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강 노벨문학상 수상, 고은 황석영은 왜 실패했고 일본은 왜 성공했을까 (+번역의 자리)

" data-og-description="과거 몇 번 이야기를 한 적이 있다. 한국의 번역 영역은 정말 제대로 존중받아야 하고, 키워야 한다고. 이는 글을 읽는 사람들은 누구나 공감할 거다. 앞의 몇 장 읽었을 때, 번

www.neocross.net

 

 

 

연출가 박근형이 성추행 논란에 휩싸였다. 이 때문에 ‘2024 쿼드초이스박근형 계절 연작 시리즈 겨울은 춥고 봄은 멀다공연은 취소됐다. 지난 2018년 진보진영 영역에 있던 이윤택과 고은에 이어 또다시 보수진영의 타깃이 될 듯 싶다.

 

박근형 연출가

 

서울문화재단 대학로 극장 쿼드는 “‘2024 쿼드초이스박근형 계절 연작 시리즈 겨울은 춥고 봄은 멀다공연은 프로덕션 내부 사정으로 인해 판매를 일시 중단합니다. 빠른 시일 내에 향후 일정 재공지 드리겠습니다라는 공지문을 올린 후, 바로 공연을 취소했다. 이유는 박근형이 성추행 논란 때문이다.

 

박근형은 연극계의 거장이다. 다수의 수상으로 이미 연극계와 연극 팬들에게 인정받은 연출가다. 연극 '청춘예찬'으로 시작된 수상은 1999년에 청년예술대상 희곡상, 연극협회 신인 연출상, 평론가협회 작품상, 젊은 예술가상, 2000년에 백상예술대상 희곡상, 동아연극상 작품상 희곡상, 평론가협회 올해의 연극 베스트, 2003년에 동아일보 차세대를 이끌고 갈 연출가 1, 2006년에 대산문학상 희곡 부문 수상으로 이어졌다.

 

그런 박근형이 술자리에서 여자 제자를 성추행 한 것이다. 특히 박근형은 2018년 문화예술계 미투(me too)운동이 일어날 때 한 매체와 인터뷰에서 이런 내용으로 말했다.

 

 

특히 그는 연극계 거장들이 미투 운동의 주인공으로 등장한 데 대한 유감도 표명했다. "대한민국 연출계의 거장 이윤택, 극작가이자 연출가 오태석, 국민 배우 오달수 등 존경하는 선배나 좋은 후배들이 미투 운동의 가해자로 언급돼 마음이 편치 못합니다. 하지만 그 옛날 나쁜 습관에 젖어 잘못된 행태를 반복했다면, 반성하고 용서를 구해야 할 겁니다. 하지만 이 분들의 연극에 대한 열정과 성과는 따로 평가받아야 합니다."

 

박근형은 미투 운동으로 인해 연극을 찾는 관객들이 줄어드는 현상에 대해서는 아쉬움을 토로했다. "대학로 극장은 관객이 없어 초토화되고, `공립극단의 연극마저 외면받는 상황이 펼쳐지고 있습니다. 일부의 잘못을 마치 연극계 전체로 폄하하는 분위기는 사그라들었으면 좋겠습니다."

 

2018년 이윤택과 고은 사태는 이렇다.

 

당시 김수희 극단 미인 대표가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10여년 전 이윤택 연출로부터 성추행을 당한 사실을 폭로한 뒤 유사한 피해를 겪었다는 주장이 이어지자, 극단 연희단거리패 예술감독인 이윤택 연출은 19일 오전 자신의 성범죄 혐의와 관련해 사과했다. 그러나 연극계는 이윤택 연출이 피해자에게 직접 사과하지 않고 연희단거리패를 통한 간접사과를 하고 있다며 비판을 이어왔다.

 

그러나 이후 이윤택 연출로부터 두 차례에 걸쳐 성폭행을 당했다는 폭로가 나왔다. 김보리(가명)씨는 인터넷 커뮤니티 디시인사이드 연극·뮤지컬 갤러리에 윤택한 패거리를 회상하며라는 글을 올려 이윤택 연출로부터 19세이던 2001, 20세였던 2002년 두 차례에 걸쳐 성폭행을 당했다고 주장했다. 김 씨 외에도 연희단거리패 활동 당시 이윤택 연출로부터 성추행을 당했다는 폭로가 쏟아졌다.

 

고은 시인의 성추행 의혹은 최영미 시인이 시 괴물에서 그를 암시하는 원로 문인의 과거 성추행 행적을 고발한 사실이 알려지며 불거졌다.

 

이후 고은 시인은 2018년 영국 가디언을 통해 나 자신과 아내에게 부끄러울 일은 하지 않았다고 의혹을 부인하며 집필을 계속할 것이란 입장을 밝혔다. 그는 나의 과거 행실이 야기했을지 모를 의도치 않은 상처들에 대해 이미 사과의 뜻을 표한 바 있지만 일부 여성들이 나에 대해 제기한 습관적 성폭력 의혹에 대해선 단호히 부정한다고도 했다.

 

이후 최영미 시인 등을 상대로 손해배상청구 소송을 제기했지만 2019년 항소심에서 패소했다. 대법원 상고를 하지 않아 최 시인 승소가 확정됐다. 그리고 2023년 복귀했다.

 

박근형 성추행 논란이 어디까지 이어질 지는 모르겠다 파급력이 약하진 않다. 연극계에서도 차라리 2018년 터질 때 같이 터졌어야 했다고 말한다. 겨울 공연을 준비하던 연극계가 긴장하는 이유다.

 

- 아해소리 -

 

728x90
반응형
반응형
 

번역 엉망, 도대체 왜?... <그리스 로마 인문학 산책>

과거 몇 번 이야기를 한 적이 있다. 한국의 번역 영역은 정말 제대로 존중받아야 하고, 키워야 한다고. 이는 글을 읽는 사람들은 누구나 공감할 거다. 앞의 몇 장 읽었을 때, 번역이 제대로 안되

www.neocross.net

 

반응형

 

소설가 한강이 노벨문학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한국인의 노벨상 수상은 2000년 김대중 대통령에 이어 두 번째이고 문학상은 최초다. 그간 고은 시인과 황석영 소설가 등이 수상자 후보로 거론됐지만, 번번이 불발됐다. 그 사이 일본은 다양한 노벨상 수상자를 내며, 특히 노벨문학상 수상자를 배출한다는 것은 남다른 의미였다.

 

노벨문학상 한강

 

2016년 황석영 작가는 한·불 수교 130주년을 맞아 올해 우리나라를 주빈국으로 초청한 파리도서전 자리에서 제발 노벨상 언제 받아 오느냐는 말 좀 그만했으면 좋겠다. 한국 문학은 이제 겨우 세계 문학 시장에서 점포 하나 내놓고 알려지기 시작한 것이다라고 말했다 그로부터 8년만에 노벨문학상을 받은 셈이다.

 

노벨문학상에 의미를 남다르게 부여하는 이유는 다른 노벨상과 달리 한 민족의 한 국가의 삶과 생활을 농축한 작가가 세계에서 인정받는 것이다. 이 때문에 사실 한동안 한국의 문학은 세계 속으로 펼치기 어려웠다. 바로 번역의 문제였다.

 

문학적 성취로 보자면 그간 한강을 능가하는 작가들은 많았다.

 

특히 가장 많이 기대를 모아 도박사이트에서도 상위를 차지한 적이 많은 작가는 고은 시인으로 수년간 노벨문학상 발표 날에는 고은에게 시선이 쏠렸다. 그 다음은 황석영 작가였다. 이런 선배들의 작품이 세계로 뻗지 못하는 이유 중 하나가 앞서 언급했듯이 번역 때문이었다.

 

 

전에 한 작가와 대화 중에 그런 이야기를 했다. 이슬비, 안개비, 장대비, 보슬비, 여우비, 진눈깨비 등을 어떻게 번역할까. 아니 전라도 사투리와 경상도 사투리가 갖는 뉘앙스롤 어떻게 번역할까. 지금이야 어떻게든 하겠지만, 과거에는 이 작업이 만만치 않았다고 한다.

 

그렇다면 영어도 제대로 못한다고 평가받는 일본은 어떻게 노벨문학상을 비롯해 노벨상을 다수 수상했을까.

 

2018년 시게모리 타미히로 일본 리츠메이칸대 교수가 한국 언론과 인터뷰한 내용에 이에 대해 자세히 나온다. 당시 기사를 살펴보자.

 

“일본어로 번역된 다량의 학술자료를 통해 연구 토대가 그 만큼 두터워졌습니다. 이런 높은 번역수준이 노벨상 수상에도 적잖은 영향을 줬다고 볼 수 있습니다.”

실제로 일본은 18세기 난학(蘭學·네덜란드학)을 시작으로 메이지유신(1868년) 때에는 정부내 ‘번역국’을 설치해 단기간 수만 권의 번역서를 출간했다.

시게모리 교수는 “번역을 통한 지식의 인프라 축적은 근대화를 견인한 원동력이었다”며 “(일본) 정부의 학술진흥지원은 선생님(유럽 학문)을 흉내내는 것에서 자신의 연구를 개척하는 시대로 변화해 갔다”고 강조했다.

 

 

 

<내 말의 의미는>을 보고 다시 떠올린 ‘번역’이란 무엇일까.

앞서 을 읽고 엉망인 번역에 대해 언급한 적이 있다. 이전에도 그랬지만, 그 이후에는 번역된 책에 대해 선뜻 손이 가지 않았고, 지금도 유효하다. 그러다 조앤 디디온의 이란 책을 우연히 알게

www.neocross.net

 

 

2013년 당시 김성곤 한국문학번역원장은 이런 말을 했다.

 

문학계에서 번역자는 반역자라는 우스갯소리가 있을 정도로 비판을 많이 듣습니다. 또 미국시인 로버트 프로스트는 시가 번역 과정에서 향기를 잃는다고 폄하한 적도 있을 정도예요. 하지만 좋은 번역은 향기를 살릴 수 있습니다. 번역가에 대한 정책적 뒷받침이 절실합니다.”

 

앞서 언급한 황석영 작가가 파리도서전 자리에서 이런 말도 했다.

 

노벨상 열풍이 우리 문학의 해외 번역을 추동하는 원동력이 되긴 했지만, 일본은 번역이 된 지 벌써 100년이 됐고, 우리는 이제 시작됐으며 그마저도 한류 영향이 크다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은 어찌 보면 문학적 성취와 더불어 한국 번역 문학이 잘 닦이고 있다는 것과 새로운 길이 열렸다는 것이 아닐까.

 

- 아해소리 -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