 다르네. (0) | 2023.09.20 |
불가능? 발상의 전환?…‘고르디우스의 매듭’ ‘쾌도난마’ ‘콜럼버스의 달걀’ (0) | 2023.04.08 |
테슬라 주가가 벌써 이렇게?…에디슨에 밀렸던 천재과학자, 일론 머스크가 이용한 테슬라. (0) | 2023.03.07 |
가장 막강한 화폐 달러, 그러나 시작은 미국이 아니었다. (0) | 2023.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