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가구 신세계상품권 현금화 그리고 SSG페이 활용법. (feat 이마트 편의점)
명절 때면 신세계상품권은 단골 메뉴다. 그런데 이게 의외로 오프라인에서 사용하기가 난해다. 물론 가족이 많아서 한꺼번에 장을 많이 본다면 모를까, 1인 가구나 부부만 산다면 처리(?)하기가
www.neocross.net
현재 한국 1인가구는 전체 가구의 34.5%인 750만 2000가구다. 현재 전망으로는 26년 후인 2050년에는 40%를 넘는다는 전망이 있는데, 일부에서는 50%도 넘을 것으로 보기도 한다. 또 4인 가구는 10% 미만으로 떨어질 전망이다. 그렇다면 이들의 연간 평균 소득과 소비, 그리고 월 평균 소비 지출은 얼마일까.
현재 1인가구의 비중은 29세 이하 19.2%, 70세 이상 18.6%, 30대 17.3%, 60대 16.7% 순이고, 여자는 60세 이상 고령층(46.2%)의 비중이 높고, 남자는 39세 이하(41.5%)의 비중이 높다.
1. 1인가구 연간 소득 및 원천 비중
통계청에서 조사한 바에 따르면 2022년 1인 가구 연간 소득은 3010만원으로 전체 가구 6762만원의 44.5% 수준이다. 소득원천별 비중은 근로소득이 60.5%, 사업소득 15.8%, 공적이전소득 13.5%다. 근로소득 비중은 전체 가구(64.9%)보다 4.5%p 낮았다.
소득구간별로 보면 1인 가구 비중은 1000만원∼3000만원 미만이 44.5%로 가장 많았고, 3000만원∼5000만원 미만(22.7%), 1000만원 미만(16.8%) 순서다.
1인가구는 전체 가구보다 5000만원 미만의 비중은 높은 반면, 5000만원 이상 비중은 낮은 상황이다. 1000만원 미만은 전체 가구(5.2%)보다 11.5%p 높고, 1000만원∼3000만원 비중은 전체 가구(21.6%)보다 22.8%p 높았다.
2. 1인가구 월 평균 소비 지출
2022년 1인가구의 월평균 소비지출은 155만 1000원으로 전체 가구(264만원) 대비 58.8% 수준이다. 항목별로 살펴보면, 음식과숙박이 17.8%로 가장 높고, 주거·수도·광열 17.6%, 식료품·비주류음료 12.6% 순이다.
전체 가구의 소비지출 비중과 비교하면, 1인가구의 주거·수도·광열(6.1%p), 음식·숙박(2.7%p)은 높은 반면, 교육(-6.0%p), 식료품·비주류음료(-2.1%p)는 낮았다.
3. 1인가구 평균 자산
2023년 1인가구 자산은 전년대비 0.8% 감소한 2억 949만 원으로, 전체 가구(5억 2,727만 원)의 39.7% 수준이다. 1인가구는 전체 가구보다 금융자산 비중은 높은 반면, 실물자산 비중은 낮다.
2023년 1인가구의 부채는 전년대비 1.9% 증가한 3651만 원으로 전체 가구(9186만 원) 대비 39.7% 수준이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평균이라는 이야기다. 즉 근로소득이 낮은 고령과 자산 자체가 낮은 20대를 포함해 나온 결과 값이라는 것이다.
실제 서울에서 거주시 월평균 지출이 150만원으로는 힘들다. 거주 환경에 따라 다르지만 최소 200이상을 보는 사람들이 많다.
- 아해소리 -
'잡다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침 계란(달걀) 건강에 좋을까? (+효과 +노른자 빼고? +나쁘다는 의견?) (0) | 2024.10.14 |
---|---|
넷플릭스(Netflix) 한 달 가격 요금제 변경 방법은? (0) | 2024.10.13 |
총 발행량 1970만개의 비트코인(bitcoin)의 현재 가치는 얼마일까 (+사토시 나카모토의 정체는?) (0) | 2024.10.10 |
범칙금과 과태료의 차이 및 전환시 주의사항 (+속도위반, 신호위반, 음주운전 과태료 및 벌점) (0) | 2024.10.08 |
내가 알고 싶어 정리한 KTX와 KTX 산천 충전기 자리 (+콘센트 있다고 방심 말자) (0) | 2024.10.03 |
우유 유통기한 후 섭취를 왜 아직도?…유통기한? 소비기한? (+품목별 먹을 수 있는 최대기한) (0) | 2024.09.27 |
알리 익스프레스-테무에서 쿠팡-G마켓 상품 사는 방법. (0) | 2024.09.20 |
아이폰 IOS18 사용 후기 (+가려진 앱 다시 가져오기) (0) | 2024.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