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확실히 12월은 밀린 숙제하는 기분이다2년마다 하는 자동차 종합검사도 받아야 하고, 미루고 밀었던 건강검진도 받아야 한다몇 년에 한 번씩 전체적으로 건강검진을 하긴 하지만, 공단 건강검진 역시 빼놓을 수 없다.

 

12월에는 기본적인 건강검진은 대부분 예약하기 쉽지만, 내시경은 확실히 다르다. 때문에 이번에는 아예 오전이 아닌 오후에 위내시경을 포함한 건강검진을 예약했다.

 

서울본검진센터

 

(덕분에 무려 18시간을 아무것도 먹지 못했다. 다음부터는 오후 검진은 다시 생각해야겠다)

 

주위를 보니 홍대에 위치한 서울본내과의원이 시간대가 맞아서 바로 예약. 오후에는 의외로 한가했다.

 

기본적인 건강검진은 누구나 아는 코스로 진행됐다.

 

혈압 검사 → 소변 검사 → 시력 검사 → 청력 검사 → 키‧몸무게 검사 → 흉부 엑스레이 → 피 검사

 

여기까지는 기본 코스. 시력은 대충 좌우 3~4개 정도 물어보고 패스, 청력도 두 번 정도 ~~~’ 좌우로 울려보고 끝. 좌우 시력이 불편한데 0.1 정도밖에 차이가 안 나는 것은 희한하다. 생각해보니 본내과의원의 시력 측정 거리는 다른 곳보다 가까웠다

 

마지막 대망의 수면내시경.

 

 

올해 6월까지 연장된 2020년 건강검진 후기.

주말 아차 싶었다. 지난해 받지 않은 2020년 건강검진이 2021년 6월 30일까지 끝내야 한다는 사실을 잊고 있었다. 여기서 잊고 있었던 이유는 3가지다. 1. 사무직과 비사무직 차이를 잠시 잊고 있었

www.neocross.net

 

그동안 위내시경을 비수면으로 해왔다. 대략 2분 정도 참으면 되는데, 비수면을 한 가장 큰 이유는 수면내시경 이후 몽롱한 상태가 유지된다는 말에, 그게 싫어서 비수면으로 해왔다.

 

수면내시경을 위해 누웠더니 팔을 통해 수면액을 주입했다.

 

그리고

 

의사 들어오는 것을 보지 못했는데, 회복실에서 눈을 떴다. 뭔가 훅 지나간 느낌이다.

 

사람마다 차이가 있겠지만, 평소 헛구역질이나 수면이 부족(?)한 사람은 수면내시경을 추천한다.

 

서울본내과의원

 

위내시경은 개인부담금이 10% 정도 들어간다. 그러나 병원들은 여기에 ‘수면관리료’라고 해서 대략 5~7만원 사이 정도 추가로 수납을 받는다. 서울본내과의원은 6만 5천원을 추가로 받았다.

 

여기서 사람들이 가장 궁금해 하는 것이 이런 건강검진 내시경을 실비 보험으로 받을 수 있는지다.

 

결론부터 말하면 기본 건강검진은 실비 보험에서 청구할 수 없다. 

 

건강검진 후 실비 보험이 되는 부분은 내시경 이후 문제가 있어서 따로 치료를 받거나 처방을 받는 경우이다. 몸이 안 좋아 따로 위내시경을 받는 경우에는 실비 보험 대상이 되지만, 건강검진은 아니라는 뜻이다.

 

건강검진 비용

 

2년 전 위내시경을 받은 후 보험으로 일부 돌려받았는데, 그 부분은 헬리코박터균Helicobacter pylori)이 의심되어 조직 검사를 한 비용이었다. 이런 경우만 해당된다.

 

내시경 받을 때 수면도 국가에서 좀 챙겨줬으면 좋겠다. 국민이 ’(?) 자면서 검사 받는 것도 중요하지 않은가.

 

하긴 다른 이야기지만, 윤석열 정부는 기존의 국민들이 누리는 건강보험 내역을 대거 폐기한다고 했으니, 그들에게 저런 수면 내역 요청은........

 

- 아해소리 -

 

 

728x90
반응형
반응형

예비역들이 건보료 폭탄을 맞았다. 건보공단 실수로 수십만원어치 건보료가 체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아무런 책임도 지지않고 "그냥 내시오"로 일관한다. 이 때문에 건보공단에 몇 번 전화를 하며서 이 조직이 굉장히 편한 조직이라는 것을 새삼 느꼈다.

 

1. 본사가 아닌 지사에 전화해서 "이번 군 전역자 체납 문제 어떻게 할겁니까" 문의..

 

- 지사는 모르고 있다. 며칠 전에 뉴스에도 나왔고 건보공단 홈페이지에 해명자료까지 올라가 있는데, 지사에서는 어떤 지시도 받지 못했고 상황파악 하지 못하고 있다.

 

2. 재차 전화해 추궁 및 왜 이런 문제 생겼는냐 문의

 

- "죄송합니다. 그러나 일단 내셔야 합니다" 끝이다. 지사든 본사든 모두 같은 말이다. 여기서 건보공단의 편안함을 느꼈다. 국민들 난처하게, 혹은 궁지에 몰아넣고 한마디만 하면 된다. "죄송합니다". 마치 칼로 사람 난도질하고 이 한마디로 모든 것을 무마하려 하는 것이다. 개인이 그렇게 했다면 사형감일텐데, 건보공단은 '편안'한 삶을 영유한다.

 

3. "돈 낼테니 지로 다시 보내세요"

 

- 추석 중간에 안내서가 날라왔다. "10일에 자동이체 됩니다"...자동이체 이미 해지한지가 언제인데, 이런 안내서가 날라올까. 지로를 다시 보내달라는 말은 그냥 무시하고..전화했더니, 그제서야 "아 확인됐습니다"라고 말한다. 건보공단은 국민이 자동이체 해제해도 먼저 전화해서 신고해야 하는가.

 

4. "카드는 꼭 지사로 가야합니까"

 

- "네 그래야 합니다" "죽어도 그렇게 해야 합니까" "네" "왜 그래야 하죠" "원칙입니다"

 

상담직원이 왜 카드로 해야하는지 교육조차 안됐다. 홈페이지를 뒤져서 확인하니 (그것도 나도 한마디란 뒤져서) 수수료때문이라고 나온다. 연 200억이 들어가는데, 만일 이 수수료를 받으면 불가피하게 건보료를 올려야 한다고 한다. 죽어도 자기들 월급 깎거나 다른 누수되는 돈을 절약해 충당해야 한다는 생각도 없이 카드 사용하려면 건보료 올려야 한다고 협박하고 있는 것이다. 10월 8일자 뉴스에 '노는 해외연수'간다는 뉴스 들으니 정말 대한민국을 왜 사람들이 떠나는지 이해가 갔다.

 

몇 번 전화통화하면서 건보공단 직원들은 모두 텔레토비가 아닌 듯 싶었다.

 

"내세요. 죄송합니다. 내세요. 죄송합니다. 내세요"를 반복하는 단순한 텔레토비 말이다.

 

건보료를 내겠다고 해도 제대로 걷어가지 못하고,  실수는 무조건 국민탓으로 돌리는 이 직장, 이 조직....정말 편하다는 생각이 든다.

 

-아해소리-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