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노래자랑'과 관련해 뜬금없는 기사가 나왔다. 고(故) 송해의 바통을 이어받은 김신영의 <전국노래자랑>이 6개월 만에 위기를 맞았다는 것이다. 평소 그냥 연예계를 까대는 텐아시아 기사이지만, 이번에는 그 도가 지나쳤다.
쉽게 말해 이 기사는 단순하게 시청률을 비교했다. 김신영이 진행을 맡은 후 첫 방송이 시청률 9.2%를 기록했지만, 이후 점점 추락하더니, 6개월이 지난 현재 5~6%를 기록한다는 것이다. 송해가 진행하던 당시에 10% 전후였으니, 반토막이 났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이런 글을 남긴다.
열정과 패기는 넘치지만, 이전과 같은 친근함이 부족했다. 43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전국노래자랑'의 MC는 단순한 진행자 그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코로나19로 인해 빠져나간 시청층을 쉽사리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일요일의 막내딸"이라고 외치는 김신영에게 KBS를 대표하는 간판 얼굴은 벅찬 것 아니냐는 질책도 일각에선 나온다.
우선 본인이 무슨 말을 하는지 알고 쓰는 것일까 의문이다. 스스로 언급했듯이 43년의 역사를 자랑하고 그중 송해는 무려 34년을 진행했다. 김신영은 이제 겨우 6개월이다. 34년간 운전한 사람과 6개월 운전한 사람을 동일 선상에 놓고 “야 너는 왜 운전을 그따위로 해. 앞의 사람과 똑같이 못해”라고 말하는 격이다. 6개월 차 기자에게 34년차 기자와 똑같은 수준으로 기사를 쓰라고 하면 과연 가능할까? 기자 스스로도 저게 뭔 말인지 모를 것이라고 앞서 언급한 이유가 이 때문이다.
게다가 해당 글은 기본적으로 <전국노래자랑>의 포지션을 이해하지 못했다. <전국노래자랑>이 비판하려면 시청률이 아닌, 현장의 분위기와 참여도다. 시청률이 아무리 높아도, 현장에서 호응이 없고 참여율이 낮으면 <전국노래자랑>은 폐지해야 한다. 단순히 시청자들에게만 보여주려고 만든 프로그램이 아니라는 것이다.
드라마라면 이야기가 다르다. 시청률도 따지고 화제성도 따지고 해야 한다. 앞선 드라마의 흥행을 뒤이어 방송되는 드라마가 받지 못하면 비판받을 수 있다. 각각의 비교가 되는 존재들이다. 그래서 송해와 김신영의 <전국노래자랑>을 개별로 놓고 비교하는 것은 무모함을 떠나 무식함이다.
이 정도면 텐아시아라는 매체가 그냥 “야 김신영 들어와서 인사하고 밥 한번 사”라고 강요하는 분위기로밖에 읽혀지지 않는다. 한마디로 그냥 ‘까기 위한 까는 기사’일 뿐이라는 것이다.
이를 두고 또 다른 연예 매체가 반박하는 기사를 냈다. 기자들이 시선이 다를 수 있지만, 둘의 글을 보면 극명하게 보이는 것일 있을 것이다.
그런데 생각해보면 텐아시아는 과거 정말 괜찮은 매체였는데, 그 인원들이 아이즈로 옮긴 후에, 그리고 한국경제가 본격적으로 개입한 후에는 점점 스스로 질 낮음을 선택하고 있으니.
- 아해소리 -
'대중문화 끄적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넷플릭스 <택배기사>, 소재는 나쁘지 않은데 ‘짜깁기’ 느낌에 캐릭터 ‘엉망’ (0) | 2023.05.22 |
---|---|
허정민이 폭로한 ‘캐스팅 갑질’, 업계에선 이렇다. (feat 고규필, 초난강, 초신성) (0) | 2023.05.17 |
<소년판타지2>, 한동철은 실력 대신 언론플레이만 의지하는 신세가 됐구나. (0) | 2023.05.05 |
아스트로 문빈 사망과 네이버 뉴스의 이상한 추천. (1) | 2023.04.21 |
연극 <키스>│내용을 말할 수 없는 반전(反轉), 그리고 시리아 상황으로 본 반전(反戰) (0) | 2023.04.10 |
<프로듀스101> 조작 논란 안준영, 엠넷 재입사 관련 루머 그리고 CJ ENN의 이상한 사과. (0) | 2023.04.07 |
'모범택시2' 승리의 버닝썬과 블랙썬 그리고 YN엔터 양사모와 YG의 양현석. (0) | 2023.04.02 |
아이브‧에이핑크, 아가동산 돈줄 신나라레코드 판매 제외?…사실 들여다보니. (0) | 2023.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