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 영화 참 혼란스럽다. 교도관의 시선으로 따라가기에도 그렇지만, 개인적인 생각을 집어넣어도 그렇다. 나 역시도 사형제도 폐지 찬성이지만, 강호순 같은 인간은 사형시켜야 한다는 이중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영화 '집행자'는 관객들에게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들지만, 동시에 혼란스러움을 안겨준다. '사형'이라는 제도를 '사형수'의 입장에서만 늘 바라보던 사람들은 교도관의 입장과 '생명' 그 자체를 고민하게 된다.

교도관 역을 맡은 조재현과 윤계상, 그리고 박인환의 입을 통해 내뱉는 말 한마디 한마디가 12년간 봉인된 '사형 집행'이라는 제도가 현실화되었을 때, 사형 집행을 당하는 이들 뿐 아니라 사형을 집행하는 이들이 살아가면서 겪는 고통이 얼마만큼인지를 보여준다. 또 '사형'이라는 법을 집행하는 교도관이자 인간인 이들의 이중적인 태도를 리얼리하게 그려낸다.

영화 '집행자' (감독 최진호)서 생명을 바라보는 인간의 이중적인 모습을 가장 잘 드러낸 것은 '사형'과 '낙태'를 이야기하는 조재현과 윤계상의 대화에서다. 윤계상은 여자친구인 차수연이 임신을 했다는 사실을 놓고 아이를 낳아야되는지, 낙태를 선택해야 하는지 고민한다. 이를 본 조재현은 윤계상이 사형 집행에 두려움을 느껴 고민하는 줄 알고 "그놈들은 사람이 아니다. 쓰레기다"라며 "태어나지 말았어야 될 놈들이고, 똥덩어리만할 때 긁어서 없애버렸어야 될 놈들"이라고 평가한다.

그러나 이런 조재현의 태도는 윤계상의 이야기를 듣고 180도 변해버린다. 윤계상에게 아이를 낳으라고 말하며 낙태에 대해 고민하자 "어떻게 살아있는 것을 죽여"라는 말을 내뱉는다. 이 순간 관객들은 혼란스러워한다. 이는 비단 조재현의 이중적 태도때문이 아닌 '사형'에 대해 조재현의 말처럼 "사람을 죽이는 것이 아니라 법을 집행하는 것일 뿐"이라는 생각을 대다수의 관객들도 동조하고 있기 때문이다.

조재현 역시 영화 밖으로 나와 사형수에 대해 평가할 때 "100명의 사형수 중 1명이 무고하다면 당연히 폐지되어야 마땅하지만, 최근 강호순 사건이나 나영이 사건을 접하면서 그런 흉악범을 용서할 생각은 없다"며 "사형수들이 교도소에서 반성을 해야하는데 자신들이 사형을 당하지 않을 것을 알기 때문에 너무 편하게 지낸다. 사형제 폐지 여부를 떠나 이게 과연 맞는 것인가에 대한 불만이 많다"고 밝힌 바 있다.

사형 집행 제도 그 자체에 대한 모순도 존재한다.

극중 부녀자연쇄살인범인 '장용두'는 사형 집행 하루 전 자신의 목을 찔러 자살을 시도한다. 교도소 측은 "내일 죽을 놈이 하루를 못 참아"라며 의사에게 장용두를 살릴 것을 요구한다. 이유는 하나다. 12년 만에 사형제도를 부활시킨 직접적인 당사자인 장용두가 전날 자살로 죽는다면 국민적 '이벤트'가 무산될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다. 한마디로 '생명'은 뒤로 물러나고 '사형 이벤트'만 남아있는 셈이다.

사형을 집행한 교도관들과 사형수 '장용두'의 말도 많은 의미를 던진다.

장용두는 자살 소동으로 병상에 누워있다가 조재현에게 "(사람을 죽이는 것이) 처음이 힘들지, 자꾸 하다보면 감각이 없죠"라고 말한다. 그리고 사형장에서도 외친다. "나는 사람을 죽이는 것이 이제 끝이지만, 너희는 앞으로도 계속 죽일 것이다"라고 말이다. 교도관과 연쇄살인범을 동일시 한 것이다. 단지 법이 허락하느냐, 아니면 법을 어기느냐의 차이만 존재하게 만든다.

사형을 집행한 교도관들이 술집에서 나눈 대화는 이들의 존재까지도 흔들리게 만든다. 사형집행수당 7만원을 던져버린 한 교도관은 "그러니까 우리가 망나니였네"라며 자책한다. 국가는 사형을 허락하며 '법을 집행했을 뿐'이라는 정당성을 부여했지만, 이들의 마음은 '살아있는 생명을 죽인 망나니'로 고통스러워하는 것이다.

영화는 전반적으로 색감이나 느낌이 무겁다. 그러나 영화가 던지는 의미의 무게를 생각하면, 그 무거움은 진지함으로 바뀐다. 그리고 그 진지함은 다시 영화가 '스트레스 해소용'으로만 존재하지 않으며 일종의 사회적 메시지 창구로서 역할을 어떻게 하는지를 여실히 보여준다.

- 아해소리 -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