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초부터 난방비 인상 때문에 난리다. ‘난방비 폭탄’이란 말이 자연스러워졌다. 아파트 카페마다 ‘난방비 폭탄’ 인증 사진이 올라오고, 맘카페 등에서도 ‘난방비 폭탄’ ‘난방비 아끼는 방법’ ‘난방비 절약 팁’ 등이 공유되고 있다. 정치권도 마찬가지다. ‘난방비 폭탄’을 두고 민주당은 윤석열 정부가 지속적으로 올려서 그렇다고 하고, 국민의힘은 역시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 때문이라고 한다.
보통 3~4명 사는 아파트나 오피스텔 등 공동난방비 등이 포함되어 있는 공간은 많이 올라겠지만, 주택 원룸이나 단독주택 등은 상대적으로 폭이 그렇게 크지는 않은 듯 싶다. 그래서 공동난방비가 없는 빌라 기준 1~2인 가구 시점에서 난방비 폭을 한번 따져봤다.
일단 도시가스 요금을 구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요즘 고지서에 자세히 나와 있지만, 한번 더 언급을. 참고로 가스앱 어플을 사용하면 쭉 비교가 편리하게 되어 있다.
도시가스요금 = 사용열량 x 적용단가
사용열량 = 사용량 x 보정계수 x 평균열량
A씨의 난방비 변화다.
12월 난방비. (즉 서울 기준 1월에 청구된 난방비)
6만 8670원이 나왔다. (기본요금 1000원, 부가세 6243원)
당월 사용량이 73세제곱미터다. 적용단가가 19.691원/MJ
지난해 1월 난방비 (난방비를 가장 많이 사용한 달)
5만 4200원 나왔다. (기본요금 1000원, 부가세 4928원)
당월 사용량이 79세제곱미터다 적용단가가 14.2243원/MJ
비교하면 사용량은 6세제곱미터가 줄었는데, 금액은 1만 4470원이 더 나왔다. (이 정도면 한여름 2~3개월 분 가스비 요금이다). 적용단가가 50% 가까이 올랐다. 이건 공동난방비 등이 들어가지 않는 원룸이나 투룸 소형 단독주택이나 다세대주택 기준이다. 아파트나 오피스텔 등은 더 추가가 될 것이다.
일례로 국민평형 전용면적 84㎡ 아파트 관리비가 50만원에 육박한다며 인증샷이 올라온다. 한 인증샷에서는 48만1240원의 관리비가 고지됐는데, 세대 난방비가 7만9300원 올라 12만4800원, 세대급탕비도 1만6600원 올라 5만4400원에 달했다. 공동난방비까지 하면 또 올라간다.
이 같이 난방비가 올라간 이유는 지난해 한국지역난방공사의 열요금(온수, 난방)이 4월, 7월, 10월에 걸쳐 약 38% 인상된 영향이 크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이 장기화되자 도시가스 요금에 연동되는 액화천연가스(LNG) 수입 가격이 폭등했다. 결국 난방비 폭탄이란 말은 올해 내내 국민들에게 들려올 것이란 이야기다.
그런데 2분기에 또 올린다. LNG 수입액이 크게 늘어 한국가스공사의 손실이 눈덩이처럼 불어난터라 추가 인상 가능성이 높다.
그럼 이런 난방비 폭탄을 피하기 위해 절약하는 팁이 따로 있을까. (이에 대한 한심함은 맨 뒤에
우선 계량기를 살펴봐야 한다. 특히 물의 양으로 난방비를 계산하는 식의 계량기인 유량계가 달린 집들은 특정 부품이 고장 났는지 확인해 봐야 한다. 즉 ‘난 사용을 그리 많이 안했는데, 왜 많이 나오지?’라면 계량기 체크를 해봐야 한다.
두 번째는 난방할 때 가습기를 같이 사용해야 한다. 여름에 전기료를 아끼려고 에어컨+선풍기 결합으로 돌리는 것과 비슷한 원리다. 가습기의 수증기를 타고 열이 효율적으로 집을 돌게 된다.
세 번째는 보조 난방기구를 활용해라. 지마켓이나 쿠팡에 가성비 좋은 히터나 온풍기를 가장 추운 쪽, 주로 창가 아래쪽에 놔둔다. 창가를 통해 들어오는 공기가 데워지게 된다. 보조 난방 기구는 계속 사용하기보다는 하루에 1~2시간 정도가 좋다.
네 번째는 웃풍과 냉기 차단이다. 창문과 현관으로 새는 열이 30%나 된다는 것은 이제 알만한 사람들은 다 안다. 이것만 막아도 실내 온도를 2~3도 높일 수 있다. 물론 최근에 지어진 아파트나 단독주택은 이런 부분이 많이 반영되어 대부분 새는 열을 막지마, 오래된 집들은 이 내용이 최우선이라 할 수 있다.
여기에 바닥에 카페트를 깔거나, 내복을 입고 양말을 신는 방식으로 열을 유지시키거나 체온을 올리는 방법이 있다.
그런데 이는 어디까지나 개인들이 ‘각자도생’할 때 사용하는 방법이다. 결국은 ‘난방비 폭탄’을 맞지 않기 위해 개인인의 체온을 올리거나, 내가 편안히 사는 집의 공기를 다른 방법으로 올려야 한다는 말이다.
결국 이 부분은 길게 보면 국가 책임이다. 국가에서 정책적으로 전기나 가스 등 국민들이 사용하는 필수 공적 요소들의 가격을 조금은 마음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거시 차원에서 조율해야 한다. 정부가 바뀔 때마다 전 정부 욕하면서, 이런 부분들은 제대로 챙기지 못하는 모습이 아니고 말이다. 언제까지 ‘난방비 폭탄’을 걱정하고 살아야 하는지.
- 아해소리 -
'잡다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합 우루사 vs 우루사정, 간 기능 저하일 때? 피로할 때? 언제 먹을까. (0) | 2023.02.07 |
---|---|
과학방역? 각자도생방역!…30일부터 마스크 해제, 목욕탕 탈의실 등 구체적인 Q&A (0) | 2023.01.30 |
윤복희 미니스커트 관심은 언제까지일까…원인은 윤복희의 태도 때문? (0) | 2023.01.28 |
‘금리 인하’ 은행은 스스로 안한다…‘금리인하요구권’, 자격‧신청하는 방법. (0) | 2023.01.27 |
블랙핑크의 배꼽티 한복?…1990년대 여성이 배꼽티를 입었다면 어떤 일을 당했을까? (0) | 2023.01.21 |
1인가구 신세계상품권 현금화 그리고 SSG페이 활용법. (feat 이마트 편의점) (0) | 2023.01.19 |
나무젓가락‧유리‧벽시계‧배달 플라스틱, 분리수거 이렇게. (0) | 2023.01.17 |
‘김여사 운전?’…운전면허, 이명박 이전과 ‘이명박 세대’ 그리고 이명박 이후로 나뉜다. (장내시험 사진) (0) | 2023.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