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포털사이트가 가지고 있는 언론적 성향과 권력에 대한 미디어 포커스의 취재에 대해 미디어다음은 간단하게 인터뷰에 응했지만, 네이버는 "우리는 언론이 아니다"라며 거절했다.

미디어포커스가 네이버를 언론으로 알고 인터뷰를 제의했을까? 아닐 것이다. 단지 언론위에 군림하며 자의적으로 제목 편집 및 기사 배치등을 행하고 있는 포털 사이트의 위치에 대해 그리고 향후 방향에 대해 이야기를 들으려 했을 것이다.

그런데 네이버는 거절했다.

네이버는 스스로 폐쇄적 존재로 변하고 있다. 개방과 공유가 자유롭게 이뤄지는 인터넷상에서 최고의 IT기업은 스스로 폐쇄적인 성향을 선택했다. 권력은 갖되 책임은 지지 않겠다는 의지가 분명하다. 네이버뉴스에 옴부즈맨들이 쓰는 글을 보면 어이가 없다. 네이버가 어떻게 하면 덜 욕먹는 방법을 알려주기만 하지, 진정 네이버가 어떻게 긍정적으로 뉴스가 가치를 가지도록 지적하는 글이 드물다. 폐쇄적으로 변하고 있는 네이버에 동화되는 것일까.

네이버는 스스로 언론이 아니라고 하지만, 간접적으로 개입을 한다. 단순히 편집 수준이 아니다. 이미 이동진닷컴 등 처럼 계약관계를 맺어 뉴스를 생산한다. 그리고 언론계와 연예계에서는 모 인터넷 연예뉴스 창간에도 네이버가 개입했다고 알려졌다. 대신 해당 언론사의 뉴스는 네이버에서 노출도가 여느 연예매체 언론사보다 높다.

네이버가 지원하는 영세 매체들이 지속적으로 탄생한다면.......이때부터는 네이버를 어떻게 이해해야할까.. 네이버의 힘은 그 영세매체에 돈으로 지원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하게 전면 배치 및 아웃링크를 통해서도 랭키닷컴 등의 평가 사이트 상에서의 순위 상승등으로 연결되고 다시 이를 기반으로 한 광고 유치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실제로 위에서 개입했다고 의혹을 받는 연예매체의 경우에는 그 때문에 자신들이 속해있는 또다른 매체까지 랭키닷컴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또 매체의 인지도 상승은 더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다. 기사를 써서 네이버 메인에 쉽게 배치될 수 있는 매체라면 그 어느 취재대상들이 그 매체를 거부할 수 있을까.

네이버 뉴스에 재계약을 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사무실에서 책상까지 빠졌다는 관계자들의 이야기까지 들려온다는 것을 쉽게 생각해서는 안된다. 취재현장에서 네이버에 뉴스가 안 나가기때문에 취재가 힘들다고 푸념하는 기자들의 말이 단순하게 들리지도 않는다.

일전에도 이야기했지만, 네이버는 스스로 언론관계기관임을 선포해야 한다. 그런데 옴부즈맨들이라 지칭되는 그 유명인사들은 이런 이야기를 하지 않고 주구장창 포털의 사회적 책임만 책상머리서 글 쓰듯이 가볍게 긁어내려간다. 한술 더 떠 이용자위원회 김원용 교수는 "언론이다 아니다 이분법적으로 나아가서는 안된다"고 주장한다. 이게 무슨 사상이나 가치관의 문제라고 김교수는 생각하는가?..이분법적이라는 말이 여기서 이렇게 사용되는 줄 처음 알았다.

아래 구글이 제의한 내용에 언론사들이 '해외, 국내'로 나뉘어 생각하지 않고 고민에 들어간 이유에 대해 네이버는 생각해봐야 하지 않을까. 만일 구글이 포털에 뉴스를 공급하는 비용을 보전하고, 이후 언론사들이 혹해서 넘어간 후 다시 구글이 네이버처럼 군림하는 상태로 존재하면서 외국자본이 국내 언론을 좌지우지하는 상태가 진짜 벌어진다면? 개인적으로 이 사태의 가장 큰 책임은 권력은 행사하되 책임은 없다는 식의 태도를 보이는 네이버측에 있지 않을까 싶다.

- 아해소리 -


PS..뭐 자의적인 편집이긴 하지만, 나름대로 활동하고 있는 미디어다음 블로그 기자단에 포털이나 포털뉴스, 그리고 이런 류의, 즉 포털이나 포털뉴스 그리고 이와 관계된 글이 올라가는 경우를 보지 못했다. 사람도 그렇지만 자기를 비롯해 동류의 업체에 관한 것을 올리는 것을 꺼릴 수 있다. 때문에 아직 미디어다음 블로그기자단이 블로그의 미디어파워를 제대로 키우지 못한다는 생각이 든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