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스포일러 일부 있음)


영화 '두 개의 달'은 엉뚱한 일로 이름을 먼저 알렸다. 주인공 중 한 명인 김지석이 제작발표회 현장에서 지현우를 패러디한 발언을 해, 김지석은 비판을 받았지만 영화명은 대중들에게 기억됐다. 그 전에는 '두 개의 달'은 사실 '두 개의 문'에 화제성에서 밀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2일 첫 공개된 '두 개의 달'은 나름 한국영화로서는 괜찮은 시도를 했다는 평가를 받을 법 했다.


영화는 두 여자의 내레이션으로 시작한다. 우리가 보는 달과 저승의 달이 동시에 뜨는 이유에 대해 말하면서 말이다. 그러면서 영화는 한 남자와 두 여자가 창고에서 만나는 모습을 보여준다. 어둠 속에서 왜 자신들이 거기 있는지도 모른 채 만난 이들은 귀신이라도 나올 법한 음산한 산속 산장에서 생존 아닌 생존을 해나가려 한다.

어리버리한 모습의 대학생 선호(김지석)와 여고생 인정(박진주)은 자신들에게 둘러싼 이상한 기운과 분위기를 파악하고 헤쳐나가려 한다. 그런데 공포소설 작가라는 소희(박한별)의 태도는 다소 이상하다. 선호와 인정과 같은 편 같이 행동하다가도, 이해하기 어려운 행동으로 선호의 의심을 산다. 이런 기묘한 상황에서 한 여자가 등장해 '살인자'가 집에 있다고 거론하면서 상황은 좀더 복잡하게 돌아가기 시작한다. 왜 그들은 거기에 있어야 했고 그들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이해못할 상황은 도대체 무엇일까.


영화가 보여주는 소재는 '반전'이다. 우리게 이미 익숙한 반전이지만, 한국 영화로는 드물다는 느낌을 준다. (스포일러 때문에 여기까지). 그러나 이러한 괜찮은 시도가 공포영화가 갖는 전형성을 너무나 남발하는 까닭에 희석되는 안타까운 상황이 벌어진다. 이 영화의 치명적인 단점이다.


흔히 공포영화가 갖는 전형성은 네 가지로 요약된다. 어둠, 비명, 툭 튀어나오는 인물 그리고 분위기를 조성하는 음악이다. 실상 공포를 조장하는 화면을 보여주려면 따로 스토리가 없어도 이 네 가지만 지속적으로 보여주면 된다. 


긴장감 고조된 음악을 들려주며, 약간의 빛이 있는 어둔 화면을 보여주다가 뒤쪽에서 여성의 비명소리가 들림과 동시에 앞쪽에서 일그러진 얼굴의 인물이 툭 튀어나온다. 딱 이 한 줄을 반복하면 공포영화의 기본은 깔리게 된다. 문제는 남발되지 않은 적정성이다.


꼭 필요한 타이밍에 최대한 자제하면서 이 같은 패턴을 보여주며, 영화가 말하고자 하는 스토리를 관객들에게 전달하는 공포영화는 잘 만든 작품이다. 그러나 시도때도 없이 저 패턴이 튀어나오면 관객들은 질리게 되며, 영화가 말하고자 하는 내용을 잊어버리게 된다. 아니 느끼지도 못하게 된다. 단순한 패턴의 공포감이 스토리를 지배하기 때문이다.


'두 개의 달'은 아쉽게도 이런 진부한 패턴 반복에 빠져버려, 관객들을 질리게 했다. 뭔가 한바탕 큰 일이 벌어지고 나면, 어김없이 음산한 음악이 깔리고 긴장감을 고조시키며 어둠을 더욱 짙어지게 된다. 그러다가 다시 비명소리나 우당탕하는 귀를 거슬리게 하는 소리가 들린다. 무슨 일이 벌어질 것 같은 분위기가 조성된다. 


정작 중요한 이야기가 펼쳐지며, 왜 위와 같은 일들이 벌어지는지 설명하는 순간이 오기도 전에 관객들은 지쳐버린다. '두 개의 달'이 조금만 어깨에 힘을 빼고, 저 패턴의 절반 정도로만 줄이고, 심리적인 긴장감을 더 조성했다면 아마 올해 첫 공포영화로서 자신만의 영역을 구축할 수 있었을 것이다.


추가로 박한별, 김지석, 박진주가 주연배우로 나오지만, 영화의 주요 인물로, 임팩트 있는 캐릭터로 등장하는 것은 정작 배우 라미란이다. 누구냐고? 찾아보면 될 것이다. 대신 박한별은 이 영화로 자신의 배우의 갈림길에 설지 모르는 아슬아슬함을 갖게 됐다.


- 아해소리 -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