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늦게 읽은 김진명의 ‘풍수전쟁’은 소설로서 훌륭하다. 그럴 수밖에 없다. 김진명이란 소설가는 대중이 뭘 원하는지, 어떤 문장과 상황을 원하는지 잘 아는 작가다. 그러나 영화나 소설에서 실명을 다룰 때는 조금은 더 신중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윤석열 그리고 김주호를 다룸에 있어서 김진명은 소설을 빙자한 ‘왜곡’을 일삼았다.
윤석열 지지율, 최악‧최저 기록…한국갤럽‧리얼미터‧한길리서츠 그리고 공정.
윤석열 지지율이 계속 추락하고 있다. 정확히 이야기하면 각 여론조사 회사들의 조사에서 취임 후 최저치를 지속적으로 기록하고 있다. 윤석열도 이제 지지율 따위는 신경 쓰지 않는 모양새다.
www.neocross.net
“소설은 소설일 뿐이야”라는 말은 맞다. 그러나 그것은 어디까지나 내용 전체가 ‘소설’일 때 이야기다. 세종을 폭군으로 만들고, 이순신을 일본에 무릎 끓고 간자질이나 하는 인물로 만들고 안중근을 을사오적 이상의 친일파로 만들고 김구를 테러리스트로 만드는 소설이 있다면 어떨까. 난리가 날 것이다.
소설도 글로 당시의 시대상을 반영하는 기록이다. 설사 수천 년 이후의 가상의 시대를 그렸다고 하더라도, 현재의 상황이 투영될 수밖에 없다. 영상의 시대로 넘어갔다고 하지만, 글은 여전히 유효하고 힘을 갖는다. 그런데 김진명은 ‘풍수전쟁’에서 이 같은 사실을 많이 망각하고 있다.
소설은 ‘나이파이한필베’와 ‘회신령집만축고선’이란 기이한 문장을 풀어나가고, 이것이 일제가 지금까지의 대한민국에 걸어놓은 저주와 관련된 이야기며, 특히 인구 문제를 심각하게 다룬다. 특히 철령과 철령위를 다루며 현재 주류사학계가 조선사편수회의 후손으로 친일 사관을 가지고 있고, 재야사학계의 주장을 무시하는 등의 이야기를 다룬다. 김진명의 역사 인식이나, 인구 문제에 대한 고민은 동의하고 공감한다.
그런데 그 중간중간 그가 내세운 인물인 대통령 윤석열과 교육부 장관 이주호에 대한 서술은 이런한 동의와 공감을 무너뜨린다. 이는 비단 내가 윤석열을 싫어해서가 아니다. 지지율 20%를 간당간당 유지하는 인물을 자신의 소설 속에서 거의 세종대왕급으로 묘사해 놓은 한심함과 교육부 장관이 아닌 공무원으로서 처신도 제대로 못하는 인물을 교육 개혁의 선두로 만들어 놓은 무도함이 소설 전체를 무너뜨리고 있는 모양새가 답답해서다.
전부 다 가져올 필요도 없다. 김진명은 윤석열을 이렇게 묘사했다.
“대통령은 과거를 소중히 여기는 사람이었다. (중략) 하여 그는 반듯한 사람이라 해서 무조건 곱게 보지 않았고, 정의롭다고 해서 쉽사리 인품을 인정하지 않았다. 마찬가지로 하찮은 사람이라 해서 멸시하지 않았고 범죄자라 해서 외면하지 않았다.”
그리고 윤석열이 소설에서 이런 말을 한다. "대체로 한가지 공부에만 몰두해서 성공하긴 어렵거든. 마찬가지로 법학만 파고들어서는 좋은 법조인이 될 수 없어. 검사든 판사든 사람을 심판하는데 심판이라는 게 사실은 끝없는 사색이잖아. 그러니 법조인들은 법학 못지않게 철학 공부가 필요해"
그리고 주인공인 은하수의 입을 빌려 이렇게 다시 윤석열을 평가한다.
“대통령은 높은 자리에 있음에도 경직되지 않은 시선을 갖고 세상의 일을 여러 각도로 볼 줄 아는 사람이었다. 소탈한 성격에 어울리게 순수한 호기심을 가진 듯 이런저런 질문을 해오던 대통령은 나이파 이한필베를 추적한 이후의 일까지 물었고 간략하게 이어진 은하수의 보고는 자연스레 그간 역사학자들에게 물어오던 일까지 닿았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이주호 교육부 장관을 이렇게 평가한다.
“교육계의 갖가지 꼬인 난제에 대해 시원하면서도 단호한 해결책을 내놓아 상당한 신망을 얻고 있는 교육부 장관은 모처럼 마음 편한 휴일을 맞아 가벼운 복장으로 집을 나섰다. 이념 충돌이 가장 치열한 영역이 교육인 데다 시도교육감들에게 워낙 강한 권한이 집중되어 있다 보니 교육부를 이끌어 가는 일은 밖에서 보는 것보다 훨씬 힘들었다. 하지만 오랜 연륜에 원만한 성품과 리더십으로 무장한 그는 적당히 물러서면서도 결단의 순간에서는 거듭 올바른 길을 택해 교육부 폐지론을 잠재우고 오히려 교육부를 가장 혁신적 부처로 탈바꿈시키는 중이었다.”
‘풍수전쟁’은 곧 공공도서관에 비치될 것이고, 사람들이 읽을 것이다. 이는 수년 후에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소설은 소설일 뿐이다”. 그러나 시대가 거부하는 인물을 ‘소설’처럼 쓰는 것은 어떻게 생각해야 할까.
김진명의 ‘풍수전쟁’에 대해서는 차후 다시 쓸 것이다. 윤석열과 이주호를 빼고 말이다. 하지만, 이 둘을 저렇게 묘사하는 순간 보수주의자 김진명은 스스로 자신을 깎아내리는 짓을 했다. 안타까울 뿐이다. 차라리 가명으로 쓰든, 좀더 냉정한 평가로 좌우가 언급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었을튼데 말이다. 그만한 필력이 있는 사람이 이런 식으로 쓴 것이 아무리 생각해도 이해되지 않는다.
-아해소리-
'잡다한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다혜 음주운전, 사과 등 ‘친문’이 해야 할 일…국민의힘, 문재인 과거 발언 언급이 웃긴 이유 (+김건희, 윤석열) (0) | 2024.10.06 |
---|---|
하트시그널1 출연자 김세린 사기 혐의 벌금에 또다시 언급되는 이유. (0) | 2024.10.03 |
딥페이크는 잘못이 없다. 미스코리아 대회의 ‘질문’의 시의성이 문제지. (+딥페이크? 성형?) (0) | 2024.10.02 |
명태균 누구 인지 관심 증폭, 역술인? 정치인?…칠불사 멤버 김영선 이준석과의 관계도 (0) | 2024.09.24 |
이재명 징역 구형, 검찰 구형 신뢰 떨어뜨린 윤석열-김건희 장면 셋. (0) | 2024.09.20 |
이준석-김영선-명태균-천하람, 칠불사 모임 누가 거짓말을?…김건희와 관계 밝히려면? (0) | 2024.09.19 |
레이싱모델 신해리 사망에 ‘모델‧크리에이터 추모의 태도 맞나?’ 왈가왈부. (0) | 2024.09.15 |
미코 출신 로드FC 로드걸‧레이싱모델 신해리 사망 (0) | 2024.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