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몸이 구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읽는 여행관련 서적은 참으로 사람을 힘들게 함과 동시에 한편으로 기쁨을 준다.

 

 

제주 성산일출봉 (성산읍) 식당 몇 군데 평가.

며칠 동안 성산일출봉 주변 성산읍에서 지냈다. 과거 지나가는 정도로 지냈던 곳이지만, 이번에는 마을 탐방 계획으로 가서 천천히 둘러보며 지냈다. 렌트카도 없이 버스로 가다보니, 식당도 성

www.neocross.net

 

곽재구의 포구기행

 

특히 나같이 역마살이 낀 사람은 더더욱 그렇다. 병원에서 우연히 집게된 '곽재구의 포구기행'은 사람마음을 심하게 출렁이게 했다. 멋있는 사진과 몇몇 시적인 표현은 일반적인 기행서적에 많이 나오긴 하지만, 솔직한 자신을 처지를 읽은 이와 동일시시키기에는 굉장히 어렵다. 곽재구 시인은 비틀어진 틈사이를 절묘하게 끼워맞추는 식으로 읽는 이를 푸근하게 만들었다. 책을 집은후 읽을만한지 편 첫 문장은 여행자를 추구하는 사람들을 입장을 대변해주는 듯 했다.

 

"조금 외로운 것은 충분히 자유롭기 때문이다"

 

 

혼자 사는 사람들을 대변하는 말은 아니다. 외로움은 누구나 가지고 있는 것이고, 단지 그 정도의 차이다. 많은 외로움은 인간이 살아가는 목적을 상실케 하지만, '조금' 자신이 느끼기에 스스로를 되돌아 볼 약간의 외로움은 자유롭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그 다음으로 이어지는 다른 한 편의 구절은 떠나고 싶어도 떠나지 못하는 이들을 초라하게 만들었다.

 

"금고에 돈이 쌓여있고 도시에 큰 집이 있고 책갈피속에 연인의 사랑스런 편지가 가득 꽂혀 있다면 그 영혼이 어떻게 가벼워 질 수 있을까요. 족쇄에 채워진 채 자신의 몸 하나도 제대로 움직일 수 없는 사람이 어떻게 지상의 풀잎이나 나뭇잎 하나를 들어올릴 수 있을까요"

 

나도 그랬다. 한번 움직이려면 이리저리 따지다가, 곧 내가 가고자 하는 공간과의 교감을 끊어버렸다. 자유롭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곽재구시인은 현실을 말하는데 또한 인색하지 않았다. 자신의 이야기를 풀어놓으면서..

 

"산다는 것, 밥을 먹고, 시를 쓰고, 노동을 하고 음악을 듣고, 자유와 정의의 획득을 위한 얼마쯤의 투쟁을 하고 주말엔 한 아낙과 새끼들의 손을 잡고 영화관에 가고...왠지 그런 모든 풍경들이 다 쓸쓸하게 다가왔다"

 

사는 것이 이렇게 몇줄로 처리된다는 것에 허망함조차 느껴졌다. 물론 삶의 세세한 곳에는 복잡한 인간사가 한꺼번에 펼쳐질 것이다. 그러나, 그것들 모두가 이 틀을 벗어나지는 못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최근 누군가가 삶에 대한 재미를 느끼기 시작했다는 말을 들었을 때, 저 글이 떠올랐다.

 

삼천포, 정자항, 구만리, 순천만, 구시포, 우도, 조천, 지심도, 어란포구.......

 

이 땅 곳곳의 아름다움을 한번더 느낄 수 있는, 손안의 여행을 이 책을 통해 충분히 느꼈다. 어쩌면 근일내 이 책을 배낭에 넣고, 이리저리 헤매고 있을런지도...

-아해소리-

728x90
반응형
반응형

 

99년도인가 대학 4학년때 우연하게 본 5.18기념 열린음악회를 보고 난 3년만에 눈물을 흘렸다.

 

안치환씨가 나와 '님을 위한 행진곡'을 불렀는데, 설정일런지는 모르지만 안치환씨가 독백처럼 잔잔하게 시작을 해서 장엄한 분위기로 전체를 이끌었다. 98년 대선, 김대중 전대통령이 집권을 한 직후인지는 모르겠지만, 광주시민들은 눈물을 흘렸고, 그 장면을 TV로 보는 나도 혼자서 눈물을 흘렸다. 집회에 나가 수없이 많이 부른 '님을 위한 행진곡'이지만 분명 그때 조그마한 화면속에서 불리어지던 그 노래는 정의할 수 없는 뭔가를 남겼다.

 

 

전두환 손자이자 전재용 아들 전우원의 고백, 그리고 전재용의 한숨.

전두환의 아들이자 전재용 아들 전우원이라 주장하는 사람이자신들의 가족을 비난하는 글을 올렸다. 애초 “진짜냐”라는 반응은 조선닷컴이 전재용을 인터뷰하면서 사실인 것으로 드러났다.

www.neocross.net

 



그리고 오늘 다시 TV를 봤다. 삶에 지쳐 내가 지금 무엇을 하고 있는지 모르고 살아가기에 어쩌면 난 광주에서의 열린음악회에 큰 기대를 했는지 모른다. 눈물까지는 아니더라도, 어설프게나마 치열하게 살았던 과거의 내 모습을 조금이나마 기억하고 싶었는지 모른다. 그러나 거기에는 더 이상 아픔을 간직한 광주도, 시대의 민주화를 이끌었던 광주도 없었다. 그냥 가수들의 노래 한마당이었다.

천지인은 차라리 '청계천 8가'등의 자신들의 노래나 조용히 부르고 나갔으면 좋았을 것이다. 대학때 강한 메시지를 대학인들에게 어필하던 그 천지인이 아니었다. 홍대앞 흔히 볼 수 있는 밴드에 불과했다. 처음부터 '천지인'이 아닌 '천지인밴드'로 소개되었을 때 이미 알아차렸어야 했다. 그들이 부른 '님을 위한 행진곡'이나 '바위처럼'은 광주의 아픈 기억이 몇년도에 있었는지 기억하지 못하는 중고등학생들의 철없는 말과 크게 다를 것이 없었다.


광주발 열린음악회는 다른 지역에서 해도 상관없을 듯 했다. 광주의 기억을 되짚은 것이 아니라, 그것을 빌미로 하나의 프로그램만이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어떤 사람들은 25년이 지난 지금, 시대가 어느 시대인데 광주를 이야기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을 던진다. 그들이 목숨바쳐 이룩한 민주주의 결실을 보았으니, 이제는 조금은 무거운 분위기에서 나와야 한다고 말한다.

그러나 광주의 기억은 여전히 무겁고 또한 계속 무거워야 한다. 그것이 축제로 혹은 경축일로 기억되는 순간 광주는 다시 죽는다. 광주의 기억을 되짚고자 하는, 그리고 그 아픔을 같이 느끼고자하는 모든 행사는 무거워야 한다. 10분짜리 TV프로그램이라고 하더라도 그래야 한다. 그 기억을 가지고 있는, 80년 5월의 광주 거리를 기억하고 있는 모든 사람들에게 절대로 시대의 가벼움을 보여주어서는 안된다.

오늘 열린음악회는 광주를 선택하지 말았어야 했다.

-아해소리-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