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Bing), 코파일럿(Copilot), 그리고 MS 엣지(Edge) 어플, 비슷하지만, ‘이것’으로 선택.
코파일럿은 chat(챗) gpt-4를 포함한 것은 물론 검색 기능까지 갖춰 현재 챗gpt보다 뛰어나다고 평가를 받고 있다. 물론 각각의 특징이 있기에 같이 사용하는 이들도 있다. 코파일럿은 PC로 사용할
www.neocross.net
챗GPT(CHATGPT)부터 시작해 구글 제미나이(Google Gemini), 코파일럿(Copilot), 퍼블릭시티((Perplexity )까지 생성형 AI가 끊임없이 만들어지고 있다. 주로 미국 회사들이 주를 이루지만, 최근에 중국이 생성형 AI를 만들어 미국에 충격을 줬고, 한국 역시 국가 차원에서 생성형 AI 프로젝트에 들어갔다. 그러나 여러 생성형 AI가 만들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앞의 4개가 아직은 가장 많이 사용되는 듯 싶다. 이에 4개의 생성형 AI의 장단점과 어느 때 이를 사용하면 좋은지 정리했다.
1. 챗GPT (ChatGPT): 생성형 AI의 선두 주자
개발사 : OpenAI
특징 :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기반으로 자연어 이해 및 생성 능력이 탁월하다. 다양한 주제에 대한 폭넓은 지식을 바탕으로 자연스러운 대화와 심층적인 정보 제공이 가능하다.
▲ 장점
① 높은 범용성 : 일반적인 질문 답변, 글쓰기, 아이디어 브레인스토밍, 코드 작성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② 자연스러운 대화 : 사람과 대화하는 듯한 유려하고 자연스러운 언어 구사 능력이 강점이다.
③ 방대한 학습 데이터 : 인터넷상의 방대한 텍스트 데이터를 학습하여 다양한 지식과 정보를 보유하고 있다.
▲ 단점
① 정보의 최신성 한계 (무료 버전) : 특정 시점까지의 데이터만 학습하므로 실시간 정보나 최신 이슈에 대한 답변은 제한적일 수 있다. (유료 버전인 ChatGPT Plus는 웹 브라우징 기능을 통해 최신 정보 접근 가능)
② 환각 현상 (Hallucination) : 때때로 사실과 다른 정보를 그럴듯하게 생성하는 '환각' 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 정보 검증이 필요하다.
③ 전문성 한계 : 특정 전문 분야에 대한 심층적인 지식은 부족할 수 있다.
▲ 적합한 검색 예시
① 창의적인 글쓰기 : "사랑에 대한 시를 써줘", "SF 소설의 플롯 아이디어를 제안해 줘"
② 일반 상식 및 정보 : "양자역학에 대해 쉽게 설명해줘", "프랑스 혁명의 주요 원인은 무엇인가?"
③ 아이디어 브레인스토밍 : "새로운 마케팅 캠페인 아이디어를 제안해줘", "주말에 가볼 만한 서울 근교 여행지를 추천해줘"
챗gpt와 제미나이(Gemini), 코파일럿(Copilot)에게 엑셀방송에 대해 물어봤더니… (+진리컴퍼니 +사이
BJ 조예리 집 남성 무단침입 CCTV 영상 공개 (+사건 시점과 사라진 시점 +언론 접근 방향은?)이근, 유튜버 구제역 폭행한 이유는?…당연하다 vs 과민 반응이다.유튜브 채널 ROKSEAL을 운영하는 유튜버
www.neocross.net
2. 구글 제미나이 (Google Gemini): 구글의 강력한 멀티모달 AI
개발사 : Google
특징 : 구글이 개발한 멀티모달 AI 모델로, 텍스트뿐만 아니라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이해하고 생성할 수 있다. 특히 구글의 방대한 데이터와 연동되어 실시간 정보 접근성이 뛰어나다.
▲ 장점
① 멀티모달 능력 : 텍스트 외에 이미지, 영상 등의 정보를 분석하고 이해하는 능력이 탁월하여 더욱 풍부한 상호작용이 가능하다. (예: 이미지 설명, 이미지 기반 질문 답변)
② 실시간 정보 접근성 : 구글 검색 엔진과의 연동을 통해 최신 정보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답변을 제공한다.
③ 코드 생성 및 분석 : 프로그래밍 언어 이해도가 높아 코드 생성 및 디버깅에 강점을 보인다.
④ 다양한 연동 서비스 : 구글 워크스페이스 등 구글 생태계 내 다른 서비스들과의 연동성이 뛰어나다.
▲ 단점
① 서비스 초기 단계 : 챗GPT에 비해 공개 및 활용 기간이 짧아 아직 개선될 부분이 존재할 수 있다.
② 복잡한 작업 처리 : 특정 복잡한 작업에서는 아직 챗GPT보다 정교함이 떨어질 수 있다는 평가도 있다.
▲ 적합한 검색 예시
① 최신 정보 검색 : "2025년 최신 스마트폰 트렌드는?", "오늘자 주식 시장 동향을 알려줘"
② 이미지 관련 질문 : "이 사진 속 건물의 건축 양식은 무엇인가?", "이 그림의 작가는 누구이며, 어떤 의미를 담고 있나?" (이미지를 첨부하여 질문)
③ 코드 작성 및 디버깅 : "파이썬으로 웹 스크래핑 코드를 작성해줘", "이 자바스크립트 코드의 오류를 찾아줘"
④ 구글 서비스 연동 : "내 구글 캘린더에 오늘 저녁 7시 회의를 추가해줘"
3. 코파일럿 (Copilot): 업무 생산성 향상의 동반자
개발사 : Microsoft (OpenAI 기술 기반)
특징 : 마이크로소프트의 다양한 제품군(Windows, Microsoft 365 등)에 통합되어 사용자들의 업무 생산성 향상에 초점을 맞춘 AI 비서다. 챗GPT의 기술을 기반으로 하며, 특정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강력한 기능을 발휘한다.
▲ 장점
① Microsoft 365 연동 : 워드, 엑셀, 파워포인트, 아웃룩 등 Microsoft 365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문서 작성, 데이터 분석, 프레젠테이션 제작, 이메일 관리 등을 AI의 도움을 받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② Windows 통합 : Windows 운영체제와 통합되어 파일 찾기, 설정 변경, 작업 자동화 등 PC 사용을 더욱 편리하게 만든다.
③ 콘텐츠 요약 및 생성 : 긴 문서나 이메일을 요약하고, 초안을 작성하는 등 콘텐츠 생성 및 관리에 유용하다.
▲ 단점
① 제한적인 범용성 : Microsoft 제품군 내에서의 활용도가 높지만, 독립적인 범용 AI 챗봇으로서의 기능은 챗GPT나 제미나이보다 제한적일 수 있다.
② 유료 구독 : 대부분의 강력한 기능은 Microsoft 365 Copilot 유료 구독을 통해 제공된다.
▲ 적합한 검색 예시 (Microsoft 제품군 내 활용)
① 워드 : "이 문서의 초안을 작성해줘", "이 보고서의 핵심 내용을 요약해줘"
② 엑셀 : "이 데이터에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값을 필터링해줘", "이 표를 기반으로 그래프를 생성해줘"
③ 파워포인트 : "이 주제에 대한 프레젠테이션 개요를 작성해줘", "이 슬라이드에 적절한 이미지를 제안해줘"
④ 아웃룩 : "이메일 답장을 초안 작성해줘", "받은 편지함의 중요한 메일을 분류해줘"
챗GPT로 그리는 지브리 스타일, 재창조? 저작권 침해? (+이스라엘군 +전쟁 미화)
지브리 스타일(미야자키 하야오 감독 스튜디오 지브리 화풍)이 난리다. 온갖 SNS에 자신의 사진을 지브리 스타일로 바꿔 올리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다. 방법도 간단하다보니, 너도나도 과거의 사
www.neocross.net
4. 퍼플렉시티 (Perplexity AI): 출처 명시형 검색 AI
개발사 : Perplexity AI
특징 : 질문에 대한 답변과 함께 답변의 근거가 된 출처(웹사이트, 논문 등)를 명확하게 제시하는 '대화형 검색 엔진'에 가깝다. 정보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용자에게 유용하다.
▲ 장점
① 출처 명시 : 모든 답변에 대한 출처 링크를 제공하여 정보의 신뢰성을 높이고 사용자가 직접 사실을 검증할 수 있도록 한다.
② 집중적인 정보 제공 : 특정 질문에 대해 여러 웹페이지를 탐색하여 핵심적인 정보를 요약하고 정리해준다.
③ 학술 연구 및 보고서 작성 :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바탕으로 학술 연구나 보고서 작성에 필요한 자료를 찾을 때 특히 유용하다.
▲ 단점
① 창의성 및 대화 능력 한계 : 챗GPT나 제미나이처럼 창의적인 콘텐츠 생성이나 유려한 대화 능력은 상대적으로 부족할 수 있습니다.
② 검색 결과 편중 가능성 : 특정 출처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검색 결과가 해당 출처의 관점에 편중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 적합한 검색 예시
① 정보의 신뢰성이 중요한 경우 : "탄소 중립 정책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최신 연구 결과는?", "미국 대법원의 최근 판례에 대해 알려줘 (출처 포함)"
② 학술 자료 검색 : "특정 질병의 최신 치료법에 대한 논문을 찾아줘", "인공지능 윤리에 관한 철학적 논의의 주요 쟁점은 무엇인가?"
③ 사실 확인 : "이 주장의 근거가 되는 통계 자료를 찾아줘", "이 기사의 정보가 사실인지 확인할 수 있는 출처를 알려줘"
5. 필요와 목적에 따라 적합한 AI는?
① 창의적인 아이디어 도출, 광범위한 지식 습득, 자연스러운 대화를 원한다면 챗GPT
② 최신 정보 검색, 멀티모달 콘텐츠 분석, 코딩 지원, 구글 생태계 연동을 중요하게 생각한다면 구글 제미나미.
③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환경에서 업무 생산성 향상을 목표로 한다면 코파일럿.
④ 정보의 신뢰성, 출처 명확성, 학술 자료 검색에 중점을 둔다면 퍼플렉시티.
- 아해소리 -
'잡다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픽스버스(nfxbus) 유튜브 프리미엄 오류 (+고객센터 답변 +해결 방법) (0) | 2025.07.10 |
---|---|
일본 7월 대지진설, 날짜는 지났지만 불안한 이유 (+다쓰키 료 +일본여행) (0) | 2025.07.05 |
텔레그램 로맨스 스캠 시도 공통점 (+카카오톡 +혼혈) (0) | 2025.06.27 |
틱톡 ‘이벤트 참여가 제한된 계정입니다’가 생기는 이유와 해결 방법 (+유심) (0) | 2025.06.23 |
의사가 뽑은 최고의 아침식사?…밤에 먹어도 되는 야식? (+다이어트 +단식) (0) | 2025.05.21 |
정형외과 도수치료 vs 한의원 추나요법 (+허리 통증 +가격 +실비) (0) | 2025.05.20 |
김문수 전과 7범만 문제일까? 그보단 폭언‧갑질‧권한남용 발언이 더 문제. (+나 도지사인데 +전광훈 +춘향전 +소녀시대) (0) | 2025.05.11 |
크리스마스 사천 여고생 살인사건, 가해자 근황은? (+살해 이유 +재판 결과) (0) | 2025.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