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몇 년 전 후배의 고양이가 쓰러졌다. 동물병원에 갔더니, 탈장 때문이라고 수술해야 한다고 했다. 수술비가 250만원. 병원비는 별개다. 고양이 나이도 있고, 수술을 한다고 해도 오래 살 것 같지는 않다고 했다. 그 친구 월급이 당시 300만원이었다.
 

 

식용견 말하던 윤석열, 김건희와 <TV 동물농장> 출연…국민들 갈라치기 하는 인식 그대로.

SBS 에 윤석열과 김건희가 출연한 것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즉 “그게 무슨 문제냐”하고 “정치농장이냐”라는 의견이다. 예능에 대통령이 나오는 것이 가볍게 볼 순 없다. 특히 현재 무너

www.neocross.net

 

반려동물 보험비

 
당시 그 후배와 내 선택의 결과는 이따 언급하기로 하고, 그 당시 내가 놀랐던 것은 동물 치료비와 수술비가 비싸다는 점이었다. 사람처럼 의료보험이 적용되지 않았으니 당연했지만 기본이 ‘수백 만원’이다.
 
뉴스에서 혹은 광고에서 “국내 반려동물 양육 인구 1500만 명 시대를 맞아 보험사들이 다양한 펫보험 상품을 내놓고 있다”라는 이야기를 들었을 때, 반려동물 보험이 왜 필요한가 싶었다. (처음에는 반려동물로 인해 타인이 피해를 입었을 때 적용되는 보험인 줄 알았다)

 
그런데 고양이 수술비가 250만원이라는 이야기를 들었을 때, ‘너무하다’라는 생각과 함께, 반려동물을 키우는 이들을 향한 의문이 생겼다.
 
죽을 날이 얼마 남지 않은 반려동물이 큰 병에 걸렸을 때 과연 수백만원을 내면서까지 수술비와 치료비를 감당해야 할까.
 
이 이야기를 지인들과 하면서 크게 세 부류의 생각이 들었다. 흔히 반려동물을 애기처럼 다루는 이들과 반려동물을 모시는 이들과 반려동물을 키우는 이들로 말이다.
 
그리고 이런 분류는 ‘수술비 250만원’을 낼 것이냐 말 것이냐의 기준이기도 하다. 애기가 아픈데 250만원이 아까우랴. 하지만 다른 두 부류는 달랐다. 집사들은 상태를 봐가며 고민하고 또 고민했고, 키우는 이들은 금액이 우선이었다.
 

 

이진숙 법인카드 사용방법 김재철에게 배웠나?…이진숙 vs 김재철 ‘법카 사용기’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 후보 법인카드 사용이 논란이다. 민주당은 공격하고, 국민의힘은 방어한다. 이진숙은 ‘업무용’이라고 말하는데, 사용처가 속속 드러나면서 웃음만 안기고 있다. 법카

www.neocross.net

 
 
‘고양이 수술비 250만원’. 난 후배에게 잘 보내주라 했고, 후배는 내 의견을 받아들였다. 현실적인 선택이었다.
 
이를 두고 어떤 사람은 “당신의 아이가 아픈데 그깟 돈이 문제냐”라고 할 수도 있다. 앞서 말했듯이 자신의 위치에 따른 선택이고, 이를 강요할 순 없다. 그러나 반려동물을 키우지 않고, 현실적인 성향의 내 입장에서는 고양이 수술비와 치료비를 감당하면서, 내가 ‘고양이 밥’을 먹을 순 없지 않냐는 것이다.
 
어쩌면 반려동물을 키울 수 있는 것도 이젠 ‘능력’의 문제다. 어느 고양이와 개는 250만 때문에 바로 죽음을 맞이할 수 있고, 어느 고양이와 개는 250만원 짜리 ‘반려동물 호텔’에서 묵을 수도 있다. 아래는 최근 어느 한 매체의 기사다.
 

"소중한 내 댕댕이" 구찌 옷 입고 오마카세 생일 파티반려동물 프리미엄 시대

 
- 아해소리 -

728x90
반응형
반응형

SBS <TV 동물농장>에 윤석열과 김건희가 출연한 것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그게 무슨 문제냐하고 정치농장이냐라는 의견이다. 예능에 대통령이 나오는 것이 가볍게 볼 순 없다. 특히 현재 무너져가는 민생에 외교 참사가 이어지는 가운데 대통령 이미지 챙기기에 방송사가 나선 모양새라 비난을 일 수 밖에 없다.

 

 

윤석열-기시다, 과거사와 후쿠시마 오염수 합의…이제 학교 폭력도 잊고, 일본이 뭘 해도 넘어가

윤석열과 기시다가 한일정상회담을 열었다. 뭐 이런저런 뻘소리들을 해댔지만, 가장 중요한 두 가지를 살펴보자. 과거사에 대한 윤석열의 황당한 소리와 오염수에 대한 윤석열의 통 큰 양보다.

www.neocross.net

윤석열 식용견

 

방송에서 윤석열과 김건희는 반려견 새롬이를 입양한 과정이나 지내는 일상을 공개했다. 그러면서 동물 복지에 대한 생각도 밝혔다.

 

그런데 방송을 보다가 다소 황당한 생각이 들었다. 이전에도 윤석열이나 김건희가 반려견 이야기를 할 때마다 들었던 생각이지만, 진짜 그는 동물에 대한 사랑이 있을까.

 

 

윤석열은 20211031일 국민의힘 대선 경선 마지막 TV 토론회에서 유승민 전 의원의 개 식용 관련 정책 질의에 식용 개는 따로 키우지 않나라며 개 식용을 개인적으로 반대하지만 국가 시책으로 하는 건 사회적 합의가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이에 당시 동물보호단체들이 일제히 윤석열을 비판했다. (이에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2021927일 국무총리와의 주례회동에서 개 식용 금지를 신중히 검토할 때가 되지 않았나라며 관계부처 검토를 지시했었다.)

 

 

김건희 대통령, 광폭 행보에 남편 윤석열 지지율 하락…대선 전후 발언들 보니.

김건희는 윤석열을 내세워 ‘진짜 대통령’을 꿈꾸는 것일까. 대선 전 자신이 정권을 잡으면 어찌하겠다는 말을 한 것을 실천하는 걸까. 재미있는 것은 김건희가 대통령 놀이에 빠져 광폭 행보

www.neocross.net

 

그런데 이런 윤석열이 갑자기 동물 복지를 이야기를 한다고? 그런데 생각해보면 윤석열에게 동물 복지는 토리나 새롬이처럼 자신에게 혹은 나름 반려동물이라 지칭 되면, 강남 아파트 등이나 젊은 층들이 애지중지하는 동물들만 대상으로 생각하는 것이 아닌가 싶다. 즉 그 이외에 어디 시골의 동물이나 모란시장의 개들은 그에게는 복지 혹은 보호되어야 할 동물이 아닌 셈이다.

 

이는 지난 간호사법이나, 농민, 한일 관계에서 일본 강제징용 피해자들, 노동조합 등을 대하는 윤석열의 시선에서도 느껴진다. 이들에게는 이 사람들은 국민이 아니다. 그냥 자신이 가는 길을 막는 돌맹이고, 치워야 할 대상이다.

 

너무 극단적이라고? 아니다

 

윤석열은 기업인들과의 만남에서 “(중소기업 정책 만족도) 77%라는 말을 듣고 , 그게 진정한 지지율이구나생각했다고 말했다. 이들은 주 69시간을 지지하고, 노동조합을 싫어하며, 자신들이 돈을 벌기 위해서는 강제 징용 피해자들처럼 일본과의 관계에서 걸림돌이 있는 것을 썩 달가워하지 않는 이들이다.

 

다시 앞으로 돌아가자. 내가 <동물농장>에 나와 윤석열과 김건희가 웃으며 반려동물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에 반감이 든 이유가 그것이다. 식용견을 말하던 이가 갑자기 반려동물에 대한 사랑을 말한 것은 그에게는 동물에 대한 계급도 존재하고, 거기서 그가 말한 사랑 받을 반려동물의 계급은 따로 있다는 느낌이 들었다. 국민들을 계급화 시켜 나누는 것처럼 말이다.

 

- 아해소리 -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