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영화 '오감도'가 내세운 것은 '에로스 그 이상의 사랑이야기'다. 이러한 전제 하에 짜릿하고 애절하며 자극적이고 치명적인 사랑이야기를 펼쳐내려 하고 있다. 그러나 영화를 본 이들에게 전해오는 것은 자극적인 문구로 나열해 관객들이 맘껏 상상력을 펼치게 했던 것과는 달리, 공감대를 형성했거나 혹은 동경했을 법한 '다양한' 사랑 이야기로 종합된다.

 

 

영화 '한반도', "국가는 회사가 아닙니다"

3.1절 특집으로 영화 '한반도'를 오랜만에 다시 봤다. 사실 이 영화에 대해서는 왈가왈부 말이 많았다. 아해도 영화관에서 볼 때에도 극단적 민족 감정 노출로 인해 불편한 감이 없지는 않았지만,

www.neocross.net

 

영화 오감도




일단 시놉시스의 대략적인 줄거리만 보면 그야말로 관객들의 오감을 자극한다. 처음 만난 남자와 여자가 탐색전을 벌이다 결국 밤을 보내게 되거나, 두명의 여배우가 괴팍한 영화감독을 길들이기 위해 과감한 계획을 세우는 모습을 보인다. 또 남편의 애인과 동거를 시작하지만 결국은 얽히고 설킨 복잡한 관계가 드러나는 스토리가 진행되거나, 또 세 쌍의 고등학생 커플들이 서로간의 애인을 바꾸며 사랑을 확인하는 이야기가 나온다.

영상이 아닌 텍스트로 풀어낸 '오감도'는 자극적이다 못해 반사회적인 느낌마저 안겨준다. 앞서 '파격'이라는 단어를 던지며 엇갈린 평가를 받았던 영화 '미인도'와 '쌍화점'보다도 몇 걸음 앞서간 느낌마저 준다. '동시대의 에로스'라는 점에서 '오감도'에 대한 텍스트적인 상상력은 무한대로 확장된다.

 

그러나 막상 영상화된 영화를 대하게 되면 앞서 말했듯이 '다양한' (혹은 기이한) 사랑 이야기로 방향을 선회한다. 그렇다고해서 텍스트가 제시한 던진 문구들이 영상의 범위를 벗어나지는 않는다. 단지 표현의 방식이 관객들이 상상한 수준에서 전혀 다른 형식을 선보일 뿐이다.

 

 

이때문에 여배우들의 노출 장면도 최근 한국영화가 보여준 수준보다도 그 강도가 현저히 떨어진다. 뛰어난 몸매의 9명의 여배우들은 몸매를 자랑할지언정 그들의 '몸'을 보여주지는 않는다. 일부 장면에서 대역을 쓰기는 했지만, 배종옥만 파격적인 노출을 선보일 뿐이다.

 

단지 5명의 감독들이 하나의 주제를 중심으로 만든만큼 롤러코스터 같은 급격한 변화보다는 일정한 흐름을 탔으면 좋을 법했다. '짜릿한 사랑' (장혁, 차현정)에서의 현실적이고 동경하는 사랑에서 '애절한 사랑' (김강우, 차수연)으로 넘어가며 잔잔하면서도 툭 끊기는 듯한 감정선은, 이후의 흐름도 평평하지 못함을 보여준다. '자극적인 사랑' (배종옥, 김수로, 김민선)과 '치명적인 사랑' (엄정화, 황정민, 김효진)은 다소 엽기적인 변화를 시도하며 '공감'에서 '판타지 호러'로 관객들을 인도한다. 그러다 다시 '도발적인 사랑' (이시영, 김동욱, 신세경, 정의철, 이성민, 송중기)에서 롤러코스터의 급브레이크를 잡고 만다.

 

결국 관객들은 5편의 영화를 각각 독립적으로 보던지, '에로스'라는 주제로 묶어 풀어나가던지 약간은 고민을 해야될 듯 싶다. 이에 따라 받아들여지는 느낌이 확연히 달라지기 때문이다.

 

- 아해소리 -

728x90
반응형
반응형

올해처럼 섹시콘셉이 주목과 동시에 논란을 받은 적이 있을까. 그만큼 컴백 혹은 신인 여가수들의 뮤직비디오나 의상들이 잇따라 지상파 방송국으로부터 방송 불가판정을 받고 있다. 하지만 기획사 입장에서는 방송 불가가 최근처럼 반가운 적이 없을 것이다.

 

 

영화·드라마서 참패한 고소영, 광고에서도 밀리는 듯.

9년만에 드라마 복귀라는 타이틀로 주목을 받았지만 시청률 참패와 시청자 외면이라는 초라한 성적표만 받은 고소영이 그나마 '퀸'자리라는 애칭을 유지하고 있는 광고에서의 주도권에 대해 관

www.neocross.net

 

베이비복스리브

 

우선 최근 어떤 뮤직비디오나 의상이 방송 불가를 받았는지 살펴보면 올해 초 베이비복스리브의 ‘shee’뮤직비디오에서 멤버들 전원이 보여준 힙 쉐이킹이 선정적이란 이유로 KBS로부터 방송불가 판정을 받았고, 최근 솔로 1집을 발표하고 3년여만에 엔젤로 컴백한 채은정도 타이틀곡 ‘POP’뮤직비디오 속에 남자댄서가 채은정의 다리 사이에 손을 넣어 핑거 스냅을 한것과 여자댄서들이 함께 추는 엉덩이춤이 선정적이라고 해서 역시 방송 불가 판정을 받았다.

 

또한 서인영은 치골 의상을 선보여 눈길을 끌었지만 곧 방송 불가판정을 받았다. 이어 섹시 듀오 폭시의 타이틀곡 야한 여자의 뮤직비디오가 용문신과 남녀 성관계를 묘사하는 안무 등으로 역시 방송 불가판정을 받았다.

 

조금 차이가 있긴 하지만 노출과 성적 묘사가 우선 ‘방송 불가’의 가장 큰 이유다.

 

기획사가 이러한 방송 불가를 반긴다는 혹은 이용한다는 근거는 간단하다. 우선 이들 뮤직비디오나 의상은 제작 때부터 논란이 된다. 기획사에서 섹시’ ‘노출’ ‘성 묘사등으로 보도자료를 뿌리기 때문이다. 폭시의 경우에는 어이없게도 뮤직비디오에서는 삭제된 가슴 노출장면을 모자이크 사진으로 언론사에 뿌렸다. 문제가 되어서 삭제는 되었지만 홍보를 위해서는 과감히 공개를 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기사들로 인해 네티즌들은 그 뮤직비디오를 찾아보기 시작했고, 폭시는 곧 포털사이트 검색어로 당당히 자리를 잡았다.

 

또 이들 기획사에서 언론사에 보내는 보도자료를 보면 더더욱 방송 불가에 기뻐 어쩔 줄 모른다는 사실이 느껴진다. ‘방송 불가된 이유를 자세히 적어놓긴 했지만 어떻게 대응한다는 것이 없다. 또 반드시 지상파 방송을 타지 않아도 된다는 뉘앙스까지 느껴진다.

 

이유는 간단하다. 인터넷과 케이블 방송이 버티고 있는 한 지상파 방송에 반드시 나갈 필요는 없기 때문이다. 규제가 없는 이들 두 매체를 활용해 인지도를 올리면 알아서 지상파에서 불러주기 때문이다. 베이비복스리브의 경우에는 문제가 된 춤을 엠넷의 스쿨 오브 락에서 고등학교에서 과감히 선보이는가 하면, 지상파 오락프로그램에서도 멤버가 출연할 때마다 그 춤을 요구한다.

 

방송 불가라는 판정이 무색해지는 순간이다. 일각에서는 이 기준이 너무 엄격하다고 말한다. 즉 시대에 따라오지 못한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지상파가 오픈할 수는 없는 노릇인 것은 확실하다. ‘방송 불가가 영향을 제대로 발휘하려면 그에 걸맞는 제도적 방침 마련이 시급하다.

 

- 아해소리 -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