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회 초년생을 위한 장례식장 예절 정리 (+잘못 알고 있는 내용 포함)

연예인의 '장례식 마케팅'을 경계한다모델 출신 탤런트인 이언이 21일 새벽 1시경 오토바이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커피프린스 1호점'을 통해 호감형 기대주로 꼽히던 이언이기에 많은 사람들이

www.neocross.net

 

결혼식 축의금은 언제나 고민이다. 특히 비혼주의가 늘어나는 상황에서 내 결혼식에 오지 않을 사람에게 축의금을 내야하는 지도 의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사회에서 살아가기 때문에 어느 정도 축의금을 내야 하긴 하다. 그래서 주변 사람들의 의견을 모아 기준을 세워봤다. 즉 이건 내가 내는 기준이다.

 

결혼식

 

1. 축의금 기준.

 

내가 결혼 당사자의 부모님을 비롯해 가족과 친하다면 20만원

어릴 적부터 친한 친구이고, 현재도 친하다면 20만원

어릴 적에는 친했는데, 지금은 자주 안 보는 사이라면 10만원

사회에 나와서 친해진 친구지만 가족과는 알지 못한다면 10만원

회사에서 친하게 지내는 선배나 친구나 후배라면 10만원

회사에서 가끔 보는 덜 친한 선배나 친구나 후배라면 5만원 (, 결혼식장 장소는 고려 대상)

 

한때 자주 만났는데 몇 년간 연락 없다가 결혼 연락 오면 축하 문자 메시지만

사회에서 알게 되어 몇 번 보지 않았고 향후 자주 볼 거 아니라면 축하 문자 메시지만

 

2. 시대별 축의금 변화

 

2001

 

SK가 사내 임직원 106명을 대상으로 조사.

 

회사 동료, 상사, 후배, 거래처 등 공적 관계

 

45% 3만 원 / 40% 1~2/ 11% 4~5/ 4% 5

 

친구나 친척

 

38% 3만원 / 26% 4~5/ 19% 5만원 / 17% 1~2

 

2005

 

한국갤럽이 만 20세 이상 성인남녀 1533명 조사.

 

친척 이외의 결혼식에 내는 축의금 액수

 

52% 3~5만원 / 44% 3만원 이하 / 3.7% 5만원 초과

 

 

2017

 

결혼정보회사 듀오가 20~30438명에게 조사

 

적정 축의금 액수는 얼마인가

 

58% 5~7/ 25% 3~5/ 5% 7~10만원 / 5% 10~13만원

 

2023

 

KB국민카드가 고객 400명에게 설문

 

알고 지내는 사이

 

53% 5만원 이하 / 44% 5만원 초과 10만원 이하

 

친한 사이

 

52% 5만원 초과 10만원 이하 / 29% 10만원 초과 20만원 이하

 

2024

 

카카오페이가 74652명에게 조사

 

58% 10만원이 적정 축의금이라 선택.

 

- 아해소리 -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