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강남 비-사이드’ 노출 수위?…여성 다룬 불편한 장면 셋.

김준수(시아준수), 8억 갈취한 아프리카TV 여성 BJ 누구인지 ( +김준수 입장))┃10년의 역사 속 ‘김준수의 성공’과 ‘작품의 미숙함’" data-og-description="김준수의 캐릭터 ‘사큘’로 대표되는 뮤

www.neocross.net

 

영화 ‘야당’은 나름 재밌다. 소재도 소재지만, 스토리가 흘러가는 흐름이 나쁘지 않다. 강하늘 박해진, 유해진 등 연기력을 자랑하는 배우들의 열연도 괜찮다. 그러나 야당이 흥행하는 기본적인 요소는 익숙함마약 후 정사 장면에 대한 이상한 소문이다. 이 두 가지가 현재 야당의 흥행을 이끌고 있다.

 

드라마 수리남
드라마 수리남의 한 장면

 

일단 야당의 기본 줄거리는 이렇다.

 

'야당'은 실제 마약 세계에서 수사기관의 브로커 역할을 수행하며 이익을 취하는 마약범을 뜻하는 은어로, 이들은 주로 마약 범죄 정보를 경찰이나 검찰에 제공하고 금전적 이득 혹은 본인의 처벌을 감경받는 등의 혜택을 얻는다. 이에 작품은 경찰과 짜고 마약사범들을 잡는, 일명 '야당' 짓을 하는 이강수(강하늘 분)의 모습으로 시작된다. 그러다가 대리운전을 하던 중 억울하게 누명을 쓰고 마약사범으로 교도소에 수감된 이강수는 검사 구관희(유해진 분)로부터 감형을 조건으로 야당을 제안받는 과거 시점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그렇게 이강수는 구관희의 야당이 돼 마약 수사를 뒤흔들기 시작하고, 출세에 대한 야심이 가득한 구관희는 굵직한 실적을 올리면서 탄탄대로의 승진을 거듭한다.

 

이강수의 야당질 덕분에 구관희의 실적은 계속 올라가지만, 마약수사대 형사 오상재(박해준 분)는 수사 과정에서 번번이 허탕을 친다. 결국 오상재는 끈질긴 집념으로 두 사람의 관계를 파고들고, 이강수와 구관희는 자신들이 쫓던 마약 사건의 중심인물인 대통령 후보의 아들 조훈(류경수 분)을 맞닥뜨리게 된다. 출세욕이 강한 구관희는 해당 사건을 덮고 이강수를 배신하면서 조훈과 손을 잡는다. 이에 이강수는 힘든 시간을 보낸 후 오상재와 당시 마약 사건에 연루되면서 나락으로 떨어진 배우 엄수진(채원빈 분)과 함께 구관희와 조훈의 실체를 세상에 알릴 작전을 꾸민다.

 

 

‘필요한가?’ 논란 있는 < 우씨왕후 > 노출 장면 셋.

티빙 드라마 우씨왕후>의 노출 장면을 두고 갑론을박이 이어진다. 동북공정이나 의상 논란보다 더 논란이다. 그런데 그럴 만도 하다. 한반도 역사에서 전무후무한 캐릭터인 ‘우씨왕후’를 소

www.neocross.net

 

 

자 뭔가 익숙하지 않은가. 그렇다 야당은 영화 내부자들’ ‘부당거래’ ‘베테랑을 짬뽕한 느낌을 준다. 즉 흥행 영화들 속 흥행 요소들을 조금씩 가져온 셈이다. 거기에 마약이란 소재를 집어 넣은 것이다.

 

영화 특수본이후 14년만에 개봉 영화를 선보인 황병국 감독의 연출력은 솔직히 별로다. 영화는 이런 익숙한 내용들과 배우들의 열연으로 진행된다.

 

그리고 두 번째. 이상하게 소문난 영화의 정사 장면이다. 황병국 감독은 이 장면에 대해 여러 인터뷰에서 실제는 더하다며 자극적인 멘트를 줬지만, 실상 그렇게까지 자극적이진 않다.

 

이미 한국에서 마약 관련한 이러한 장면은 여러 번 나왔고 수위 역시 그저그런 형태다. 오히려 드라마 수리남에서 황정민이 사기 칠 때 나온 단체 정사 장면이나 '내부자들'에서 이경영 백윤식 김홍파가 별장에서 즐기는 장면이 수위가 훨씬 높다. 

 

영화 야당에 대해 황병국 감독은 메시지를 뭔가 주고 싶었는지 모르지만, 사실 메시지는 없다. 그냥 킬링타임용 상업영화다. 재미있기는 하지만, 남는 것은 없다. 이게 황병국 감독의 한계다.

 

- 아해소리 -

728x90
반응형
반응형

영화 내부자들: 디 오리지널100만 관객 돌파가 눈앞이다. 역대 확장판 영화 사상 최고의 흥행이다. 기존 내부자들50분이 더해져, 무려 3시간으로 확대되었는데도 관객들은 열광한다. 단순한 확장이 아닌, 배역의 무게추가 옮겨지면서 관객들이 가진 프레임을 새로 만들었다.

 

 

박유천, 이병헌이 될까, 박시후가 될까

박유천이 영화 ‘루시드 드림’으로 다시 대중 앞에 선다. 공익근무 이전에, 성폭행 논란 이전에 찍은 영화지만, 시기적으로 어찌되었든 ‘논란’ 이후다. 언론시사회를 통해 영화를 본 기자들

www.neocross.net

 

 

영화 내부자들

 

영화 내부자들은 서로의 이해관계에 따라 얽힌 상황처럼 보이지만, 크게는 안상구(이병헌)-우장훈(조승우)의 축과 이강희(백윤식)-장필우(이경영)의 축이 대립하고 있다. 그러다보니 관객들의 시선은 단연 안상구와 우장훈에게 쏠리게 된다. 이강희와 장필우라는 ’()에 맞선 ’()으로 인식하게 되고, 팍팍한 현실에서 뭔가 뻥 뚫린 결론을 원하는 관객들에게 대리만족을 안기기 때문이다.

 

그런데 내부자들: 디 오리지널은 이런 프레임을 아예 부숴버린다. 안상구와 우장훈에게 쏠린 시선은 단번에 이강희에게 옮겨진다. 늘어난 50분의 시간 중에 이강희의 분량이 많아져서가 아니다. 안상구-우장훈과 이강희-장필우의 대립에서, 이강희의 존재가 따로 떼어져 나와 판 전체를 짜는 설계자로서의 모습을 보이기 때문이다.

 

안상구를 키우고 버리며, 우장훈을 코너에 몰게 하고, 장필우에 주인공으로 착각하게 만드는 과정은 전율을 일으키게 만든다. 국부장단 회의에서 소속된 회사의 입장을 따르기도 하지만, 결국은 ‘’나의 기준한도 내에서 버릴 것과 취할 것을 구분해 내는 태도도 내부자들에서는 볼 수 없는 모습이다.

 

특히 내부자들: 디 오리지널의 결말은 내부자들을 통해 대리만족한 관객들을 철저히 깨부순다. ‘내부자들언론인 이강희가 대중을 바라보는 시선은 영화 전체를 지배하는 프레임이었고, 결국 현실은 반영하기 때문이다.

 

감독이 의도했든 안했든 내부자들내부자들: 디 오리지널은 관객들에게 편집에 따라 관객들에게 어떤 의식을 심어줄 수 있는지는 다시한번 보여준 사례가 됐다.

 

- 아해소리 -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