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우선 조선일보의 기사


--------'한국 대기업이 되기 힘든 나라'-----------


1997년 9월, 전대협 의장 출신 이철상(당시 30세)씨가 서울대 공대 박사들과 함께 휴대폰 전지업체 바이어블코리아(그후 VK로 개명)를 설립했다.


같은 해 미국에선 스탠퍼드대 대학원생 래리 페이지(당시 25세)와 세르게이 브린(당시 24세)이 자신들이 개발한 인터넷 검색엔진을 팔기 위해 부지런히 뛰고 있었고 이듬해 구글을 창업한다.


한미 양국의 벤처신화를 상징하는 두 회사의 출발은 이처럼 비슷했으나, 그후의 운명은 극명하게 갈렸다. 구글은 디지털 경제의 최강자로 부상하면서 직원 8000명에 IT기업 중 시가총액 세계 3위(150조원)의 거대 기업으로 성장했다. 바이어블코리아도 VK로 이름을 바꾼 뒤 한동안 승승장구했다. 연간 매출 3800억원에 30여개국 해외 지사를 거느린 국내 4위 휴대폰 업체로 급부상하며 대기업군(群) 진입에 성공하는 듯했다. 그러나 VK는 세계 시장에서 경쟁자의 벽을 넘지 못한 채 창업 9년째인 올해 7월 부도가 나며 결국 증시에서 퇴출당했다.


‘대기업 진입 신화’가 사라지고 있다. 과거 한국경제는 삼성·현대·LG·대우처럼 중소기업이 단기간에 급성장하는 성공 사례가 끊임없이 등장하면서 성장과 활력을 견인해왔다. 미국에서도 이베이며 아마존, 야후처럼 창고에서 탄생한 벤처기업이 거대기업으로 성장하는 성공신화가 자주 등장한다. 반면 한국에선 중소기업이 대기업으로 크는 사례가 갈수록 희귀해지고 있다. 1980년대 이후 삼보컴퓨터·메디슨·세원텔레콤 등 가능성이 엿보였던 중견기업들이 대부분 문턱에서 탈락했고, 최근엔 대기업 반열에 올랐던 팬택마저 무너지고 말았다.


(중략)


경제평론가 앤디 시에(전 모건스탠리 수석이코노미스트)는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한국이 성장하려면 삼성전자·현대차·포스코 같은 글로벌 대기업을 10개 이상 더 키워야 한다”(9월2일)고 조언했다. 하지만 어느 틈엔가 한국은 중소기업이 대기업으로 클 수 있다는 꿈 자체가 사라진 나라가 됐다.


---------------------------------------------------


조선다운 기사, 조선다운 발상이다....우선 구글하고 NHN이 아닌 엉뚱하게 생산업체와 비교한 자체가 어이없다. NHN은 현재 대기업이다. 그리고 구글과 비슷한 길을 걸었고, 지금은 웬만한 대기업은 물론 언론사까지 휘두르고 있는 거대 권력이다.(물론 중간에 한줄 나온다. 하지만 리드부분의 비교대상과는 격이 다르다)


한국이란 사회에서 대기업이 못 크는 것이 아니라, 기존 대기업들이 중소기업들을 죽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한국 대기업이 되기 힘든 나라'라는 제목과 전체적인 분위기는 '한국' 자체를 대상으로 한다. 중간에 대기업에 대한 지적은 역시 한줄이다. (NHN과 대기업에 대한 지적 한줄씩 배당. 훌룡하다)...


지금의 대기업들을 옹호하기 위한 글 치고는 조잡하다는 생각이 든다.


-아해소리-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