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강 노벨문학상 수상, 고은 황석영은 왜 실패했고 일본은 왜 성공했을까 (+번역의 자리)

" data-og-description="과거 몇 번 이야기를 한 적이 있다. 한국의 번역 영역은 정말 제대로 존중받아야 하고, 키워야 한다고. 이는 글을 읽는 사람들은 누구나 공감할 거다. 앞의 몇 장 읽었을 때, 번

www.neocross.net

 

 

한강 작가 노벨문학상 수상 소식이 들려온 지도 4일. 전 세계에서 한국 최초, 아시아 여성작가 최초의 노벨문학상 수상을 한 한강 작가에게 극찬을 보내는 사이 출판계는 한강 관련 책을 계속 찍어내는 기분 좋은 비명을 지르고 있다. 그 사이 중고나라나 당근의 중고 거래 플랫폼에서는 어이없는 상황까지 벌어지고 있다.

 

한강 채식주의자

 

1. 서점가 한강 책 판매량 급상승.

 

1013일까지의 기준으로 보면 10일 노벨문학상 수상 발표가 이후 주요 서점에서 한강 작가 책의 누적 판매는 이미 68만 부를 넘어서고 있다. 교보문고에서는 26만 부, 예스24에서는 27만 부가 각각 판매됐다.

 

출판계에서는 전국 서점까지 고려하면 실제 100만부 가까이 팔렸을 것으로 보고, 교보문고 기준으로만 봐도 일주일 내 100만부 돌파는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2. 도서관 대출 급증.

 

14일 국립중앙도서관의 공공도서관 빅데이터 시스템 도서관 정보나루에 따르면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 소식이 들린 지난 10일부터 12일까지 전국 1499개 공공도서관에서 국제표준도서번호(ISBN) 기준 인기 대출 도서 상위 10권 중 9권은 한강 작가의 책이다. 6위를 제외하면 1위부터 10위까지를 모두 그의 책이 휩쓸었다. 사흘간 10위권에 오른 한강 책의 대출 건수만 6137건에 이른다. 인기 대출 도서 100위 안에 한강의 책 17권이 올랐다.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 소식이 알려진 10일부터 전국 도서관에서 가장 많은 선택을 받은 책은 2016년 맨부커상 국제 부문을 수상한 채식주의자. 사흘간 1201권 대출되어 전국 공공도서관 대출 건수 1위에 올랐다.

3. 중고 거래 사이트 가격 폭등.

 

14일 중고 거래 플랫폼 중고나라에는 한강의 저서 채식주의자구판본을 15만원에 판매한다는 게시물이 올라왔다. 현재 채식주의자는 온라인 서점에서 13500원에 판매되고 있다. 또 다른 게시물에는 한강의 사인본이 담긴 가만가만 부르는 노래70만원에 거래하겠다는 내용이 담겼다. ‘가만가만 부르는 노래는 한강이 2007년 펴낸 산문집으로, 온라인 서점에서 11000원에 판매 중이다.

 

중고 거래 플랫폼 당근에도 소년이 온다10만원에 팔겠다면서 가격 흥정도 가능하다고 글을 남긴 이도 있었다.

4. CGV의 재빠른 영화 상영.

 

CJ CGV14일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을 기념해 영화 채식주의자’, ‘흉터두 편을 17일부터 단독 상영한다.

 

2010년 작품인 채식주의자는 채민서가 주인공 영혜 역을 맡았고, 형부 민호 역은 현성이, 언니 지혜 역은 김여진이 맡았다. 2011년 작푸인 흉터는 한강 소설집 내 여자의 열매에 수록된 아기 부처를 뼈대로 한다. 선희 역을 박소연이, 상협 역을 정희태가 연기했다.

 

- 아해소리 -

728x90
반응형
반응형

 

 

삼성반도체를 상대로 외로운 싸움을 벌인 한 아버지의 실화를 그린 영화 또 하나의 약속을 편안하게 보기 힘들 것 같다. 천만영화 변호인은 상식에 대해 이야기하며 사회에 파장을 일으킨 영화로 남았지만, ‘또 하나의 약속은 상식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상황을 마주하게 됐다.

 

상황은 이렇다.

 

CGV는 전국 45개 스크린에서 또 하나의 약속을 개봉한다. 메가박스는 아예 확정도 안 지었고, 롯데시네마는 겨우 7개 극장에 걸린다. 서울 1, 인천 1, 일산 1, 부산 1개 등이다.

 

이 규모의 초라함이 어느 정도일까. 쉽게 비교하면 조금 당황스러웠던 영화 전국노래자랑561개 스크린에서 개봉됐고, 비슷한 시기 개봉한 아이언맨3’1235개 스크린에서 개봉됐다.

 

또 하나의 약속이 아예 찌질한 영화라면 모를까, 현재 화제를 모으고 있고 변호인과 궤를 같이하는 분위기로 몰아가면서 나름 기대를 모으고 있는 작품이다.

 

이에 대해 롯데시네마 측은 상영기준으로 예매율도 중요하지만 프로그램팀에서 자체 기준에 의거해 상영관수를 정한다. 일부에서 제기되고 있는 외압설은 전혀 사실 무근이다라고 언론을 통해 말하고 있다.

 

그런데 정작 이 프로그램팀 자체 기준에 대해서는 말하지 못하고 있다. 웃긴 것은 기준이라는 것이 또 하나의 약속의 어디 부분에 적용될지 찾기 힘들다는 점이다. 만약 이에 대해 대답이 적절하지 않으면, 아무리 홍보팀을 통해 외압이 아니다를 외쳐도 외압일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사회성을 담은 영화라서 사람들이 예민하게 굴 수도 있지만, 다른 시각으로 보면 이런 내용 조차 의심할 수 밖에 없는 사회라는 것이 안타깝다. 이제는 누구의 말도 믿지 않는 대중의 심리가 모든 것을 휘어잡고 있는 세상인 것 같다.

 

또 하나의 약속은 삼성 반도체를 상대로 세계 최초로 산재 인정 판결을 받은 황상기 씨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다. 황상기 씨 딸 고() 황유미 씨는 2003년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에 입사, 2005년 백혈병 진단을 받고 2007년 세상을 떠났다. 이번 작품은 오로지 크라우드 펀딩과 개인투자금으로 영화의 제작비를 마련한 최초의 영화로 제작 단계부터 화제를 모았다. '또 하나의 약속'26일 개봉한다.

 

- 아해소리 -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