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여름 에어컨 전기료 절감 방법…외출 시 끌까? 켤까? 이것만 알면..
‘난방비 폭탄’, 조회 해보니…계속 인상 한다는데, 절약 팁?연초부터 난방비 인상 때문에 난리다. ‘난방비 폭탄’이란 말이 자연스러워졌다. 아파트 카페마다 ‘난방비 폭탄’ 인증 사진이
www.neocross.net
폭우와 폭염은 전기 요금을 급격하게 상승시켜 준다. 이미 오래 전부터 차근차근 올리던 전기 요즘에 에어컨과 제습장치 등을 켜다보면 어느 새 전기 요금은 몇 만원에서 몇 십만원까지 올라간다. 이에 정부가 한시적으로 전기 요금 상한 구간을 완화한다. 쉽게 말하면 전기 요금을 절약하게 해 준다는 것이다. 7~8월에 모든 가구를 대상으로 전기요금 누진제 1, 2단계 상한 구간을 한시적으로 완화하여 전기요금 부담을 덜어줄 예정이다.
1. 주요 내용
①누진 구간 확대:
1단계 구간 상한: 300kWh → 400kWh
2단계 구간 상한: 450kWh → 600kWh
② 기대 효과: 가구당 평균 1~2만원의 요금 인하. 월 450kWh 사용 가구는 기존 10만 8530원에서 8만 5740원으로 감소될 수 있다.
이동식 에어컨, 각 회사별 추천 제품과 구매시 주의사항.
‘난방비 폭탄’, 조회 해보니…계속 인상 한다는데, 절약 팁?연초부터 난방비 인상 때문에 난리다. ‘난방비 폭탄’이란 말이 자연스러워졌다. 아파트 카페마다 ‘난방비 폭탄’ 인증 사진이
www.neocross.net
2. 전기요금 절약 팁
① 에너지 캐시백 신청 : 한국전력의 '에너지 캐시백' 제도를 활용하여 전기 절약 시 현금으로 요금을 돌려받을 수 있다. '한전:ON' 홈페이지에서 신청 가능하다.
② 에어컨 효율적 사용 : 에어컨 희망온도를 26도로 설정하고, 선풍기나 서큘레이터를 함께 사용하여 냉방 효율을 높인다. 에어컨 필터 청소도 중요하다. 인버터형 에어컨의 경우, 껐다 켰다 하는 것보다 계속 켜두는 것이 유리하며, 2시간 사용을 줄이면 월 전기요금을 약 9,100원 절약할 수 있다.
③ 대기전력 줄이기 : 사용하지 않는 가전제품 플러그를 뽑아 대기전력을 줄인다. TV 셋톱박스, 컴퓨터, 충전기 등이 주요 대상이다.
3. 추가적인 전기요금 할인 제도 : 다양한 계층에 대한 전기요금 할인 제도가 존재
① 다자녀 가구 : 3자녀 이상 가구는 월 전기요금의 30% (최대 16,000원 한도) 감면.
② 대가족 : 5인 이상 가구는 월 30% (최대 16,000원 한도) 감면.
③ 출산 가구 : 출생일로부터 3년 미만 영아가 있는 가구.
④ 저소득층: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에 대해 월 8000원~1만 6000원 한도 내에서 감면 (여름철 추가 지원).
⑤ 장애인/유공자: 장애 정도가 심한 장애인, 1~3급 상이자 등은 월 1.6만원 한도 (여름철 2만원) 감면.
4. 소상공인 대상 지원
소상공인의 경우, 전기요금 납부 이력 등을 활용한 신용평가로 대출 금리 인하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9월부터 새로운 대안신용평가 서비스가 도입될 예정이다. 평가요소로는 전기 사용 정보, 공제 납입 이력 등 영업 활동 데이터이고, 이를 통해 받는 혜택은 신용등급 상승으로 인한 금리 인하, 대출 한도 확대다. 대상은 기존 신용평가에서 불이익을 받던 소상공인이다.
- 아해소리 -
'잡다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포즈커피‧노랑통닭 인수한 필리핀 기업 졸리비, K-푸드 강자로? (+배달의 민족) (0) | 2025.07.20 |
---|---|
이동식 에어컨, 각 회사별 추천 제품과 구매시 주의사항. (0) | 2025.07.17 |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방법 및 기간 그리고 유의 사항 (+사기 +스미싱문자) (0) | 2025.07.15 |
이재명 대통령 지지율과 민주당‧국민의힘 지지율 추이 (+대구경북 +한국갤럽 +리얼미터) (0) | 2025.07.15 |
초파리, 여름철 불쾌지수 높이는 주범…완벽 퇴치 방법 공개 (+다이소 +쿠팡) (0) | 2025.07.14 |
한여름 에어컨 전기료 절감 방법…외출 시 끌까? 켤까? 이것만 알면.. (0) | 2025.07.14 |
교도소 에에컨 있나요?…윤석열 때문에 촉발된 교정시설 에어컨 논란, 필요할까? (+2018년 국민청원 +선풍기) (0) | 2025.07.13 |
생성형 AI, 무엇을 선택할 것인가?…챗GPT, 제미나이, 코파일럿, 퍼플렉시티 비교 분석. (0) | 2025.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