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8사단 김일병 총기 난사 사건을 어떻게 봐야할까. 죽은 자는 말이 없지만, 남은 사람들은 말이 많다. 19일 새벽의 총기난사 사건에 대해 하나둘씩 전말이 밝혀지면서 더더욱 산자들의 말은 많아지고 있다.

 

언론은 소설화 및 잡화에 대한 유혹과 싸우고 있고, 정치인들은 현 군대문화를 처음 알았다는 듯이 한탄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군대 안갔다온 국회의원들은 이해한다(?) --;;;)

 

 

한층 더 좋아질(?) 군대…28사단 김일병 총기 난사사건.

나라가 분단된 탓에 험한 의무를 지고 생활하던 8명의 군인이 죽고 2명은 중상으로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 28사단 GOP에서 일어난 일명 '김일병 총기 난사 사건' 네티즌들은 또다시 죽은 자와 죽인

www.neocross.net

모언론의 기사다

 

"경기도의 한 2년제 대학 1학년 재학중 입대한 김일병은......김일병이 다녔던 학과는 2005년 정시모집 전형결과 합격자 평균 수능점수는 500점 만점에 177점이었고, 내신성적은 학생부 성적 기준으로 15등급중 10등급으로 알려졌다."

 

사건과 무슨 상관인가. 수능점수와 이번 사건과의 연관성이 무엇인가. 수능점수 낮은 김일병이 범행을 저질렀다고 말하고 싶은가?

 

아침 무료신문에 실린 기사다.

 

"이번 사건을 전문가들은....사병들의 의식은 디지털인데 반해 군 문화는 아직도 아날로그 방식에서 벗어나지 못함에 따라 빚어지는 갈등이.."

 

아날로그 사고방식?  디지털 사고방식? 총들고 '적'을 합법적으로 죽여야 하는 군인들의 사고방식을 사회와 똑같은 분해방식으로 분석을 시도하면 재미있나? 정확히 군 장병과 군 문화에 존재한다는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실체를 알고싶은 마음뿐이다. 디지털이라는 단어가 이렇게 광범위하게 쓰이며, 아날로그에 대해 상대적 우월감을 지속할 줄은 몰랐다.

 

열우당 안영근의원의 말이란다

 

"GP에 가보니 시설이 교도소보다 훨씬 못했다. 이런 시설에서 사병들의 정상적 사고를 기대하는 것 자체가 무리다"

 

거기서 수천 수만명이 근무했고, 근무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근무할 것이다. 그런데 그 사실을 몰랐단 말인가.

 

임종인 의원의 진단(?)이란다.

 

"이번 사건은 사병대우 개선에 대한 고민이 없었던 것이 근본 원인이다. 30년전과 똑같다"

 

웃기지 마라. 사병대우 개선 많이 좋아졌다. 문제는 끌려왔다는 징집제 자체의 문제이며 군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의식적 처우이다. 여자가 좋아하는 인기순위 2위 (민간인 1위)가 지속되고 '의무'의 자부심이 아닌 '끌려왔다'는 비참함 기분이 지속되는 한 아무리 사병대우 개선을 해주어도 이번과 같은 사건은 또 일어난다.

 

"우리는 왜 군복을 입는가"라는 정신교육보다는 "우리가 군복을 입음으로써 받는 정신적 사회적 혜택은 무엇인가" 등과 같은 실질적인 정신교육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전국 60만 군인들은 언제라도 '김일병'이 될 수 있다.

 

산 자들이 떠드는 거야 자신들 마음이니까 뭐라 탓할 수는 없다. 하지만 일주일 뒤에 다시 아무렇지도 않은 것처럼 언론과 정치인들이 태도변화를 일으킬 것을 생각하면 지금의 이런 모습은 씁쓸하기만 하다.

 

-아해소리-

728x90
반응형
반응형

 

99년도인가 대학 4학년때 우연하게 본 5.18기념 열린음악회를 보고 난 3년만에 눈물을 흘렸다.

 

안치환씨가 나와 '님을 위한 행진곡'을 불렀는데, 설정일런지는 모르지만 안치환씨가 독백처럼 잔잔하게 시작을 해서 장엄한 분위기로 전체를 이끌었다. 98년 대선, 김대중 전대통령이 집권을 한 직후인지는 모르겠지만, 광주시민들은 눈물을 흘렸고, 그 장면을 TV로 보는 나도 혼자서 눈물을 흘렸다. 집회에 나가 수없이 많이 부른 '님을 위한 행진곡'이지만 분명 그때 조그마한 화면속에서 불리어지던 그 노래는 정의할 수 없는 뭔가를 남겼다.

 

 

전두환 손자이자 전재용 아들 전우원의 고백, 그리고 전재용의 한숨.

전두환의 아들이자 전재용 아들 전우원이라 주장하는 사람이자신들의 가족을 비난하는 글을 올렸다. 애초 “진짜냐”라는 반응은 조선닷컴이 전재용을 인터뷰하면서 사실인 것으로 드러났다.

www.neocross.net

 



그리고 오늘 다시 TV를 봤다. 삶에 지쳐 내가 지금 무엇을 하고 있는지 모르고 살아가기에 어쩌면 난 광주에서의 열린음악회에 큰 기대를 했는지 모른다. 눈물까지는 아니더라도, 어설프게나마 치열하게 살았던 과거의 내 모습을 조금이나마 기억하고 싶었는지 모른다. 그러나 거기에는 더 이상 아픔을 간직한 광주도, 시대의 민주화를 이끌었던 광주도 없었다. 그냥 가수들의 노래 한마당이었다.

천지인은 차라리 '청계천 8가'등의 자신들의 노래나 조용히 부르고 나갔으면 좋았을 것이다. 대학때 강한 메시지를 대학인들에게 어필하던 그 천지인이 아니었다. 홍대앞 흔히 볼 수 있는 밴드에 불과했다. 처음부터 '천지인'이 아닌 '천지인밴드'로 소개되었을 때 이미 알아차렸어야 했다. 그들이 부른 '님을 위한 행진곡'이나 '바위처럼'은 광주의 아픈 기억이 몇년도에 있었는지 기억하지 못하는 중고등학생들의 철없는 말과 크게 다를 것이 없었다.


광주발 열린음악회는 다른 지역에서 해도 상관없을 듯 했다. 광주의 기억을 되짚은 것이 아니라, 그것을 빌미로 하나의 프로그램만이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어떤 사람들은 25년이 지난 지금, 시대가 어느 시대인데 광주를 이야기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을 던진다. 그들이 목숨바쳐 이룩한 민주주의 결실을 보았으니, 이제는 조금은 무거운 분위기에서 나와야 한다고 말한다.

그러나 광주의 기억은 여전히 무겁고 또한 계속 무거워야 한다. 그것이 축제로 혹은 경축일로 기억되는 순간 광주는 다시 죽는다. 광주의 기억을 되짚고자 하는, 그리고 그 아픔을 같이 느끼고자하는 모든 행사는 무거워야 한다. 10분짜리 TV프로그램이라고 하더라도 그래야 한다. 그 기억을 가지고 있는, 80년 5월의 광주 거리를 기억하고 있는 모든 사람들에게 절대로 시대의 가벼움을 보여주어서는 안된다.

오늘 열린음악회는 광주를 선택하지 말았어야 했다.

-아해소리-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