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중앙일보 이태일 야구전문기자가 네이버로 갔다는 사실을 사실 언론사 기자들의 이동에 관심을 가져야 되는 것이 아니라, 네이버가 변칙적 언론 성향을 지속적으로 가지려는 의도를 보인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네이버가 메이저리그 전문인 민훈기 기자와 계약을 맺는 것도 같은 맥락에서 주목해야 한다.

 

미디어 다음은 스스로 미디어로서 자리매김한다고 선포를 했다. 언론의 한 축을 담당하겠다는 것이다. 이는 자칫 향후 법개정이나 여러가지 사회적 상황에서 포털이 행할 수 있는 사업분야가 축소될 수 있는 도박이라고 여겨진다. 물론 현재와 같이 블로거를 이용하고 여러가지 매체를 효율적으로 조절해 기사 생산은 거의 없이 매체생산력만 높힌다면 달라질 이야기겠지만, 이미 여러차례 취재기자를 뽑고, 시민기자 형식의 기사 생산을 꾀했던 미디어다음이 쉽게 이런 부분을 포기할 것 같지는 않다.

 

문제는 위에서 언급한 네이버다. 스스로 언론매체가 아니라고 하지만, 현재 각 언론사닷컴을 손가락 하나로 네이버 본사로 불러 사업설명회를 할 정도의 막강한 힘을 가지고 있다.

 

이번에 논의되는 개편안도 얼핏보면 각 언론사에 권한을 주는 것 같지만, 자세히 보면 언론사들에 대한 권한행사를 강화하는 한편 기사 생산이 일체없는 언론사로서의 자리매김을 하려는 의도가 강하다.

 

재미있는 사실은 서두에서 말했듯이 기자들의 유입, 그리고 1대1 기자와의 기사 계약이다. 자칫 네이버에 소속되지 않은 프리랜서이면서 또한 네이버라는 매체를 통해 기자활동을 하는 이들이 늘어날 지 모른다. 이태일 기자가 직접 기사를 쓸지는 안 쓸지는 모르는 상황이다. 그러나 이를 통해 다른 기자들과 지속적인 연계를 한다면, 그래서 민훈기 기자와 같이 분야별 능력있는 기자들과 1대1 섭외를 해서 기사를 만들어낸다면. 대신 소속사가 아니라 칼럼이나 블로그 형태로 만들어내되 콘텐츠 보유는 네이버가 한다면....

 

말 그대로 기자없는 언론사, 대신 막강한 콘텐츠와 기성 언론사의 콘텐츠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는 언론사가 탄생하는 것이다. 물론 기존 사업들은 그대로 유지한 채 말이다.

 

난 네이버가 스스로 언론성향을 가진 매체임을 공식적으로 공표하고 이에 따른 사회적 책무와 제재를 받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게 싫다면 지금과 같은 기사 유포 과정에서 최대한 개입을 줄이고, 여론을 조작하는 행위를 금지해야 한다.

 

ps. 1차적으로 포털들은 뉴스를 메인에서 빼야 한다. 그 조그마한 박스에 기사를 몇개나 집어넣겠는가. 결국은 그게 편집과정이고, 그게 여론조작이다.



-아해소리-

728x90
반응형
반응형

네이버 포토는 다양한 사진들을 한꺼번에 볼 수 있어 유용한 공간이다. 물론 다른 포토관련 사이트들도 돌아다니기는 하지만, 아무래도 많은 회원수를 자랑하는 포털사이트이기에 더 다양한 느낌을 가진 사진들을 대할 수 있다.

 

그런데 이 네이버 포토에는 정신없는 두 공간이 있었다. 여자친구 사진을 올리는 곳과 모델 사진을 올리는 공간이다. 당연히 이 공간에 처음 취지와는 다르게 클릭수를 높혀보려고 일본 AV사진을 비롯한 온갖 야동성 사진과 싸이 등에서 긁어온 사진들이 판을 치기 시작했다.

 

 

네이버· 다음...노현정 기사에는 댓글도 달지 마라? |

노현정 아나운서가 양가 상견례를 한 모양이다. 기사가 이곳저곳에 뜨기 시작했다. 그런데 포토기사를 읽다가 어이없는 상황을 봤다. 물론 최근 노현정에 대한 네티즌들의 악플이 존재한다는

www.neocross.net

 

어느 날 네이버 포토에 들어가보니 이 두 카테고리가 사라졌다. 남자친구 올리는 공간은 있는데 여자친구는 사라지고 없다. 네이버가 극단적으로 아예 카테고리를 폐쇄한 것이다.

 

그러나 그게 해결책이 될까. 가끔 포털들이 게시물을 삭제하거나 카테고리를 정리하는 것을 보면 약간은 어리석다는 생각이 든다. 그게 해결책은 아닐텐데 말이다. 포토가 네이버 서비스 전면에서 어느날 사라진 것도 무관치 않을 것이다.

 

 

벌써 네티즌들은 자동차란에 레이싱모델 등의 사진을, 셀프카메라에 기존과 유사한 펌사진을 올리기 시작했다. 그럼 그 카테고리까지 없애면?. 아마도 사람, 삶이라는 공간에 올라갈지 모른다. ^^

 

인터넷상 거대권력이 된 포털. 언제나 사람들은 권력과 싸우기 좋아한다. 그게 실체없이 더 치열해졌다는 것이 과거와 조금 다를 뿐이다.

 

-아해소리-

728x90
반응형
반응형

 

국정원 홈페이지에서...

 

자세한 위치를 알려줄 수 없다고 나온다.



인터넷 검색으로.....

 

친절하게 검색된다. 

또다른 검색으로 찾은 내용..



"국정원은 내곡동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3호선 양재역 7번 출구로 나와서 4422번 버스를 타시고 헌인릉에서 하차하시면 됩니다. 물론 성남 가는 방향의 버스가 많으므로 다른 버스도 있답니다."


-아해소리-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