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기적인 납치극' 최은희·신상옥 부부 납치 사건… 김정일의 '영화광'이 빚어낸 8년의 비극.
17명을 살해한 김대두 연쇄 살인 사건: 대한민국 최초의 연쇄 살인. (+영화 ‘보통사람’)미성년자 유괴 시도 전국적 발생…다시 살펴보는 1975년 부산 어린이 연쇄 유괴 및 살인 사건'안양 초등생
www.neocross.net
1979년 10월, 프랑스 파리에서 김형욱(金炯旭) 전 중앙정보부장 실종 사건이 발생하며 대한민국 현대사의 가장 어둡고 미스터리한 한 페이지를 장식했다. 역대 중앙정보부장 중 최장수인 6년 3개월간(1963년 7월~1969년 10월) 막강한 권력을 누렸던 그가 홀연히 사라진 사건은 박정희 정권의 치부를 상징하는 '3대 미스터리' 중 하나로 꼽힌다.

1. 사건 개요: 파리 카지노에서 '증발'
김형욱은 1979년 10월 7일 오후 7시경, 프랑스 파리의 '르 그랑 세르클(Le Grand Cercle)' 카지노를 나선 이후 행방불명되었다. 실종 당시 54세였던 그는 1973년 박정희 대통령에게 경질된 후 미국으로 망명, 프레이저 청문회에 출석하여 박 정권의 비리를 폭로하고 회고록 출간을 추진하며 정권의 표적이 된 상태였다. 실종 직전, 그는 뉴욕에서 파리에 도착해 특급호텔인 리츠호텔에 머물다 2류 호텔인 웨스트앤드 호텔로 옮겼으며, 이는 중앙정보부(중정) 요원 또는 중정의 사주를 받은 이들과의 접촉 시도와 관련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사건 발생일은 10.26 사건(박정희 대통령 시해 사건)이 일어나기 불과 3주 전이었다. 그의 실종 사실은 10월 16일 조선일보의 보도로 처음 알려졌으나, 곧 10.26 사건으로 인해 대중의 관심에서 멀어졌다.
2. 사망 및 실종 관련 다양한 의혹.
① 중앙정보부 요원에 의한 납치 및 살해설
2005년, 국가정보원 과거사 진실 규명 위원회는 김재규 당시 중앙정보부장의 지시로 파리 주재 중앙정보부 요원들이 김형욱을 납치하여 권총으로 살해했다는 중간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조사 결과에 따르면, 동유럽 출신 협력자 2명을 고용하여 납치했으며, 파리 근교에서 살해 후 시신은 낙엽으로 덮어두었다고 한다.
② 양계장 분쇄기 살해설
전직 중앙정보부 특수비선 공작원 이모씨는 시사저널과의 인터뷰에서 자신이 김형욱을 파리 근교 양계장의 사료 분쇄기에 넣어 닭 모이로 처리했다고 주장했다. 이 주장은 그가 구체적인 침투 경로, 살해 방법 등을 상세히 증언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았으나, 물증은 확보되지 않았다.
17명을 살해한 김대두 연쇄 살인 사건: 대한민국 최초의 연쇄 살인. (+영화 ‘보통사람’)
미성년자 유괴 시도 전국적 발생…다시 살펴보는 1975년 부산 어린이 연쇄 유괴 및 살인 사건'안양 초등생 유괴·살인 사건'…세상이 무섭다.지난 11일 수원 호매실동 호매실 나들목 인근 야산에
www.neocross.net
③ 사우디아라비아 납치 살해설
비밀 해제된 미 국무부 문서에 따르면, 김형욱은 실종 당일이 아닌 10월 9일 파리를 떠나 사우디아라비아로 갔으며, 이후 행적이 묘연해졌다고 한다. 이는 파리에서 살해되었다는 설을 부정하는 내용이다.
④ 한국으로 납치되어 살해되었다는 주장
김형욱의 맏며느리는 시아버지가 한국으로 납치되어 피살되었다는 이야기를 남편으로부터 들었다고 증언했다.
⑤ 차지철 경호실장 주도설
김경재 전 의원은 김형욱 암살이 차지철 당시 청와대 경호실장이 주도한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3. 논란 및 의문점
① 국정원 발표의 신빙성: 국정원 과거사위 발표에 대해 김경재 전 의원 등은 왜곡되었거나 신빙성이 없다고 주장하며, 조사 과정에서 핵심 관계자들이 함구하거나 진술을 거부한 점을 지적했다.
② 유족의 입장: 김형욱 유족들은 국정원 발표를 믿지 않았으며, 특히 양계장 분쇄기 살해설이나 낙엽으로 시신을 덮었다는 주장은 매우 부실하다고 반박했다.
③ 증거 부족: 사건 관련자들이 대부분 사망하거나 입을 다물고 있어 명확한 물증 확보에 어려움이 있었다.
④ 박정희 대통령의 연관성: 김형욱이 정권의 비리를 폭로한 점과 그의 실종 시점 등을 고려할 때 박정희 대통령의 개입 가능성에 대한 의혹이 제기되었으나, 직접적인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
1972년 발생한 춘천 파출소장 딸 강간 살인 조작 사건? (+‘7번방의 선물’)
1971년 대연각호텔 화재 참사, 초고층 비극이 남긴 교훈다시 보는 와우시민아파트 붕괴사고…'34명 사망' 1970년 대한민국 도시화의 그늘 드러낸 사건.넷플릭스 ‘나는 생존자다’, 정명석+정조은
www.neocross.net
4. 2005년 국정원 발표
국정원 진실위는 2005년 5월 김형욱 실종사건 중간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김재규 중정 부장이 10·26 사건 직전 파리 주재 한국 대사관에 나가 있던 이상열 공사와 연수생들에게 독침과 권총 1정, 미화 10만 달러가 든 007 가방을 건네며 김형욱을 제거하라고 지시해 이뤄진 청부 암살 사건이라고 밝혔다. 이들이 루마니아 조폭 2명을 고용해 김형욱을 납치해 파리 외곽 산책로 옆에서 권총으로 사살하고 낙엽으로 시신을 덮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당시 조사 부실함으로 인해 여전히 의혹이 남아 있다.

5. 미디어 속 ‘김형욱 실종’ 사건
① 영화 ‘증발’(1994 – 신상옥 감독) : 김형욱을 '박진욱'이라는 이름으로 등장시키며 납치 후 한국으로 끌려와 처형당했다는 설을 따름.
② 영화 ‘남산의 부장들’ (2020 - 우민호 감독) : 사건을 모티브로 하되, 영화 중간에서 다루며 양계장 닭모이설과 국정원 공식 발표를 절충하여 묘사. 특히 이병주의 동명 논픽션을 바탕으로 김형욱 실종 사건의 개연성을 치밀하게 묘사하여 큰 화제를 모았다.
③ TV 드라마 ‘제4공화국’ (1995-1996, MBC) : 23회 24회에 걸쳐 김형욱의 실종과 최후를 다룸.
④ ‘코리아게이트’ (1995, SBS), ‘영웅시대’ (2004, MBC) : 두 작품 모두 해당 사건을 다루었음.
- 아해소리 -
'국내외 사건 사고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넷플릭스 영화 ‘굿뉴스’ 소재인 요도호 사건이란? (+설경구) (0) | 2025.10.21 |
|---|---|
| '세기적인 납치극' 최은희·신상옥 부부 납치 사건… 김정일의 '영화광'이 빚어낸 8년의 비극. (0) | 2025.10.14 |
| 17명을 살해한 김대두 연쇄 살인 사건: 대한민국 최초의 연쇄 살인. (+영화 ‘보통사람’) (0) | 2025.09.19 |
| 미성년자 유괴 시도 전국적 발생…다시 살펴보는 1975년 부산 어린이 연쇄 유괴 및 살인 사건 (0) | 2025.09.18 |
| 육영수 여사 저격 사건, 아직도 풀리지 않는 미스터리 4가지 (+박정희 +문세광) (0) | 2025.09.11 |
| 1972년 발생한 춘천 파출소장 딸 강간 살인 조작 사건? (+‘7번방의 선물’) (0) | 2025.09.09 |
| ‘나는 신이다’ 후속 ‘나는 생존자다’, JMS 넘어 형제복지원 여파 (+호주 +박인근) (0) | 2025.08.29 |
| 1971년 대연각호텔 화재 참사, 초고층 비극이 남긴 교훈 (0) | 2025.08.2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