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흐름인가..아마도 지금의 뉴욕타임즈가 하는 행동이 우리나라 언론들이 앞으로 가야할 길일 것이다. 뉴욕타임즈는 2일 페이퍼와 온라인쪽의 (우리로 말하자면 종이신문과 닷컴) 직원들이 앞으로 같은 건물에서 함께 일할 것이라 한다.

지금은 각각 다른 건물에 있지만, 2007년에 새로 만들어지는 52층짜리 신사옥에 같이 입주해서 일원화된 뉴스서비스를 제공한다고 한다.

사실 우리나라는 조금 다른 형태로 나아가고 있다. 온라인기사는 아직도 '재미'를 중심으로 한 기사로 인식되고 네티즌은 파괴력은 있되, 현실의 인간과는 달리 무게감이 떨어진다는 이미지를 갖는다.

물론 포털뉴스가 이같은 이미지 확산에 큰 영향을 미쳤음은 사실이다. 언론사닷컴들의 생존의 문제도 여기에서 나온다.

그러나 만일 뉴욕타임즈와 같은 형태로 질높은 서비스로 포털과 상대한다면 향후 온라인 뉴스서비스의 판도가 어떻게 달라질지 흥미롭다.

-아해소리-

728x90
반응형
반응형

런던테러가 일어난지 4일째 되는 날이다. 언론에서는 우리나라도 테러가능 국가가 될 수 있다는 보도를 내보내고 있고, 정부도 혹시나있을 테러에 노심초사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런던 테러

 

그러나. 사실 우리나라 국민들은 무덤덤하다. 하긴 북에 핵이 있다고 해도 무덤덤한 국민들이다. 저 멀리 미국이나 유럽쪽은 난리여도 남한은 위험을 느끼지 못한다. 북한을 믿는다기 보다는 설마 쏘겠냐는 것이다. 테러 역시 같은 반응이다. 설마 일어나겠냐는 것이다. 더 무서운 것은 런던테러에 대한 반응이다.

 

나 역시도 그러했지만 '50명 이상 사망 700명 이상 부상'이라는 헤드라인은 우리에게 별 충격을 주지 못했다. 최소한 1백여명 이상은 죽어야 그나마 뉴스꺼리가 되지 않겠냐는 반응이다. 도리어 어제 버밍엄에서 있었던 2만명에 대한 소개령이 더 화제다. 너무나도 배드뉴스에 길들여져서 그런가, 아니면 테러라는 무시무시한 말과 50명이라는 숫자가 매치가 안되어서 그런가.

 

런던시민들이 테러가 일어난 후 침착한 모습을 보였다는 뉴스를 들었을 때, 영국인의 기질때문에 그런 것이 아니라, 혹 그들도 어느새 주위 일에 무관심해져서 그런 것이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사람들이 진정 '테러'라는 행위에 분노하고 있는지도 의심스럽다. 이슬람 사원에 대한 역테러때문이다. '테러'라는 행위에 분노한다면 같은 행위를 해서는 안된다. 그런데 지금 이슬람인들은 그 행위에 똑같은 피해자가 되고 있다.

 

유럽은 아니 서방은 '테러'에 분노하는 것이 아니라, 파란 눈의 백인이 그들의 땅에서 다른 민족에게 죽었다는 것에 분노하는 것이 아닐까?

 

-아해소리-

728x90
반응형
반응형
 

무엇을 조금 자세히 보다가 엉뚱한 생각이 이어졌다.


어떤 영화가 있다. 이 영화에서 나온 한 인물은 어떤 죄를 범했다. 그리고 그 영화는 어떠한 결말로 끝이 났다. 그 인물의 죄를 용서해주는 것과 강력하게 벌을 주는 것. 그리고 미완의 끝.


동일한 죄를 범하고 있는 이가 그 영화를 봤다. 이 관객의 정신을 빼놓음과 동시에 무의식적으로 원죄적인 느낌을 주려면.....


세번째라고 생각이 들었다.


용서해주는 것은 스스로 몰입된 관객에게 동일한 용서를 내린다. 강력한 벌은 주는 것 역시 스스로 그 영화를 통해 면죄된 합리화를 시도할 수 있게 만든다. 미완의 끝은 더 불안하게 만든다. 영화속 인물에 대한 어정쩡한 상황은 보는 이에게 더 불안감을 안겨준다.


이어지는 상상력은 스스로의 죄의 상황에 미치게 된다.


어떤 무엇인가를 보다가 도달한 이 지점.......나에게는 어떤 끝을 스스로 만들어내야 할런지.

-아해소리-

728x90
반응형
반응형

다른 지역도 마찬가지만, 무엇인가 일자리를 찾고 먹고살기 힘들다는 것은 두 가지 의미를 가진다.

 

첫째는 원래 일자리 자체가 극히 부족한 경우이고, 다른 하나는 적정한 일자리에 인력이 너무 넘쳐나기 때문이다. 수도권을 제외한 타 지역이 전자라면, 수도권은 후자에 속할 것이다. 조그마한 땅덩어리에 이 나라 인구의 반에 해당하는 2천만명이 몰려있으니 얼마나 답답하겠는가, 더불어 이들이 전부 일자리를 가질 수 없음은 얼마나 안타까운 일인가.

 

공공기관들이 지방으로 내려간다고 하자 수도권 지자체장들이 난리다. 당연하다. 세수가 줄어들테니 그럴만도 하다. 그리고 주변 주민들도 난리다. 먹고 살일이 막막해졌다고 한다. 거꾸로 생각하자. 다른 지역 사람들은 생각안하나. 도리어 인구가 분산되어 자신들의 일자리를 찾기가 수월해진다는 생각은 안해봤는지.

 

그동안 수도권은 너무나 많은 사람들로 인해 일자리뿐만 아니라 잠잘 땅덩어리도 모자라서 무조건 위로만 솟아오르게 했다. 고층 아파트를 보고있노라면 마치 라퓨타성을 보는 기분마저 들게한다.

 

어느 공무원은 말한다..지역적 효율성이 떨어진다고..무슨 1970년대 소리하는지 이해하지 못하겠다. 다른 공무원을 말한다. 차라리 공공기관 이전비용으로 지역에 나눠주면 더 효율적이라고..사람들이 안 내려간다..뭔 소리인지 아직도 이해못하는 공무원들은 스스로 왜 자기가 그런 주장을 하는지 생각해봐야한다. 스스로 편의를 위해 이 땅의 발전을 멈추려 하는 것이다. 공무원이 공적인 이익보다 사적 이익을 우선시하는 나라는 반드시 퇴보하기 마련이다.

 

정부가 공공기관이전을 혹 다시 되돌리려 한다면 수도권을 제외한 다른 지역은 한반도내 3류국민이라고 스스로 자조섞인 목소리를 또한번 낼지 모른다.

 

-아해소리-

728x90
반응형
반응형

연예인 사진 퍼가기 단속에 관해 연예계와 네티즌들이 한판 붙을 기세다. 물론 포털사이트 등도 네티즌들을 응원하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을 것이다. 누가 이길지는 두고봐야하겠지만, 선택권이 네티즌들에게 있는 이상 연예계의 이번 도전은 쉽지 않을 듯 싶다.

 

지금의 연예인들은 인터넷을 통해 대부분 발굴되거나 키워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수많은 팬클럽과 이미지를 먹고사는 그들에게 충분한 '이미지적 상상력'을 부여해주며, 또한 다른 한편으로는 연예인같지 않은 모습을 보여주며 '친근감있는 대중성'을 키워준 것도 인터넷공간이며, 네티즌들이다.

 

그런데 자신들을 키워준 이들에게 이제 상업성을 내세우며 ''을 요구하는 것이다. 키워주었으니 이제 먹고살게 해달라고 하는것인지 (완전 네티즌들은 부모의 꼴이 되어버렸다) 아니면 네티즌 위에 군림하는 모습을 보여주어 갈취하겠다는 것인지 그 의도는 알 수 없으나, 여하튼 은혜를 배신으로 갚는다는 생각이 드는 것은 왜일까.

 

일부 팬들은 "000는 그런 생각을 가지고 있지 않은데 연예기획사들이 설쳐서 000를 욕먹게 한다"는 주장을 한다. 끝까지 자신의 스타는 버리지 않겠다는 각오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결국 모든 수혜는 연예인에게 돌아간다는 측면에서 이런 팬들의 안타까운 목소리는 덮히고 만다.

 

시작은 연예기획사들이 했으나, 판결문은 네티즌들이 쥐고 있다는 것이 개인적인 내 생각이다. 문제는 그 판결문의 내용이 인터넷공간의 자유로운 정보공유를 쥐고있는 이들의 입장이 충분히 반영된 것인지, 아니면 연예기획사와 스타들의 "우리도 먹고살아야 하지 않느냐, 당신들이 사랑하는 스타들이 죽고있다"라는 어설픈 연기에 속아넘어가 다시 그들에게 온정의 손을 내미는 팬클럽을 중심으로 한 네티즌들의 의견이 반영되는가이다.

 

인터넷 공간은 뭉치면 절대 발전할 수 없고 여러가지 의견과 주장이 충돌하며 자라나는 공간이다. 그러나 보은의 자세를 잃어버려 군림의 입장으로 돌아가 우리의 호주머니만 노리는 이들이 있다면 뭉칠 필요도 있다. 그게 발전을 위한 통합이 될 테니까...

 

-아해소리-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