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양 초등생 유괴·살인 사건'…세상이 무섭다.

지난 11일 수원 호매실동 호매실 나들목 인근 야산에서 이혜진 양의 시신이 발견된 것에 이어 오늘은 시흥시 군자천에서 우예슬 양의 시신일 일부가 발견되었다고 한다.  경찰들 "못해먹겠다"

www.neocross.net

 

최근 전국에서 어린이 유괴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서울 관악구와 대구 서구에서는 60대 남성이 초등학생을 유인하려다 검거됐고, 제주 서귀포에서는 30대 남성이 초등학생을 차에 태우려다 체포됐다. 경기 광명에서는 고등학생이 초등학생을 따라가 납치 시도를 한 적도 있다. 사람을 납치하거나 살해하는 것은 당연히 중대범죄지만, 대상이 미성년자일 경우 더더욱 중하다. 그러나 이런 일들이 끊이지 않는데, 특히 1975년에 부산에서 발생한 어린이 연쇄 유괴 및 살인 사건은 최근 일을 살펴보면, 다시 돌아봐야 할 일이다. 당시 사건은 지금까지도 미해결 상태다.

 

부산 어린이 유괴

1. 사건 개요

 

첫 번째 사건 : 1975820. 7세 김지은(가명) 양이 핫도그를 사러 나간 후 실종되었고, 821일 용두산 공원에서 손발이 묶인 채 살해된 시신으로 발견되었다. 시신에는 "범천동 임재은이 대신공원에서 죽었다"라는 글이 사인펜으로 쓰여 있었다.

 

두 번째 사건 : 824일에 발생. 5세 박도훈(가명) 군이 저녁 식사 후 실종되었고, 다음 날 어시장 근처에서 손발이 묶여 살해된 채 발견되었다. 도훈 군의 시신에는 "후하하 죽였다"라는 글이 쓰여 있었다.

 

 

2. 범인의 특징 및 단서

 

시그니처 : 범인은 피해자들의 시신에 특정한 메시지를 남기는 "시그니처"를 사용했다. 이는 당시로서는 매우 드문 형태의 범죄 행각이었다.

 

통행금지 : 범행 시간대가 자정 이전이었던 점을 고려할 때, 당시 시행되던 통행금지 시간을 활용했을 가능성이 있다.

 

차량 : 유괴 장소와 시신 발견 장소 간의 거리가 멀어 범인이 차량을 이용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7698 : 범인은 경찰에 전화하여 "7698"이라는 숫자를 남겼는데, 이는 임재은(가명) 양의 집 전화번호 뒷자리로 추정된다.

 

부산 어린이 유괴

 

3. 수사 과정

 

탐문 수사 : 경찰은 탐문 수사를 통해 목격자를 찾고, 범천동 일대를 수색하며 "임재은"이라는 인물을 찾으려 노력했다.

 

만화책 수사 : 범인이 남긴 "후하하"라는 표현이 만화책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에 주목하여 만화책을 대량으로 조사하기도 했다.

 

몽타주 : 유일한 생존자인 임재은 양의 증언을 바탕으로 몽타주를 제작하여 배포했지만, 범인을 특정하는 데 실패했다.

 

 

숨 돌릴 새 없이 이어지는 구성, 영화 '세븐데이즈'

영화 중간중간 '왜'라는 질문을 쉽게 던지지도 않지만, 설사 질문이 스크린밖으로 튀어나왔다 하더라도 생각할 시간이 없다. 감독과 배우들이 제시하는 스토리와 영상을 그대로 따라가는 것만

www.neocross.net

 

4. 임재은 양 유괴 미수 사건

 

818, 9세 임재은(가명) 양이 유괴당했으나, 범인이 목을 조르는 과정에서 기적적으로 살아남아 파출소로 피신했다. 범인은 재은 양을 "주인님"이라 부르라고 강요하고 전화번호를 묻는 등 기이한 행동을 보였다. 재은 양은 범인의 인상착의와 특징(오른쪽 코 옆 점 2, 입가 점 1, 노란 재단자 소지)을 상세히 진술하여 몽타주 제작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5. 사회적 영향

 

공포 확산: 사건 이후 부산 지역 사회는 극도의 공포에 휩싸였으며, 아이들의 외출을 자제하고 유괴 예방 캠페인이 벌어지는 등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다.

 

6. 미제 사건

 

결국 범인은 검거되지 않았고, 공소시효 만료로 인해 영구 미제 사건으로 남게 되었다. 사건 담당 형사는 해결하지 못한 것에 대한 안타까움과 죄책감을 토로했다.

 

7. 이리역 사건과의 연관성 (미확인)

 

1976, 이리역(현재의 익산역)에서 발생한 아동 유괴 살해 사건의 범인이 부산 연쇄 살인 사건과의 연관성이 제기되기도 했다. 이리역 사건의 범인이 영도구 거주자이며 범행 수법 또한 유사했으나, 직접적인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

 

8. 꼬꼬무 재조명

 

SBS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에서 이 사건을 재조명하며 사회적 반향을 일으켰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